$\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기내과 의사를 위한 COPD 리뷰
Clinical Year-in-Review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원문보기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TRD = 결핵 및 호흡기 질환, v.71 no.1, 2011년, pp.1 - 7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findings suggest that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imposes an enormous burden on patients, health-care professionals and society. COPD contributes to morbidity and mortality and to a significant use of health-care resources. In spite of a higher prevalence of COPD in Korea,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적어도 2회의 만족스러운 검사곡선을 얻은 경우를 채택함은 물론 이 검사치가 재현성이 있는 경우(FVC 및 FEV1의 값이 150 mL 미만인 경우)만 의미 있는 검사결과로 인정하여 분석하였다. 19세 이상 6,840명을 대상으로 폐기능 검사와 COPD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우리나라 COPD 유병률 조사는 물론, COPD 발병에 관계되는 위험요소를 분석하고 조기진단을 통하여 적절한 치료계획안(management protocol)을 만들기 위한 기본 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 2001년에 이어 2008년 우리나라의 COPD 유병률 조사가 제4차 국민건강영양조사와 함께 전국적으로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를 본 논문으로 보고하였다. 폐활량 측정은 2001년 진행되었던 'COPD 전국 유병률 조사' 당시와 동일하게 기관지 확장제를 사용하지 않은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과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검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하여 폐활량 측정기준을 더 강화하였다.
  • '호흡기내과 의사를 위한 COPD 리뷰'를 준비하면서 지난 1년 동안의 주요 국제 연구결과도 중요하지만 이에 앞서 국내 연구자들이 발표한 연구성과를 검토해보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작업일 것이다. PubMed를 비롯하여 국내 의학관련 논문을 검색할 수 있는 KoreaMed 및 관련 학술지에서 연구결과를 검색하여 COPD의 각 영역별로 소개하고자 한다.
  • . 본 연구는 CAT 한국어판과 호흡곤란-12 한국어판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을 위한 것이다.
  • . 본 연구는 COPD를 비롯한 만성 기도질환에 동반되는 불안증과 우울증의 빈도를 단면적 연구로 조사하고, 불안증 및 우울증 동반과 관계가 있는 임상적 요인을 평가하는 것이다.
  • . 이 연구는 COPD 환자 중 급성 악화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 가운데, 퇴원 후 다시 악화되어 재입원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 . 이 연구는 COPD 환자들이 급성 악화로 입원하는 경우와 폐렴으로 입원하는 경우의 임상적 특징과 예후의 차이에 대한 보고이다.
  • 과거 COPD 진료지침은 짧은 기간 경구용 스테로이드제를 투여하여 장기간 ICS 사용여부를 평가하도록 권고하였지만35, 최근 이러한 시도는 장기간 ICS사용에 대한 예측인자로 적절하지 못함이 밝혀졌다36. 이 연구는 ICS/LABA의 치료에 대한 폐기능 반응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찾는 것이다.
  • Endothelin-1 (ET-1)은 혈관의 내피세포에 작용하여 강력한 혈관수축 작용을 나타내는 펩타이드로23, 폐동맥 고혈압에서 증가하며 중증도(severity)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4. 이 연구의 목적은 COPD에서 폐동맥 고혈압 여부에 따른 혈중 CRP, ET-1의 차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 LABA 단독이나 코티코스테로이드를 병용하여 사용한 후 기도 확장 반응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는 안정상태 COPD환자의 30% 정도를 넘지 않으며38, 기류제한의 정도가 비슷하더라도 폐기종의 정도에 따라 혹은 LABA에 대한 반응의 차이로 나타날 수 있다. 저자들은 COPD 환자를 폐기능과 폐기종의 정도에 따라 4가지로 구분하고 ICS/LABA 복합제로 3개월 동안 치료한 후 폐기능 변화와 호흡곤란의 정도를 평가하여 이들 소집단별 치료결과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폐기종 정도는 CT sc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MRC 호흡곤란점수는 어떠한 평가도구로 이용되는가? 또한 호흡곤란지수 평가도구로 이용되는 MMRC 호흡곤란점수(Modified Research Council dyspnea score)가 있는데 평가기준이 범주형으로 되어 있어 정량적으로 호흡곤란 정도를 평가기는 어렵다6.
호흡곤란-12 (dyspnea12)이 호흡곤란을 정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른 호흡곤란의 평가도구로 호흡곤란-12 (dyspnea12)가 있는데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항목은 0∼3점으로 분류하여 총 0∼36점까지 평가할 수 있어 호흡곤란을 정략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7. 본 연구는 CAT 한국어판과 호흡곤란-12 한국어판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성 검증을 위한 것이다.
만성 폐쇄성 폐질환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경과를 모니터하는데 전통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COPD 환자를 진단하고 치료경과를 모니터하는데 전통적으로 폐기능 검사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폐기능 검사만으로 평가하는 것보다는 삶의 질, 운동능력, 증상의 악화 등 여러 면에서 평가하는 것이 예후를 예측하는데 더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4. 이러한 여러 지표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SGRQ (Sain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를 축약하여 COPD assessment test (CAT)가 개발되어 있으며5 최근 한국어판이 언어학적 평가를 거쳐 공개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Yoo KH, Kim YS, Sheen SS, Park JH, Hwang YI, Kim SH, et al.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the four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Respirology 2011;16:659-65. 

  2. Kim DS, Kim YS, Jung KS, Chang JH, Lim CM, Lee JH, et al. Prevalence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 Korea: a population-based spirometry survey.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5;172:842-7. 

  3. Lee S, Lee JS, Song JW, Choi CM, Shim TS, Kim TB, et al.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ssessment test (CAT) and Dyspnea-12 questionnaire. Tuberc Respir Dis 2010;69:171-6. 

  4. Celli BR, Cote CG, Marin JM, Casanova C, Montes de Oca M, Mendez RA, et al. The body-mass index, airflow obstruction, dyspnea, and exercise capacity index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4;350:1005-12. 

  5. Jones PW, Harding G, Berry P, Wiklund I, Chen WH, Kline Leidy N. Development and first validation of the COPD assessment test. Eur Respir J 2009;34:648-54. 

  6. Stoller JK, Ferranti R, Feinstein AR. Further specification and evaluation of a new clinical index for dyspnea. Am Rev Respir Dis 1986;134:1129-34. 

  7. Yorke J, Moosavi SH, Shuldham C, Jones PW. Quantification of dyspnoea using descriptors: development and initial testing of the Dyspnoea-12. Thorax 2010;65:21-6. 

  8. Kim MH, Lee K, Kim KU, Park HK, Jeon DS, Kim YS, et al.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frequent hospital readmissions for exacerbation of COPD. Tuberc Respir Dis 2010;69:243-9. 

  9. Douglas SL, Daly BJ, Gordon N, Brennan PF. Survival and quality of life: short-term versus long-term ventilator patients. Crit Care Med 2002;30:2655-62. 

  10.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Morbidity and mortality: 2007 chart book on cardiovascular, lung and blood diseases [internet]. Bethesda, MD: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2007 [cited 2010 Oct 14]. Available from: http://www.nhlbi.nih.gov/resources/docs/07a-chtbk.pdf. 

  11. Jeong SW, Lee JH, Choi KJ, Hwangbo Y, Kim YY, Lee YJ, et al. Comparisons of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in COPD patients hospitalized with community-acquired pneumonia and acute exacerbation. Tuberc Respir Dis 2010;69:31-8. 

  12. American Thoracic Society. Standards for the diagnosis and care of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5;152:S77-121. 

  13. Global Initiative for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GOLD). Global strategy for the diagnosis, management and prevention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internet]. [place unknown]: GOLD; c2009. [cited 2009 Nov 18]. Available from: http//www.goldcopd.org. 

  14. Anthonisen NR, Manfreda J, Warren CP, Hershfield ES, Harding GK, Nelson NA. Antibiotic therapy in exacerbations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n Intern Med 1987;106:196-204. 

  15. Kwon YS, Chi SY, Shin HJ, Kim EY, Yoon BK, Ban HJ, et al. Plasma C-reactive protein and endothelin-1 level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nd pulmonary hypertension. J Korean Med Sci 2010;25:1487-91. 

  16. Wright JL, Levy RD, Churg A. Pulmonary hypertens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urrent theories of pathogenesi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reatment. Thorax 2005;60:605-9. 

  17. Jung HS, Lee JH, Chun EM, Moon JW, Chang JH. Predictors of long-term mortality after hospitalization for acute exacerbation of COPD. Tuberc Respir Dis 2006;60:205-14. 

  18. Barbera JA, Riverola A, Roca J, Ramirez J, Wagner PD, Ros D, et al. Pulmonary vascular abnormalities and ventilation-perfusion relationships in mil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4;149:423-9. 

  19. Santos S, Peinado VI, Ramirez J, Melgosa T, Roca J, Rodriguez-Roisin R, et al. Characterization of pulmonary vascular remodelling in smokers and patients with mild COPD. Eur Respir J 2002;19:632-8. 

  20. Ballou SP, Lozanski G. Induction of inflammatory cytokine release from cultured human monocytes by C-reactive protein. Cytokine 1992;4:361-8. 

  21. Cermak J, Key NS, Bach RR, Balla J, Jacob HS, Vercellotti GM. C-reactive protein induces human peripheral blood monocytes to synthesize tissue factor. Blood 1993;82:513-20. 

  22. Joppa P, Petrasova D, Stancak B, Tkacova R. Systemic inflammation in patients with COPD and pulmonary hypertension. Chest 2006;130:326-33. 

  23. Yanagisawa M, Kurihara H, Kimura S, Tomobe Y, Kobayashi M, Mitsui Y, et al. A novel potent vasoconstrictor peptide produced by vascular endothelial cells. Nature 1988;332:411-5. 

  24. Allen SW, Chatfield BA, Koppenhafer SA, Schaffer MS, Wolfe RR, Abman SH. Circulating immunoreactive endothelin- 1 in children with pulmonary hypertension. Association with acute hypoxic pulmonary vasoreactivity. Am Rev Respir Dis 1993;148:519-22. 

  25. Ryu YJ, Chun EM, Lee JH, Chang JH.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outpatients with chronic airway lung disease. Korean J Intern Med 2010;25:51-7. 

  26. Crockett AJ, Cranston JM, Moss JR, Alpers JH. The impact of anxiety, depression and living alone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Qual Life Res 2002;11:309-16. 

  27. Dahlen I, Janson C. Anxiety and depression are related to the outcome of emergency treatment in patients with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hest 2002;122:1633-7. 

  28. Jo KW, Ra SW, Chae EJ, Seo JB, Kim NK, Lee JH, et al. Three phenotypes of obstructive lung disease in the elderly. Int J Tuberc Lung Dis 2010;14:1481-8. 

  29. Viegi G, Matteelli G, Angino A, Scognamiglio A, Baldacci S, Soriano JB, et al. The proportional Venn diagram of obstructive lung disease in the Italian general population. Chest 2004;126:1093-101. 

  30. Lee JS, Huh JW, Chae EJ, Seo JB, Ra SW, Lee JH, et al. Predictors of pulmonary function response to treatment with salmeterol/fluticason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J Korean Med Sci 2011;26:379-85. 

  31. Burge PS, Calverley PM, Jones PW, Spencer S, Anderson JA, Maslen TK. Randomised,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study of fluticasone propionate in patients with moderate to sever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ISOLDE trial. BMJ 2000;320:1297-303. 

  32. Lung Health Study Research Group. Effect of inhaled triamcinolone on the decline in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0;343:1902-9. 

  33. Mahler DA, Wire P, Horstman D, Chang CN, Yates J, Fischer T, et al. Effectiveness of fluticasone propionate and salmeterol combination delivered via the Diskus device in the treat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6:1084-91. 

  34. Calverley PM, Anderson JA, Celli B, Ferguson GT, Jenkins C, Jones PW, et al. Salmeterol and fluticasone propionate and survival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N Engl J Med 2007;356:775-89. 

  35. BTS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e COPD guidelines Group of the Standards of Care Committee of the BTS. Thorax 1997;52(Suppl 5):S1-28. 

  36. Burge PS, Calverley PM, Jones PW, Spencer S, Anderson JA. Prednisolone response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results from the ISOLDE study. Thorax 2003;58:654-8. 

  37. Lee JH, Lee YK, Kim EK, Kim TH, Huh JW, Kim WJ, et al. Responses to inhaled long-acting beta-agonist and corticosteroid according to COPD subtype. Respir Med 2010;104:542-9. 

  38. Callahan CM, Dittus RS, Katz BP. Oral corticosteroid therapy for patients with stable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meta-analysis. Ann Intern Med 1991;114:216-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