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호산구성 폐렴은 혈중 호산구가 $1,000/mm^3$ 이상이거나 폐포 내 호산구 분획이 25% 이상으로 나타나는 다양한 폐 질환을 총괄하여 부르는 용어이다. 혈중 호산구증가증은 특발성 급성 호산구 폐렴의 초기나 이미 부신피질호르몬 제제를 투여받은 환자에서는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호산구성 폐렴은 무증상의 폐 침윤에서 기계 환기가 필요한 급성 호흡 부전 증후군까지 증상의 중증도도 다양하다. 호산구성 폐렴의 원인으로 약제나 기생충이 있지만 많은 경우 원인을 찾을 수 없다. 폐 외 증상이 동반될 경우 Churg-Strauss 증후군이나 과다호산구증가 증후군의 가능성을 생가해야 되며 이런 경우 심장을 침범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예후가 결정된다. 가능한 원인에 대한 노출을 피하는 것 외에는, 부신피질호르몬 제제 투여가 가장 중요하며 대부분 극적인 호전을 보인다. 하지만 약제의 감량 중이나 치료 종결 후 재발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HES의 골수 증식성 변이형 치료에 imatinib의 효과가 최근 입증 되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설 설정

  • 1) 호흡기 증상은 보통 2주 이상의 기간 동안 지속된다.
  • 2) 흉부 방사선에서 양측에 미만성 침윤 병변을 보인다.
  • 5) 감염 등 급성 호산구성 폐렴을 일으킬만한 원인이 없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ICEP(특발성 만성 호산구성 폐렴)의 호흡기 증상은 어떠한가? 1) 호흡기 증상: 대부분 호흡곤란과 기침을 호소하며, 1/3∼1/2 정도에서 천식 병력이 있다. 천명음이 절반에서 들리며, 초기에는 마른 기침이지만 시간이 지나며 객담을 동반하게 된다7.
호산구성 폐렴이란 무엇인가? 호산구성 폐렴(eosinophilic pneumonias, EP)은 폐 실질 내 호산구의 침윤이 저명하고, 호산구가 병변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침윤성 폐 질환을 얘기한다. 보통 EP에서 말초 혈액 내 호산구증가증(1,000/mm3 이상, 특히 1,500/mm3)이 동반되지만 항상 있는 것은 아니다.
ICEP(특발성 만성 호산구 폐렴)의 진단 기준이 되는 4가지 특징은 무엇인가? 1) 호흡기 증상은 보통 2주 이상의 기간 동안 지속된다. 2) 폐포 및 혈중 호산구증가증(폐포 호산구증가증>25% 특히, >40%; 혈중 호산구증가증>1,000/mm3, 특히 1,500/mm3) 3) 흉부 방사선에서 폐 침윤은 보통 말초 부위이다. 4) 호산구성 폐 질환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원인을 배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Loffler W. Zur differential-diagnose der lungeninfiltrierungen. Il uber fluchtige succedan-infiltrate (mit eosinophilie). Beitr Klin Tuberk 1932;79:368-92 

  2. Crofton JW, Livingstone JL, Oswald NC, Roberts AT. Pulmonary eosinophilia. Thorax 1952;7:1-35 

  3. Reeder WH, Goodrich BE. Pulmonary infiltration with eosinophilia (PIE syndrome). Ann Intern Med 1952;36:1217-40 

  4. Cottin V, Cordier J-F. Eosinophilic pneumonias. Allergy 2005;60:841-57 

  5. Marchand E, Cordier JF. Idiopathic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6;27:134-41 

  6. Thomeer MJ, Costabe U, Rizzato G, Poletti V, Demedts M. Comparison of registries of interstitial lung diseases in three European countries. Eur Respir J Suppl 2001;32:114s-8s 

  7. Marchand E, Reynaud-Gaubert M, Lauque D, Durieu J, Tonnel AB, Cordier JF. Idiopathic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A clinical follow-up study of 62 cases. The Groupe d'Etudes et de Recherche sur les Maladies "Orphelines" Pulmonaires (GERM "O" P). Medicine (Baltimore) 1998;77:299-312 

  8. Jeong YJ, Kim KI, Seo IJ, Lee CH, Lee KN, Kim KN, et al. Eosinophilic lung diseases: a clinical, radiologic, and pathologic overview. Radiographics 2007;27:617-39 

  9. Marchand E, Etienne-Mastroianni B, Chanez P, Lauque D, Leclerc P, Cordier JF. Idiopathic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and asthma: how do they influence each other? Eur Respir J 2003;22:8-13 

  10. Durieu J, Wallaert B, Tonnel AB. Long-term follow-up of pulmonary function in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Groupe d'Etude en Pathologie Interstitielle de la Societe de Pathologie Thoracique du Nord. Eur Respir J 1997;10:286-91 

  11. Badesch DB, King TE Jr, Schwarz MI.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 hypersensitivity phenomenon? Am Rev Respir Dis 1989;139:249-52 

  12. Allen JN, Pacht ER, Gadek JE, Davis WB.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s a reversible cause of non-infectious respiratory failure. N Engl J Med 1989;321:569-74 

  13. Philit F, Etienne-Mastroianni B, Parrot A, Guerin C, Robert D, Cordier JF. Idiopathic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 study of 22 patient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6:1235-9 

  14. Daimon T, Johkoh T, Sumikawa H, Honda O, Fujimoto K, Koga T, et al.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thin-section CT findings in 29 patients. Eur J Radiol 2008;65:462-7 

  15. Rom WN, Weiden M, Garcia R, Yie TA, Vathesatogkit P, Tse DB, et al.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in a New York City firefighter exposed to World Trade Center dust.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2;166:797-800 

  16. Shorr AF, Scoville SL, Cersovsky SB, Shanks GD, Ockenhouse CF, Smoak BL, et al.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mong US military personnel deployed in or near Iraq. JAMA 2004;292:2997-3005 

  17. Pope-Harman AL, Davis WB, Allen ED, Christoforidis AJ, Allen JN.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A summary of 15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Baltimore) 1996;75:334-42 

  18. Allen J. Acute eosinophilic pneumonia.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6;27:142-7 

  19. Hardy WR, Anderson RE. The hypereosinophilic syndrome. Ann Intern Med 1968;68:1220-9 

  20. Chusid MJ, Dale DC, West BC, Wolff SM. The hypereosinophilic, syndrome: analysis of fourteen cases with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Baltimore) 1975;54:1-27 

  21. Cools J, DeAngelo DJ, Gotlib J, Stover EH, Legare RD, Cortes J, et al. A tyrosine kinase created by fusion of the PDGFRA and FIP1L1 genes as a therapeutic target of imatinib in idiopathic hypereosinophilic syndrome. N Engl J Med 2003;348:1201-14 

  22. Kilon AD, Robyn J, Akin C, Noel P, Brown M, Law M, et al. Molecular remission and reversal of myelofibrosis in response to imatinib mesylate treatment in patients with the myeloproliferative variant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 Blood 2004;103:473-8 

  23. Cogan E, Schandene' L, Crusiaux A, Cochaux P, Velu T, Goldman M. Clonal proliferation of type 2 helper T cells in a man with the hypereosinophilic syndrome. N Engl J Med 1994;330:535-8 

  24. Fauci AS, Harley JB, Roberts WC, Ferrans VJ, Gralnick HR, Bjornson BH. The idiopathic hypereosinophilic syndrome: clinical, pathophysiologic and therapeutic considerations. Ann Intern Med 1982;97:78-92 

  25. Roufosse F, Goldman M, Cogan E. Hypereosinophilic syndrome: lymphoproliferative and myeloproliferative variants.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6;27:158-70 

  26. Roufosse F, Cogan E, Goldman M. Recent advances in pathogenesis and management of hypereosinophilic syndromes. Allergy 2004;59:673-89 

  27. Hinson KF, Moon AJ, Plummer NS.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 review and a report of eight new cases. Thorax 1952;7:317-33 

  28. Pepys A. Hypersensitivity diseases of the lung due to fungi and organic dusts. In: Karger S, editor. Monographs in allergy. Basel, Switzerland: S. Karger; 1969 

  29. Tillie-Leblond I, Tonnel AB.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llergy 2005;60:1004-13 

  30. Greenberger PA.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J Allergy Clin Immunol 2002;110:685-92 

  31. Proceedings of the Cystic Fibrosis Foundation ABPA consensus conference. Bethesda, Md: 2001 Jun 12-13. Bethesda, Md: North American Cystic Fibrosis Foundation, 2002 

  32. Patterson R, Greenberger PA, Radin RC, Roberts M.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staging as an aid to management. Ann Intern Med 1982;96:286-91 

  33. Hemmann S, Menz G, Ismail C, Blaser K, Crameri R. Skin test reactivity to 2 recombinant Aspergillus fumigatus allergens in A fumigatus-sensitized asthmatic subjects allows diagnostic separation of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from fungal sensitization. J Allergy Clin Immunol 1999;104:601-7 

  34. Malo JL, Inouye T, Hawkins R, Simon G, Turner-Warwick M, Pepys J. Studies in chronic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4. Comparison with a group of asthmatics. Thorax 1977;32:275-80 

  35. Stevens DA, Schwartz HJ, Lee JY, Moskovitz BL, Jerome DC, Catanzard A, et al. A randomized trial of itraconazole in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N Engl J Med 2000;342:756-62 

  36. Wark PA, Hensley MJ, Saltos N, Boyle MJ, Toneguzzi RC, Epid GD,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itraconazole in stable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llergy Clin Immunol 2003;111:952-7 

  37. Hong ST. Gungnae gisaengchung gamnyeomjeungui hyeonhwang. J Korean Med Assoc 1998;41:737-45 

  38. Chai JY. Food-borne parasitic diseases. J Korean Med Assoc 2004;47:496-507 

  39. Shin S. Parasitic zoonosis transmitted by pet animals. J Korean Med Assoc 2004;47:527-34 

  40. Chitkara RK, Krishna G. Parasitic pulmonary eosinophilia.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6;27:171-84 

  41. Solomon J, Schwarz M. Drug-, toxin-, and radiation therapy-induced eosinophilic pneumonia. Semin Respir Crit Care Med 2006;27:192-7 

  42. Kilbourne EM, Rigau-Perez JG, Heath CW Jr. Clinical epidemiology of toxic-oil syndrome. Manfestations of a new illness. N Engl J Med 1983;309:1408-14 

  43. Alonso-Ruiz A, Calabozo M, Perez-Ruiz F, Mancebo L. Toxic oil syndrome. A long-term follow-up of a cohort of 332 patients. Medicine (Baltimore) 1993;72:285-95 

  44. Silver RM, Heyes MP, Maize JC, Quearry B, Vionnet-Fuasset M, Sternberg EM. Scleroderma, fascities, and eosinophilia associated with the ingestion of tryptophan. N Engl J Med 1990;322:874-81 

  45. Cottin V, Frognier R, Monnot H. Chronic eosinophilic pneumonia after radiation therapy for breast cancer. Eur Respir J 2004;23:9-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