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배경: 결핵의 치료력이 없는 결핵환자에서 발생하는 초회 약제내성은 결핵관리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특히 민간의료기관에서 치료받는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천안지방의 한 3차병원에서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과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 2005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객담결핵균 배양검사 양성인 초치료 폐결핵환자 모두에 대해서 일차약과 이차약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초회 약제내성의 양상과 함께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을 분석하였다. 또한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가 치료 처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156명의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 대해서 약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21명(15.6%)이었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환자는 1명(0.6%)이었다. 임상소견 중 초회 약제내성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요소는 없었다.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의해 15명(9.6%)의 환자에서 치료처방의 변경이 있었다. 결론: 폐결핵에서 초회 약제내성은 흔히 관찰되며 초 치료 폐결핵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는 환자치료에 도움이 된다.
연구배경: 결핵의 치료력이 없는 결핵환자에서 발생하는 초회 약제내성은 결핵관리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이다. 그러나 우리나라, 특히 민간의료기관에서 치료받는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천안지방의 한 3차병원에서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과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방법: 2005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객담 결핵균 배양검사 양성인 초치료 폐결핵환자 모두에 대해서 일차약과 이차약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초회 약제내성의 양상과 함께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을 분석하였다. 또한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가 치료 처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총 156명의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 대해서 약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21명(15.6%)이었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환자는 1명(0.6%)이었다. 임상소견 중 초회 약제내성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요소는 없었다.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의해 15명(9.6%)의 환자에서 치료처방의 변경이 있었다. 결론: 폐결핵에서 초회 약제내성은 흔히 관찰되며 초 치료 폐결핵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는 환자치료에 도움이 된다.
Background: Drug resistant tuberculosis (TB) in patients who have not received previous TB treatment (initial drug resistance) is a serious problem for the control of TB. However, prevalence of initial drug resistance among pulmonary TB patients has not been well characterized in Korea, especially i...
Background: Drug resistant tuberculosis (TB) in patients who have not received previous TB treatment (initial drug resistance) is a serious problem for the control of TB. However, prevalence of initial drug resistance among pulmonary TB patients has not been well characterized in Korea, especially in the private sector. We assessed the prevalence of initial drug resistance and evaluated the risk factors for drug resistance in pulmonary TB patients, at a regional tertiary hospital in Cheonan. Methods: We performed a drug susceptibility test for both first and second line anti-TB drugs in all culture-confirmed pulmonary TB patients who had not received a previous TB treatment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5 to September 2007.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initial drug resistance patter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initial drug resistance. We also assessed the influence of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results on the treatment regimen. Results: Of the total 156 cases where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TB drug was found in 21 cases (15.6%) and multidrug resistance, where TB was resistant to at least isoniazid and rifampin, was found in one case (0.6%).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no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itial drug resistance. Of the total 156 patients who underwent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the treatment regimen was changed for 15 patients (9.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Conclusion: Initial drug resistance is common and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is informative for pulmonary TB patients who have not received previous TB treatment.
Background: Drug resistant tuberculosis (TB) in patients who have not received previous TB treatment (initial drug resistance) is a serious problem for the control of TB. However, prevalence of initial drug resistance among pulmonary TB patients has not been well characterized in Korea, especially in the private sector. We assessed the prevalence of initial drug resistance and evaluated the risk factors for drug resistance in pulmonary TB patients, at a regional tertiary hospital in Cheonan. Methods: We performed a drug susceptibility test for both first and second line anti-TB drugs in all culture-confirmed pulmonary TB patients who had not received a previous TB treatment at Dankook University Hospital from September 2005 to September 2007.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initial drug resistance patter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atients to evaluate the risk factors for initial drug resistance. We also assessed the influence of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results on the treatment regimen. Results: Of the total 156 cases where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was performed, resistance to at least one anti-TB drug was found in 21 cases (15.6%) and multidrug resistance, where TB was resistant to at least isoniazid and rifampin, was found in one case (0.6%).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showed no clinical characteristics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initial drug resistance. Of the total 156 patients who underwent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the treatment regimen was changed for 15 patients (9.6%)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Conclusion: Initial drug resistance is common and the drug susceptibility test is informative for pulmonary TB patients who have not received previous TB treatment.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민간병원에서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서 결핵균이 검출되었을 때 약제감수성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결핵균이 배양된 초치료 폐결핵환자 모두에서 결핵균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여 초회 약제내성 양상과 그 결과가 치료 처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천안 지역의 한 대학병원의 결핵클리닉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모든 초치료 폐결핵환자들에 대해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약제내성의 양상과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방침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약제감수성 검사 당시의 임상소견과 방사선 소견을 분석하여 이들이 초회 약제내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이에 저자들은 천안 지역의 한 대학병원의 결핵클리닉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모든 초치료 폐결핵환자들에 대해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약제내성의 양상과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방침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약제감수성 검사 당시의 임상소견과 방사선 소견을 분석하여 이들이 초회 약제내성을 예측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그러나 우리나라, 특히 민간의료기관에서 치료받는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에 대해서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천안지방의 한 3차병원에서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과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제안 방법
결핵균 배양검사는 3% Ogawa 배지를 이용하였고 8주까지 배양하면서 항산균이 배양되면 서울의과학 연구소(Seoul Medical Science Institute)에 균동정 및 감수성 검사를 의뢰하였다. 결핵균 동정은 niacin test와 catalase test를 이용하였으며 결핵균이 동정되었을 경우 일차약과 이차약 모두에 대해 절대 농도법과 내성비율법으로 약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핵균 배양검사는 3% Ogawa 배지를 이용하였고 8주까지 배양하면서 항산균이 배양되면 서울의과학 연구소(Seoul Medical Science Institute)에 균동정 및 감수성 검사를 의뢰하였다. 결핵균 동정은 niacin test와 catalase test를 이용하였으며 결핵균이 동정되었을 경우 일차약과 이차약 모두에 대해 절대 농도법과 내성비율법으로 약제 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다. 내성의 기준 농도는 이소니아지드 0.
대상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폐결핵 진단 당시 당뇨병, 암, 진폐증, 면역억제제의 사용과 같은 결핵의 위험요소로 알려진 동반질환 유무를 판정하였고9,진단 당시의 폐 침범의 정도는 미국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NTA)에서 제안한 단순 흉부방사선 사진상의 분류로 경증(minimal), 중등도(moderate advanced), 중증(far advanced)으로 판정하여 분석하였으며10, 공동의 존재 유무는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만으로 판정하였다. 약제내성을 보인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처방에 변경이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 공동의 존재 유무는 단순 흉부 방사선 사진만으로 판정하였다. 약제내성을 보인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여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처방에 변경이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초회 약제내성의 위험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모든 약제에 감수성을 보인 약제감수성군과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약제내성군의 임상소견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았다(Table 2). 135명의 약제감수성군 중 남자가 85명(63.
6%의 환자에서 치료방침의 변경이 있었다. 일차약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만 내성을 보인 9명은 에탐부톨,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9개월 치료로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에탐부톨, 파라아미노살리실산, 에티오나미드에 동시 내성을 보인 환자는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으로 처방을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 스트렙토마이신에 동시내성을 보인 환자는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 프로티오나미드(prothionamide)로 치료처방을 변경하였다.
그러나 실제 임상에서는 미국흉부학회의 공식적인 권장과는 달리 리팜핀,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를 9개월 이상 사용한 경우가 가장 흔하였다20,21. 본 연구에서도 일차약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 단독내성을 보인 환자가 13명으로 가장 많았는데 에탐부톨,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9개월 치료로 변경하였다. 이소니아지드와 에탐부톨에 동시 내성을 보인 환자는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으로 처방을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내성을 보인 환자는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 프로티오나미드로 치료처방을 변경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일차약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 단독내성을 보인 환자가 13명으로 가장 많았는데 에탐부톨,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9개월 치료로 변경하였다. 이소니아지드와 에탐부톨에 동시 내성을 보인 환자는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으로 처방을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내성을 보인 환자는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 프로티오나미드로 치료처방을 변경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모든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서 일률적으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치료방침의 변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방법: 2005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객담 결핵균 배양검사 양성인 초치료 폐결핵환자 모두에 대해서 일차약과 이차약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초회 약제내성의 양상과 함께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을 분석하였다. 또한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가 치료 처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2005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단국대학교병원에서 객담 결핵균 배양검사 양성인 초치료 폐결핵환자 모두에 대해서 일차약과 이차약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초회 약제내성의 양상과 함께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을 분석하였다. 또한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가 치료 처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2005년 9월부터 단국대학교병원 결핵 클리닉에서는 초치료 폐결핵 환자들에서도 결핵균이 배양되면 일차약과 이차약 모두에 대해 약제감수성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9월까지 결핵클리닉에서 초치료 폐결핵으로 진단받고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초치료 폐결핵이라 함은 항결핵 약물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없는 환자로 외부병원이나 보건소에서 결핵약을 처방받고 단국대학교병원으로 의뢰된 환자의 경우 항결핵 약제를 복용한 기간이 1주 이내에 객담검사를 시행한 환자로 하였다.
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이소니아지드에 단독내성을 보인 환자는 9명이었다. 스트렙토마이신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8명, 오플록사신 3명, 에티오나미드 2명, 리팜핀, 에탐부톨, 파라아미노살리실산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각각 1명이었다(Table 1).
데이터처리
통계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초회 약제내성의 위험요소 의 단변량 분석(univariate analysis)은 카이제곱 검증과 Fisher exact test로 시행하였고, 다변량 분석(multivariate analysis)은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판단 기준은 p<0.
이론/모형
0 ug/ml; 리팜핀 1 ug/ml; 에탐부톨 5와 10 u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 2와 10 ug/ml; 카나마이신(kanamycin) 5 ug/ml; 시클로세린(cycloserine) 30 ug/ml; 에티오나미드(Ethionamide) 5 ug/ml; 파라아미노살리실산(para-aminosalicylic acid) 2 ug/ml로 하였고 약제가 포함되지 않은 배지에서 자란 결핵균 집락의 숫자가 전체 결핵균 집락의 1%를 넘으면 그 약제에 대해 내성이 생겼다고 판정하였다. 피라진아마이드는 pyrazinamidase test로 내성 여부를 검사하였다.
성능/효과
약제감수성 검사에서 모든 약제에 감수성을 보인 환자는 135명(84.4%)이었으며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21명으로 초회 약제내성률은 15.6%였다(Table 1). 약제내성 환자 중에서 한 가지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14명이었으며 2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7명이었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결핵환자는 1명으로 초회 다제내성률은 0.
6%였다(Table 1). 약제내성 환자 중에서 한 가지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14명이었으며 2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7명이었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에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결핵환자는 1명으로 초회 다제내성률은 0.6%였다. 전체 대상 환자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 내성을 보인 환자가 15명(9.
6%였다. 전체 대상 환자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 내성을 보인 환자가 15명(9.6%)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중 이소니아지드에 단독내성을 보인 환자는 9명이었다. 스트렙토마이신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8명, 오플록사신 3명, 에티오나미드 2명, 리팜핀, 에탐부톨, 파라아미노살리실산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각각 1명이었다(Table 1).
3%)으로 당뇨병 환자가 6명 스테로이드를 복용중인 환자가 1명이었다. 결핵 병변의 폐침범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 경증, 중등도, 중증 환자의 비율은 약제감수성군에서 각각 21.5%, 60.0%, 18.5%였으며 약제내성군에서는 각각 14.3%, 57.1%, 28.6%로 두 군 사이에 차이가 없었다. 공동성 병변은 약제감수성군에서 23.
21명의 약제내성군 중에서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방침의 변경을 보인 환자는 15명(71.4%)이었는데 약제감수성을 시행한 156명 전체 환자로 보면 9.6%의 환자에서 치료방침의 변경이 있었다. 일차약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만 내성을 보인 9명은 에탐부톨,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9개월 치료로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에탐부톨, 파라아미노살리실산, 에티오나미드에 동시 내성을 보인 환자는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으로 처방을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 스트렙토마이신에 동시내성을 보인 환자는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 프로티오나미드(prothionamide)로 치료처방을 변경하였다.
이는 민간 병원의 초회 약제내성률을 보고한 다른 연구들보다는 약제내성률이 훨씬 낮았지만 보건소에 등록한 환자들의 초회 다제내성률에 비해 높은 수치였다5,12. 천안 지방의 한 3차병원에서 객담 결핵균 배양 양성 초치료 폐결핵 환자 모두에 대하여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본 연구에서는 일차약 및 이차약에 대한 초회 약제내성률은 15.6%였으며 초회 다제내성률은 0.6%에 불과하였다. 그리고 일차약에 대한 내성률만 보았을 때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15명(9.
052)(Table 2). 도말양성이 초회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인지 알아본 본 연구에서도 카이제곱 검증과 단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는 약제내성군에서 감수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도말양성 환자가 많았으나,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을 때는 독립적인 위험요소가 아니었다(p=0.062). Min 등14의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에서 초회 다제내성 결핵환자가 유의하게 많았다.
그러나 당뇨병을 포함하여 결핵의 위험요소가 있는 환자군에서 위험요소가 없는 환자군에 비해 약제내성 결핵의 발생률이 유의하게 높지 않다는 보고도 있다17. 본 연구에서도 결핵의 위험요소로 알려진 기저질환의 동반이 약제내성군에서 약제감수성군보다 더 많이 관찰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p= 0.052). 이상의 결과들과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임상양상으로 초회 약제내성의 위험성이 큰 환자는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으나 신뢰도는 높지 않으므로 임상적 위험요소가 없다고 약제감수성 검사를 생략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약제내성을 보인 21명의 환자 중에서 이소니아지드에 내성을 보인 환자가 15명으로 가장 많았고, 스트렙토마이신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8명, 오플록사신 3명의 순으로 내성을 보인 환자가 많았다(Table 1). Choi 등9의 연구에서도 초회 약제내성을 보인 환자 중에서 이소니아지드 내성비율이 10.
약제감수성 검사에서 약제내성을 보인 21명의 환자 중에서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방침의 변경을 보인 환자는 15명(71.4%)이었으며 이는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한 156명 전체 환자로 보면 9.6%의 환자에서 치료 방침의 변경이 있었다. 이소니아지드 단독내성 결핵의 치료는 표준화된 처방이 전 세계적으로 확립되어 있지 않다.
이소니아지드와 에탐부톨에 동시 내성을 보인 환자는 리팜핀,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으로 처방을 변경하였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내성을 보인 환자는 에탐부톨, 피라진아마이드, 카나마이신, 레보플록사신, 프로티오나미드로 치료처방을 변경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모든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서 일률적으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치료방침의 변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결과: 총 156명의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 대해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21명(15.6%)이었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환자는 1명(0.6%)이었다. 임상소견 중 초회 약제내성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요소는 없었다.
결론: 폐결핵에서 초회 약제내성은 흔히 관찰되며 초치료 폐결핵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는 환자치료에 도움이 된다.
후속연구
민간병원에서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서 결핵균이 검출되었을 때 약제감수성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필요한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결핵균이 배양된 초치료 폐결핵환자 모두에서 결핵균에 대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여 초회 약제내성 양상과 그 결과가 치료 처방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저자들은 천안 지역의 한 대학병원의 결핵클리닉에서 결핵균이 배양된 모든 초치료 폐결핵환자들에 대해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고 약제내성의 양상과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따라 치료 방침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아보았다.
결핵환자의 약제내성 여부를 미리 예측할 수 있는 임상소견이 있다면 약제감수성 검사결과가 나오기 전에 미리 충분한 약제들의 복합요법을 시행하여 새로운 약제내성의 발생을 예방할 뿐만 아니라 치료 성공률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폐결핵환자에서 약제내성의 예측인자를 찾기 위한 연구들에 따르면 환자들의 연령, 과거 치료력, 흉부방사선상 병변의 범위, 흉부 방사선상 공동 유무, 객담 검사에서 결핵균 도말양성 여부, 진단 당시의 면역억제 질환의 동반 유무 등이 약제내성 결핵의 예측인자들로 거론되고 있다7,9,13,14.
052). 이상의 결과들과 본 연구의 결과로 보아 임상양상으로 초회 약제내성의 위험성이 큰 환자는 어느 정도 예측할 수 있으나 신뢰도는 높지 않으므로 임상적 위험요소가 없다고 약제감수성 검사를 생략하지 않아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대상 환자의 숫자가 156명으로 다른 연구들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을 뿐 아니라 한 지역의 3차병원에서 치료하는 환자들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민간병의원에서 진단받은 초치료 폐결핵환자들의 약제내성률을 대표하는 데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의 의의는 우리나라 민간의료기관에서 치료받고 있는 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 특히 초회 다제내성률이 과거에 추정되었던 것처럼 높지 않으며 모든 초치료 결핵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지지하는 처음의 자료라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의 의의는 우리나라 민간의료기관에서 치료받고 있는 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 특히 초회 다제내성률이 과거에 추정되었던 것처럼 높지 않으며 모든 초치료 결핵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는 것을 지지하는 처음의 자료라는 점이다. 우리나라 민간의료기관에서 치료 받는 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 그리고 모든 초치료 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일률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비용 대비 효과 면에서 유익인지 또한 일차약에 대해서만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할지 아니면 일차약과 이차약 모두에 대해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유익한지 더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전역(multi-center)의 여러 의료기관에서 보다 많은 초치료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제내성 결핵의 특징은 무엇인가?
결핵으로 치료받은 과거력이 없는 초치료 폐결핵의 경우 이소니아지드(isoniazid), 리팜핀(rifampin), 에탐부톨(ethambutol), 피라진아마이드(pyrazinamide)를 6개월간 병용치료 하는 표준요법(standard chemotherapy)으로 대부분에서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초치료 폐결핵이라 하더라도 약제내성, 특히 항결핵 효과가 가장 좋은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결핵(multidrug resistant tuberculosis)의 경우 표준요법으로 치료하더라도 치료에 실패할 위험이 크다.
폐결핵환자들의 초회 약제내성률과 약제내성의 위험요소에 대해 알아본 결과 및 결론은 어떠한가?
결과: 총 156명의 초치료 폐결핵 환자에 대해서 약제감수성 검사를 시행하였는데 한 가지 이상의 약제에 내성을 보인 환자는 21명(15.6%)이었으며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환자는 1명(0.6%)이었다. 임상소견 중 초회 약제내성을 예측할 수 있는 독립적인 위험요소는 없었다. 약제감수성 검사 결과에 의해 15명(9.6%)의 환자에서 치료처방의 변경이 있었다.
결론: 폐결핵에서 초회 약제내성은 흔히 관찰되며 초치료 폐결핵환자에서 약제감수성 검사는 환자치료에 도움이 된다.
결핵으로 치료받은 과거력이 없는 초치료 폐결핵의 경우에는 어떤 방법으로 대부분 완치가 가능한가?
결핵으로 치료받은 과거력이 없는 초치료 폐결핵의 경우 이소니아지드(isoniazid), 리팜핀(rifampin), 에탐부톨(ethambutol), 피라진아마이드(pyrazinamide)를 6개월간 병용치료 하는 표준요법(standard chemotherapy)으로 대부분에서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초치료 폐결핵이라 하더라도 약제내성, 특히 항결핵 효과가 가장 좋은 이소니아지드와 리팜핀에 동시 내성을 보이는 다제내성 결핵(multidrug resistant tuberculosis)의 경우 표준요법으로 치료하더라도 치료에 실패할 위험이 크다.
참고문헌 (21)
Hong Kong Tuberculosis Treatment Services/British Medical Research Council Investigation. A study in Hong Kong to evaluate the role of pretreatment susceptibility tests in the selection of regiments of chemotherapy for pulmonary tuberculosis. Am Rev Respir Dis 1972;106:1-22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1997. Tuberc Respir Dis 1997;44:1447-53
American Thoracic Society/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Diagnostic standards and classification of tuberculosis in adults and children.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0;161:1376-95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pulmonary tuberculosis. Seoul: Korean Academy of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5
Bai GH. Anti-tuberculosis drug resistance in Korea. CDMR 2005;16:101-7
Jung YJ, Park IN, Hong SB, Oh YM, Lim CM, Lee SD, et al.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diagnosis, treatment, and outcomes of patients with tuberculosis at a privat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Tuberc Respir Dis 2006;60:194-204
Son CH, Yang DK, Rho MS, Jeong JS, Lee H, Lee KN, et al. Prevalence of drug-resistance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and its association with clinical characteristics at one tertiary referral hospital in Pusan, Korea. Tuberc Respir Dis 2001;51:416-25
Jeong SH, Lee DD, Choi JC, Kim SJ, Shin JH, Jeong JS, et al. Multi-center study on cost effectiveness of anti-tuberculosis drug susceptibility test. Infect Chemother 2005;37:16-21
Choi JC, Lim SY, Suh GY, Chung MP, Kim H, Kwon OJ, et al. Drug resistance rates of Mycobacterium tuberculosis at a private referral center in Korea. J Korean Med Sci 2007;22:677-81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of USA. Diagnostic standards and classification of tuberculosis. New York: National Tuberculosis Association; 1961
Pablos-Mendez A, Raviglione MC, Laszlo A, Binkin N, Rieder HL, Bustreo F, et al. Global surveillance for antituberculosis-drug resistance, 1994-1997. N Engl J Med 1998;338:1641-9
Bashar M, Alcabes P, Rom WN, Condos R. Increased incidence of multidrug-resistant tuberculosis in diabetic patients on the Bellevue Chest Service, 1987 to 1997. Chest 2001;120:1514-9
Kim DK, Kim MO, Kim TH, Sohn JW, Yoon HJ, Shin DH, et al.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drug resistant pulmonary tuberculosis investigated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Tuberc Respir Dis 2005;58:243-7
Bass JB Jr, Farer LS, Hopewell PC, O'Brien R, Jacobs RF, Ruben F, et al. Treatment of tuberculosis and tuberculosis infection in adults and children. American Thoracic Society and The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m J Respir Crit Care Med 1994;149:1359-74
American Thoracic Society,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d the Infectious Diseases Society. American Thoracic Society/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Infectious Diseases Society of America: treatment of tuberculosis. Am J Respir Crit Care Med 2003;167:603-62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