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단어읽기 능력 예측변수 : 연령 집단별, 단어 유형별 분석
Predictors of Preschoolers' Reading Skills : Analysis by Age Groups and Reading Task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4 = no.94, 2008년, pp.41 - 54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생활과학부 아동학) ,  이순형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dictors concerning preschoolers' ability to read words, in terms of their sub-skills of alphabet knowledge,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processing. Fourteen literacy sub-tests and three types of reading tasks were administered to 289 kinde...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rith(1985)가 제시한 읽기 발달 단계는 무엇인가? 마지막으로, Frith(1985)는 유아들이 단어를 읽을 때 사용하는 전략을 중심으로 더욱 구체적인 읽기 발달 단계를 제시했다. 첫 단계에서는 기호 전략(logographic strategy)을 사용하여 해독 과정 없이 단어 전체와 발음 간의 단순한 연합에 의해 읽는다. 두 번째는 자소-음소 대응 규칙을 이해하여 새로운 단어를 읽을 때 적용하는 자모 전략(alphabetic strategy)의 단계이다. 세 번째로 철자 전략(orthographic strategy) 단계에서는 기호 전략 단계에 비해 체계적인 분석이 가능해서 익숙하지 않은 단어를 익숙한 부분으로 분절해서 재인할 수 있고, 자모 전략 단계에 비해 대응 단위가 커져서 음운적 부호화 없이 시각적 재인이 이루어진다. 즉, 익숙한 단어는 자동화를 통해, 익숙하지 않은 단어는 자소-음소 대응 규칙을 적용함으로써 읽는 시기이다.
단계 이론은 무엇에 따라 단계의 설정이나 구분이 달라지는가? 단계 이론에서는 비관습적 읽기와 관습적 읽기, 또는 어떠한 특정 문해 기술의 발달에 초점을 맞추느냐에 따라, 그리고 초점을 둔 문해 기술과 읽기 간의 관계를 어떻게 가정하는지에 따라 단계의 설정이나 구분이 달라질 수 있다. 단계 이론이 후속 연구나 교육 현장으로 이어질 때, 연구의 관심 변수에 따라 혹은 서로 다른 문자 체계를 사용하는 문화마다 그 적용 가능성이 달라진다면 이론화의 의미가 없다.
단어 우위 효과는 무엇인가? 이처럼 실제 단어, 유사단어, 저빈도 글자라는 유형에 따라 지각 또는 읽기의 수행이 다르게 나타난다. 이 중에서 실제 단어가 유사단어에 비해 더 쉽게 지각되는 현상을 단어 우위 효과(word superiority effect; WSE)라고 한다. 이는 Catell(1886) (Grainger & Jacobs(1994)에서 재인용)이 처음으로 정립한 개념으로 최근까지 많은 연구에서 확인되었으며, 시각적 단어 재인에서 낱낱의 자모를 기반으로 판단이 이루어진다는 견해를 반박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김선옥.공숙자.조희숙(2004). 음운처리과정이 4세와 5세 유아의 읽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37-56 

  2. 김선옥(2005). 유아의 읽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단기 종단적 접근. 유아교육연구, 25(1), 129-146 

  3. 김정화.이문정(2003). 소리 내어 책읽기에서 나타나는 실수를 통한 유아의 읽기 전략 분석. 아동학회지, 24(5), 91-104 

  4. 김현자.조증열(2001). 학령전 아동에서 음운인식, 시각지각 및 한글 읽기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4(2), 15-28 

  5. 문수백.변창진(1997). 한국판 카우프만 아동용 개별지능검사(K-ABC; Kaufman Assessment Battery for Children). 서울 : 학지사 

  6. 박혜원.곽금주.박광배(1996). 한국판 웩슬러 유아용 지능검사(K-WPPSI).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7. 연세대 한국어 편찬실(1991). 한글 음절빈도순 목록. 서울 : 연세대학교 출판부 

  8. 윤혜경(1997). 한글 읽기에서 '글자 읽기' 단계에 관한 연구. 인간발달연구, 4(1), 66-74 

  9. 윤혜경(2001). 한글 해호화 과정의 특성. 인간발달연구, 8(1), 27-40 

  10. 이문옥(1997). 5세 아동과 1학년 아동의 읽기.쓰기 발달과 가정 문해 환경의 상관관계 연구. 교육학연구, 35(3), 263-281 

  11. 이차숙(1999a). 유아의 음운인식과 읽기 능력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교육학연구, 37(1), 389-406 

  12. 이차숙(1999b). 읽기 과정에서 단어 재인의 역할에 대한 이해. 유아교육연구, 19(1), 133-150 

  13. 이혜숙.박현숙(1999). 읽기장애 아동과 비장애 아동의 음운처리과정 및 읽기 재인간 비교 연구. 언어청각장애연구, 4, 79-102 

  14. 최나야(2007a).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73-95 

  15. 최나야(2007b). 한글 자음과 모음에 대한 유아의 지식이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3), 151-168 

  16. Adams, M. J.(1990).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print. Cambridge, MA: MIT Press 

  17. Adams, M. J.(1994). Beginning to read: Thinking and learning about print. Cambridge, MA: MIT Press 

  18. Arthur, T. A. A., Hitch, G. J., & Halliday, M. S.(1994). Articulatory loop and children's reading.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5, 283-300 

  19. Baddeley, A. D.(1986). Working Memo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 Badian, N. A.(2000). Do preschool orthographic skills contribute to prevention of reading? In N. Badian (Ed.), Prediction and prevention of reading failure (pp. 31-56). Timonium, MD: York Press 

  21. Blachman, B. A.(1994). What we have learned from longitudinal studies of phonological processing and reading, and some unanswered questions: A response to Torgesen, Wagner, and Rashotte. Journal of Learning Disabilities, 27(5), 287-291 

  22. Bradley, L., & Bryant, P. E.(1983). Categorizing sounds and learning to read: A causal connection. Nature, 310, 419-421 

  23. Chall, J. S.(1983). Stages of reading development. N.Y.: McGraw-Hill 

  24. Chard, D. J., Simmons, D. C., & Kameenui, E. J.(1998). Word recognition: Instructional and curricular basics and implications. In D. Simmons & E. J. Kameenui (Eds.), What reading research tells us about children with diverse learning needs: Bases and basics (pp. 141-167). Mahwah, NJ: Erlbaum 

  25. Cho, J., & McBride-Chang, C.(2005). Correlates of Korean Hangul acquisition among kindergarteners and second graders.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9(1), 3-16 

  26. Choi, N.(2005, June). Predictors of Korean preschoolers' words and sentences reading. Paper presented at the 12th Annual Meeting of SSSR(Society for the Scientific Study of Reading). Toronto, ON 

  27. Clay, M. M.(1966). Emergent reading behavior.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uckland, New Zealand 

  28. Cunningham, A. E.(1990). Explicit vs. implicit instruction in phonemic awareness.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0, 429-444 

  29. Dodd, B., & Carr, A.(2003). Young children's letter-sound knowledge. Language, Speech & Hearing Services in Schools, 34(2), 128-137 

  30. Duncan, L., & Seymour, P.(2000). Socio-economic differences in foundation-level literacy.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1, 145-166 

  31. Fletcher, J. M., & Lyon, G. R.(2002). Reading: A research-based approach. Palo Alto, Calif: Hoover-Institute 

  32. Frith, U.(1985). Beneath the surface of developmental dyslexia. In K. E. Patterson, J. C. Marshall & M. Coltheart (Eds.), Surface dyslexia. Hillsdale, NJ: Erlbaum 

  33. Gathercole, S. E., Willis, C., & Baddeley, A. D.(1991). Differentiating phonological memory and awareness of rhyme: Reading and vocabulary development in children.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82, 387-406 

  34. Gavisk, D. C.(2000). The influence of objective and subjective properties on the recognition of letters within word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Georgia, Georgia 

  35. Grainger, G., Bouttevin, S., True, C., Bastien, M., & Ziegler, J.(2003). Word superiority, pseudoword superiority, and learning to read: A comparison of dyslexic and normal readers. Brain and Language, 87, 432-440 

  36. Grainger, G., & Jacobs, A. M.(1994). A dual read-out model of word context effects in letter perception: Further investigations of the word superiority effect.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0, 1158-1176 

  37. Hooper, D. A., & Papp, K. R.(1997). The use of assemvled phonology during performancce of a letter recognition task and its dependence on the presence and proportion of word stimuli.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7, 167-189 

  38. Hoien, T., Lundberg, L., Stanovich, K. E., & Bjaalid, I. K.(1995). Components of phonological awareness. Reading &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7, 171-188 

  39. Juel, C.(1991). Beginning Reading. In R. Baarr, M. Kamil, P. Mosenthal, & P. D. Pearson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Vol. II (pp. 759-788). NY: Longman 

  40. Kaminsky, R. A., & Good, R. H.(1996). Towards a technology for assessing basic early literacy skills. School Psychology Review, 25, 215-227 

  41. Massaro, D. W., & Cohen, M. M.(1994). Visual, orthographic, phonological, and lexical influences in read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20, 1107-1128 

  42. National Institute of Child Health and Human Development (2001). Teaching children to read: An evidence-based assessment of the scientific research literature on reading and its implications for reading instructions. 인터넷 자료, http://www.nichd.nih.gov/publications /nrp/report.pdf 

  43. Oudeans, M. K.(2003). Integration of letter-sound correspondence and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of blending and segmenting: A pilot study examining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equence on word reading for kindergarten children with low phonological awareness. Learning Disability, 26(4), 258-280 

  44. Perfetti, C. A.(1985). Reading ability. N.Y.: Oxford University Press 

  45. Perfetti, C. A.(1992). The representation problem in reading acquisition. In P. B. Gough, L. C. Ehre, & R. Treiman (Eds.), Reading Acquisition (pp. 145-174). Hillsdale, NJ: Erlbaum 

  46. Robertson, C., & Salter, W.(1997). The Phonological Awareness Test. East Moline, Il: LinguiSystems 

  47. Simpson, G. B., & Kang, H.(2004). Syllable processing in alphabetic Korean. Reading and Writing: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17, 137-151 

  48. Stuart, M., & Coltheart, M.(1988). Does reading develop in a sequence of stages? Cognition, 50, 139-181 

  49. Sulzby, E.(1985). Children's emergent reading of favorite storybooks: A developmental study. Reading Research Quarterly, 20, 458-481 

  50. Torgesen, J., Wagner, R., & Rashotte, C.(1997). The prevention and remedation of severe reading disabilities: Keeping the end in mind. Scientific Studies of Reading, 1, 217-234 

  51. Treiman, R., & Broderick, V.(1998). What's in a name: Children's knowledge about the letters in their own name.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70, 97-116 

  52. Treiman, R., & Zukowski, A.(1991). Levels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S. A. Brady & D. P. Shankweiler (Eds.), Phonological processes in literacy: A tribute to Isabelle Y. Liberman (pp. 67-83). Hove, Englan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3. Wagner, R. K., Torgesen, J. K., & Rashotte, C. A.(1994). Development of reading-related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New evidence of bidirectional causality from a latent variable longitudinal study. Developmental Psychology, 30, 73-87 

  54. Ziegler, J. C., & Jacobs, A. M.(1995). Phonological information provides early sources of constraint in the processing of letter strings. Journal of Memory and language, 34, 567-5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