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남 평야지 조생종 벼 조기재배가 수량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
Yield and Grain Quality of Early Maturing Rice Cultivars as Affected by Early Transplanting in Yeongnam Plain A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53 no.3, 2008년, pp.326 - 332  

이종희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박동수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곽도연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여운상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송유천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김춘송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전명기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오병근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신문식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  김제규 (농촌진흥청 작물과학원 영남농업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남평야지 조기재배시 국내 육성된 고품질 조생종 품종들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1. 공시품종들의 평균 출수기는 7월 22일로 8월 하순에서 9월 상순사이에 수확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공시품종들의 평균 수당립수, 등숙율 및 수량에서 품종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운광벼가 수량이 529 kg/10a로 가장 많았다. 2. 수확시기별 현미 품위를 조사한 결과 동할미 발생을 줄이고 현미 정립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출수 후 40일경에 수확하는 것이 정립은 8월25일$\sim$ 9월1일 사이 수확하는 것이 가장 높았으며, 수확시기가 늦어질수록 미숙립의 발생은 감소하고 동할립의 발생은 증가하였다. 백미 완전미는 중화벼와 고운벼가 72.2%와 71.0%로 높았으나 싸라기 발생이 높았으며, 운광벼와 오대벼는 분상질의 발생이 많았다. 3. 운광벼와 오대벼는 백미 단백질 함량은 6.4%로 낮았으며, 식미관능검정의 총평이 각0.6 및 0.5로 밥맛이 양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an early-maturing rice cultivars adaptable to early transplanting cultivation in Yeongnam plain area. High temperature during the ripening stage of paddy rice under the early-transplanting cultivation in Yeongnam plain was to influence in several agronomic trait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조생종 품종은 산간지 및 중산간지를 중심으로 재배되고, 벼 품종육성 및 재배방법 개발도 이들 적응지역을 중심으로 연구가 집중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 육성된 고품질 조생종 품종들에 대한 영남 평야지 조기재배에 따른 수량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그에 따라 발생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쌀의 평야지 조기재배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선도농가와 RPC를 중심으로 평야지에서 조생종 벼를 일찍 심어 수확하는 조기재배가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평야지 조기재배는 4월 하순 ~ 5월 상순에 이앙하여 8월 중하순에서 9월 상순 사이에 수확하는 재배 작형이며, 햅쌀은 묵은쌀에 비해 소비자 선호도가 높다. 특히, 추석용 햅쌀은 기존 중만생종쌀이 출하전 판매하는 틈새시장으로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중생 또는 중만생종 벼 품종의 수확 시기는 언제 인가? 특히, 추석용 햅쌀은 기존 중만생종쌀이 출하전 판매하는 틈새시장으로 재배면적이 점차 증가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국내에서는 중생 또는 중만생종 벼 품종이 재배면적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벼 수확은 10월에 집중된다. 이것은 수확기 노동력 및 기계의 부족으로 적기 수확을 어렵게 되는 원인이 될 뿐만 아니라, 수확기 집중에 따른 건조 및 저장시설의 부족으로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조생종 벼를 조기 재비 시 어떤 문제점이 있는가? 따라서 수확시기 분산 측면에서도 평야지 조기재배가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나 조기재배는 7월 장마 직후 출수하여 수확기까지 고온 상태에서 등숙이 진행되므로 분상질립의 발생을 증가시켜 쌀의 외관품질을 나쁘게할 뿐만 아니라 식미를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hoi et al., 1994, Choung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김동철. 2007. 영동지역 쌀 산업화 특화 전략. 한쌀회총서 23 : 41-78 

  2. 농촌진흥청. 2002. 쌀 품질 및 식미평가 

  3. 농촌진흥청. 2003. 농업과학기술 연구조사분석기준 

  4. 이종훈. 2001. 최신 도작과학. 선진문화사. pp. 183-202 

  5. Choi, H. C., J. H. Choi, C. S. Lee, Y. B. Kim, and S. Y. Cho. 1994. Varietal and locational variation of grain quality components of rice produced in hilly and high altitude areas in Korea. Korean J. Crop Sci. 39(1) : 27-37 

  6. Choung, J. I., K. Y. Kim, Y. H. Choi, Y. D. Kim, M. K. Ou, H. C. Hong, J. K. Kim, and H. G. Hwang. 2004. Analysis of chemical and eating quality character of the early rice variety at cultured in the southern plain area. Korean J. Breed. Sci. 36(1s) : 274-275 

  7. Chung, N. J., J. H. Park, K. J Kim, and J. K. Kim. 2005. Effect of head rice ratio on rice palatability. Korean J. Crop Sci. 50(S) : 29-32 

  8. Kim, C. S., J. S. Lee, J. Y. Ko, E. S. Yun, U. S. Yeo, J. H. Lee, D. Y. Kwak, M. S. Shin, and B. G. Oh. 2007. Evaluation of optimum rice heading period under recent climatic change in yeongnam area. Korean J. Agricultural and Forest Meterology 9(1) : 17-28 

  9. Kobata, T., N. Uemuki, T. Inamura, and H. Kagata. 2004. Shortage of assimilate supply to grain increases the proportion of milky white rice kernels under high temperature. Jpn. J. Crop Sci. 73(3) : 315-322 

  10. Lee, S. H. 2005. Analysis of rice qual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different agricultural regions in Gyeongbuk province. Ph. D.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55pp 

  11. Nagata, K., T. Takita, S. Yoshinaga, K. Terashima, and A. Fukuda. 2004. Effect of air temperature during the early grain-filling stage on grain filling in rice. Jpn. J. Crop Sci. 73(3) : 336-342 

  12. Peng, S., J. Huang, J. E. Sheehy, R. C. Laza, R. M. Visperas, X. Zhong, G. S. Centeno, G. S. Khush, and K. G. Cassman. 2004. Rice yields decline with higher night temperature from global warming.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1(27) : 9971-9975 

  13. Yun, S. H. and J. T. Lee. 2001. Climate change impacts on optimum ripening periods of rice and its countermeasure in rice cultivation.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3(1) : 55-70 

  14. Son, J. R., J. H. Kim, J. I. Lee, Y. H. Youn, J. K. Kim, H. G. Hwang, and H. P. Moon. 2002. Trend and future research of rice quality evaluation. Korean J. Crop Sci. 47(S) : 33-54 

  15. Yamada, K., N. Iwasawa, T. Matsuda, and Y. Nitta. 2008. Effects of high temperature stress during the early stages of ripening on endosperm structures in rice varieties differed from the appearance rate of cracked grains. Jpn. J. Crop Sci. 77(sup. 1) : 220-22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