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면병과 렘수면행동장애에서의 렘수면 뇌파 스펙트럼 분석
Spectral Analysis of REM Sleep EEG in Narcolepsy and REM Sleep Behavior Disorder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15 no.1, 2008년, pp.33 - 38  

김형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정도언 (서울대학교병원 수면의학센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박광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기면병과 렘수면 행동장애(RBD)에서 모두 신경 퇴행적 과정이 존재할 가능성과 함께 두 질환의 증상 사이에 공통점이 있다는 제안이 많이 있었다. 이 연구는 두 렘수면 관련 질환에서 스펙트럼 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렘수면 뇌파의 미세 차이에 관해 살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기면병과 RBD 각 군에서 9명씩 성비를 맞추어 분석 대상자를 선정하였다. 각각의 분석대상자의 세 개의 렘수면 주기에서 각각 연속된 세 수면단위를 골라 한 사람당 9개의 수면단위에 대해 스펙트럼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 델타파 영역에서는 그 비율이 기면병군에서 RBD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1). 알파파(p=0.02)와 베타 2영역($20{\sim}50\;Hz$)에서는 RBD군에서 기면병보다 비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서파수면은 기면병에서 많았으나 양군간에 렘수면 분율의 차이는 없었다(p=0.93). 결 론 : 기면병의 렘수면에서 RBD에 비해 델타파의 비율이 높은 양상은 수면촉진기전이 기면병에서 좀 더 우세하게 작용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troduction: It has been proposed that narcolepsy and REM sleep behavior disorder (RBD) have overlapped symptom profile and pathophysiology. This study was aimed at measuring and comparing changes in EEG frequency band of REM sleep in narcolepsy and RBD, applying EEG spectral analysis method.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현재까지 스펙트럼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기면병과 RBD 각각을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여 진행한 연구는 있었지만, 두질환을 직접 비교하여 시행된 연구는 아직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렘수면의 이상 소견을 공유하는 두 질환에서 렘수면 단계의 뇌파를 스펙트럼 분석하여 눈으로 관찰할 수 없는 두 질환의 미세 소견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아마도 분석 대상자의 수가 적어서 생긴 선택편견(selection bias)으로 보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렘수면을 중심으로 두 군간의 차이를 보는 것이 목적이므로 서파 수면의 양이 감소한 것이 결과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을 것으로 본다. 두 군에서 렘수면 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 이 연구는 기면병과 RBD에서 렘수면 뇌파를 스펙트럼 분석 방법을 적용하여 시행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Dauvillier 등(28)의 최근 연구에서도 본 연구의 결론과 유사한 제안을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면병과 RBD의 렘수면 특성을 수면다원검사로 비교해서 기면병에서 정상군에 비해 무긴장증이 소실된 렘수면, 위상성(phasic)근전도 활동 및 렘수면 밀도(REM density)가 증가해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기면병과 RBD에서 무긴장증이 소실된 렘수면이나, 근전도 상에서의 근 긴장도를 증가시키는 공통의 기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공통적으로 렘수면에서 이상을 보이는 두 질환인 기면병과 렘수면 행동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두 진단군에서 렘수면 뇌파의 스펙트럼을 분석하여 미세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에서 가장 두드러진 점은 기면병군에서 RBD군에 비해 델타파의 비율이 유의하게 상승해 있다는 점이다.

가설 설정

  • 이에 대해 연구자들은 기면병과 RBD에서 무긴장증이 소실된 렘수면이나, 근전도 상에서의 근 긴장도를 증가시키는 공통의 기전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하였다. 그러나, 기면병의 운동 이상(motor dyscontrol)이 RBD에서처럼 렘수면에서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운동 조절에 대한 억제 시스템을 관장하는 신경 구조물이 기면병에서 좀 더 광범위하게 손상되어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면병은 어떤 질환인가? 기면병은 각성(wakefulness)과 렘(rapid eye movement, REM)수면의 이상을 특징적으로 보이는 질환이다(1). 낮 동안의 과도한 졸리움과 함께 기면병에서 흔히 보고 되는 렘수면 이상은 입면기 렘수면(sleep-onset REM period), 수면 마비, 입면 환각, 탈력 발작 등이다.
기면병 발병 연령은 주로 언제 인가? 07%(3,4)로 보고되고 있다. 발병 연령은 아주 어린 나이부터 50대까지 다양하나 주로 사춘기 무렵이다(5).
낮 동안의 과도한 졸리움과 함께 기면병에서 흔히 보고 되는 렘수면 이상은 무엇인가? 기면병은 각성(wakefulness)과 렘(rapid eye movement, REM)수면의 이상을 특징적으로 보이는 질환이다(1). 낮 동안의 과도한 졸리움과 함께 기면병에서 흔히 보고 되는 렘수면 이상은 입면기 렘수면(sleep-onset REM period), 수면 마비, 입면 환각, 탈력 발작 등이다. 이러한 증상은 렘수면이 각성시기나 얕은 수면단계에 갑자기 나타나서 생기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