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섬진강의 유량변화 통계 검정
Statistical Tests for the Flow Change in Sumjin River 원문보기

韓國水資源學會論文集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41 no.10, 2008년, pp.1067 - 1077  

이광만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윤라영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  이승윤 (한국수자원공사 수자원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유량의 시간적 추세에 대한 이해는 자연환경이나 인간사회를 위한 하천관리 및 수자원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온, 강수, 유량 그리고 농업, 홍수방지활동, 저수지 및 유역간의 물이동 등과 같은 하천의 이용은 결과적으로 하천의 흐름에 반영되게 된다. 수자원 시설물 설계에서 받아들여지는 시계열 상에서 수문기상학적 특성이 불변하다는 가정은 기후변화나 하천교란에 의해 더 이상 타당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수문시계열에서 변화 특성을 검증하고 기술하는 것은 하천관리에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에서 인위적 유량교란에 의한 유량 변동성 검정을 통계해석에 기반을 둔 단일변수와 집단변수, 그리고 시계열 분석방법으로 구분하여 수행하였다. 검정 결과, 현재 섬진강 수계의 연 유량계열은 동질성을 유지하고 있으나 갈수기 유량계열에서는 변동성이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 understanding of temporal trends of stream flows can help in the river management and the water resources planning for natural circumstances and human communities. Changes in temperature, precipitation, flow, and land use (agriculture, flood prevention activities, reservoir operation, interbas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두 독립된 집단의 비교 검정은 하나의 집단이다른 하나의 집단보다 더 큰 값을 포함하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된다. 이 방법으로는 Rank-Sum Test가 있다.
  • 본 연구는 섬진강 수계에서 물이용에 따른 하천의 유량 변화 추세와 변동성을 판단하기 위해 통계분석에 근거한 검정을 시도하였다. 섬진강은 비교적 유역외 도수가 일찍이 이루어져 왔고 그 양도 많은 편에 속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수계내에서 주암댐 건설로 인한 하류지역의 유량변화 상황을 판단하기 위하여 유량 자료를 대상으로 시계열 및 통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유량변동시점은 1991년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주암댐의 운영시작시점과 일치한다.
  • 광양3단계 환경영향평가 보고서(한국수자원공사, 2005) 에 따르면 실제 섬진강 수계의 경우 보성강댐이나 섬진강댐에서 대량의 유역외 도수가 오래전부터 있어왔고 90년대 초반에는 주암댐이 건설되어 유량변화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섬진강 하류에서 나타나고 있는 염분농도의 증가와 하상저하의 원인중 하나로 제기되고 있는 유량감소에 대한 판단을 위해 통계적 방법을 이용한 유량 변동에 대한 검정을 통하여 변화의 유․무를 검정하고자 하였다. 분석방법은 단일변수, 집단변수 그리고 시계열 비교법을 이용하고 매개변수 검정(parametric test)과 비매개변수 검정(nonparametric test)을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가설은 Tc ≻ T1-α/2, ν일 때 기각된다.
  • 일반적으로 관측된 과거 수문기상자료는 수자원 사업을 계획하고 설계할 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대부분의 수자원 사업에서는 수문기상특성을 시계열 상에서 변동성이 없는 변수로 가정하여 설계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정은 더 이상 타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 이 중 Mean Shift t-Test는 Fig. 11과 같이 수문변수 yt, t = 1,..., N 이비상관관계이고 평균 μ와 표준편차 σ이 정규분포인 표본크기 N의 연속적인 수문계열이라고 할 때 계열을 N1 +N2 = N 인 크기 N1 과 N2의 두 하위계열로 나누고(본 연구에서는 주암댐 건설전과 후), 첫 번째 하위계열 yt , t = 1, 2,..., N1은 평균 μ1과 표준편차 σ을 가지고두 번째 하위계열 yt , t = N1 +1, N1 +2,..., N은 평균 μ2와 표준편차 σ를 가진다고 가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천유량의 시간적 추세에 대한 이해는 무엇에 도움을 줄 수 있는가? 하천유량의 시간적 추세에 대한 이해는 자연환경이나 인간사회를 위한 하천관리 및 수자원계획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온, 강수, 유량 그리고 농업, 홍수방지활동, 저수지 및 유역간의 물이동 등과 같은 하천의 이용은 결과적으로 하천의 흐름에 반영되게 된다.
국내의 수문 변동성에 대한 연구에서 주류를 이루는것은 무엇인가?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수문기상학적 변화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제시되지 않고 있으나 집중호우나 강수 일수의 감소, 짧은 봄과 가을은 지구온난화의 영향에 의한 것이라는 추측이 일부 있는 것도 사실이다. 국내의 수문 변동성에 대한 연구는 기상변화와 수리시설물에 의한 영향을 분석한 것이 주류를 이룬다. 김태균 등 (2002)은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대청댐 건설에 따른 유황의 변화를 분석하고 연 초과치 계열에 대한 빈도분석을 통하여 댐의 이수와 치수효과를 분석하였다.
수문기상특성을 시계열 상에서 변동성이 없는 변수로 가정하는것이 타당하지 않을 수도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이와 같은 가정은 더 이상 타당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의 원인으로는 자연적인 것과 인위적인 것이 있는데 최근에 많이 강조되고 있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수문기상의 변화나 유역외 도수에 의한 하천수의 감소 등이다. 어느 경우나 우려할 점이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매우 심각한 문제로 나타날 수도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건설교통부/한국수자원공사 (2006). 섬진강.영산강 유역조사보고서 

  2. 김광천, 배덕효, 최병규, 신희범 (2006). “수자원 계획을 위한 수문요소 변동성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231-1235 

  3.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 김남원 (2005). “기후변화에 따른 유역의 수문요소 및 수자원 영향평가.”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143-148 

  4. 김태균, 윤용남, 안재현 (2002). “댐 건설에 따른 하류 유황의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6호, pp. 807-816 

  5. 김태웅, 이동률, 유철상 (200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4호, pp. 305-314 

  6. 안재현, 유철상, 윤용남 (2001). “GCM 결과를 이용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수문환경 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4권, 제4호, pp. 335-345 

  7. 최성욱, 윤병만, 우효섭, 조강현 (2004). “댐 건설에 의한 유황 변화에 따른 하류 하도에서 하천지형학적 변화 및 식생피복의 변화 : 황강 합천댐 사례.”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1호, pp. 55-66 

  8. 한국수자원공사 (2005). 광양3단계 환경영향평가 보고서 

  9. Jain, S. and Lall, U. (2000). “Magnitude and timing of annual maximum floods : trends and largescale climatic associations for the Blacksmith Fork River, Utah.”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36, No. 12, pp. 3641-3651 

  10. Kahya, E. and Kalayci, S. (2004). “Trend analysis of streamflow in Turkey.” Journal of Hydrology, Vol. 289, pp. 128-144 

  11. Lettenmaier, D.P. (1976). “Detection of Trends in Water Quality Data from Records with Dependent Observation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 12, pp. 1037-1046 

  12. Lins, H.F. and Slack, J.R. (1999). “Streamflow trends in the United States.”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ol. 26, No. 2, pp. 227-230 

  13. Letcher, R.A., Yu, Schreider, S., Jakeman, A.J., Neal, B.P. and Nathan, R.J. (2001). “Methods for the analysis of trends in streamflow response due to changes in catchment condition.” Environmetrics, Vol. 12, No. 7, pp. 613-630 

  14. Maidment, D.R. (1993). Handbook of Hydrology. pp. 17.11 

  15. Novotny, E.V. and Stefan, H.G. (2006). “Stream flow in Minnesota : Indocator of climate change.” Journal of Hydrology, Vol. 334, No. 3-4, pp. 319-333 

  16. Snedecor, G.W., and Cochran, W.G. (1980). Statistical Methods. The Iowa State University Press, Ames, Iowa 

  17. Zhu, Y. and Day, R.L. (2005). “Analysis of Streamflow Trends and The effects of Climate in Pennsylvania, 1971 to 2001.”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1, No. 4, pp. 1393-14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