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박테리오신의 일종인 OR-7을 생산하는 효모의 제작을 위하여 180 bp 길이의 개시코돈과 종지코돈을 포함하는 OR-7의 유전자를 합성하여 효모 발현 vector pAUR123에 클로닝하여 재조합 DNA를 작성하였다. 재조합 DNA로 형질전환된 효모가 박테리오신 OR-7 생산유전자를 가지고 있음을 효모로부터 분리된 플라스미드를 이용한 PCR로 확인하였고, OR-7의 생산은 SDS-PAGE로 확인하였다. 형질전환 효모는 그람양성 대표세균인 고초균(B. subtiliws)과 그람음성 장내세균인 대장균(E. coli)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또한, 농흉이나 중이염의 원인이 되는 녹농균(P. aeruginosa)과 식중독균(C. jejuni)에 대해서도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 연구의 결과로 부패하기 쉬운 식품들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존제 대체물질 또는 가축 사료에서 병원균의 생육을 저해하기 위한 항생제 대체물질로 사용할 수 있는 박테리오신을 산업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효모세포를 제작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obtain yeast cells producing a bacteriocin OR-7, the 180 bp polynucleotide corresponding to the OR-7 gene including codons for start and stop was chemically synthesized and cloned into pAUR123, an yeast expression vector. Transformed yeast cells exhibited growth inhibition of Bacillus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천연 항생제가 포함된 기능성 가축 사료를 개발하기 위하여 배양이 용이한 효모세포에 박테리오신의 일종인 OR-7의 유전자를 도입하여 항균 활성 효모를 제작하였고, 이를 SDS-PAGE를 통하여 항균활성 발현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람양성 대표세균인 Bacillus subtilis 및 그람음성 대표세균인 Escherichia co/i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그람음성 세균 중 농흉이나 중이염의 원인이 되는 녹농균인 Pseudomonas aerng湖sa와 식중독균인 Campylobacter 丿功以에 대한 항균 활성을 확인하였다.
  • 이 연구의 결과로 부패하기 쉬운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존료 대체물질 혹은 가축 사료에서 병원균의 생육을 저해하기 위한 항생제 대체물질로 사용가능한 박테리오신을 산업적으로 대량생산할 수 있는 효모세포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로 제작된 항균활성 효모를 사료 첨가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효모 배양조건에 따른 항균활성의 영향과 다양한 세균들에 대한 항균활성의 확인 등을 통한 생산 최적 조건의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Ahn, Y. T., K. L. Lim, J. C. Ryu, D. K. Kang, J. S. Ham, Y. H. Jang, and H. U. Kim. 2002. Characterization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d from piglets and chicken. Asian-Aust. J. Anim. Sci. 15: 1790-1797 

  2. Butzler, J. P. 1984. Campylobacter infection in man and animal. pp. 1-246, CRC press Inc. Bocaraton, Florida 

  3. Cox, N. A., C. L. Hofacre, J. S. Bailey, R. J. Buhr, J. L. Wilson, K. L. Hiett, L. J. Richard, M. T. Musgrove, D. E. Cosyby, J. D. Tankson, Y. L. Vizzer, P. F. Cray, L. E. Vaughn, P. S. Holt, and D. V. Bourassa. 2005. Presence of Campylobacter jejuni in various organs one hour, one day, and one week following oral or intracloacal inoculations of broiler chicks. Avan. Dis. 49: 155-158 

  4. Dixon, B. 2000. Antibiotics as growth promoters. Risks annd alternatives. ASM News. 66: 264-265 

  5. Fuller, R.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 Bacteriol. 66: 265-378 

  6. Ham, J. S., H. S. Kim, K. H. Hong, K. G. Kim, S. G. Jeong, H. S. Chae, J. N. Ahn, D. K. Kang, and H. U. Kim. 2003. Inhibitory activity of lactic acid bacteria against hazardous microbes. Asian-Aust. J. Anim. Sci. 16: 1550-1554 

  7. Jacobs-Reitsma, W. F. 1997. Aspects of epidemiology of Campylobacter in poultry. Vet. Q. 19: 113-117 

  8. Kim, P. I., M. Y. Jung, Y. H. Chang, S. Kim, S. J. Kim, and Y. H. Park. 2007. Probiotics properties of Lactobacillus and Bifidobacterium strain isolated from porcine gastrointestinal tract. Appl. Microbiol. Biotechnol. 74: 1103-1111 

  9. Laemmli, U. K. 1970. Cleavage of structural proteins during the assembly of the head of bacteriophage T4. Nature 227: 680-685 

  10. Lee, O. H., M.-K. Jang, J.-H. Lee, I.-Y. Ahn, D.-I. Cho, and S.-H. Lee. 2007. Establishment of a bacteriocidal yeast that producing bacteriocin Subpeptin JM4-A or Subpeptin JM4- B. J. Life Sci. 18: 287-290 

  11. Lee, S. H. 2003. Establishment of a leucocin A producing Saccharomyces cerevisiae cell. J. Life Sci. 13: 712-717 

  12. Nigutova, K., L. Serencova, M. Piknova, P. Javorsky and P. Pristas. 2008. Heterologous expression of functionally active enterolysin A, class III bacteriocin from Enterococcus faecalis, in Escherichia coli. Protein Expr. Purif. 60: 20-24 

  13. Park, H. S., J. H. Lee, and T. B. Uhm. 1999. Probiootics properties of Lactobacillus salivarius isolated from piglet interstines J. Kor. Soc. Food Sci. Nutr. 28: 830-836 

  14. Roberedo, B. and C. Torres. 2000. Bacteriocin production by Lactoabacillus salviarius of animal origin. J. Clin. Microbiol. 38: 3908-3909 

  15. Stern, N. J., E. A. Svetoch, B. V. Eruslanov, V. V. Perelygn, E. V. Mitsevich, I. P. Mitsevich, V. D. Pokhilenko, V. P. Levchuk, O. E. Svetoch, and B. S. Seal. 2006. Isolation of a Lactobacillus salivarius strain and purification of its bacteriocin, which is inhibitory to Campylobacter jejuni in the chicken gastrointestinal system. Antimicrob. Agents Chemother. 50: 3111-3116 

  16. White, P. L., A. R. Bakers and W. O. James. 1997. Strategies to control Salmonella and Campylobacter in raw poultry products. Rev. Sci. Tech. 16: 525-54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