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이 자아존중감과 의복행동 및 선호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on Adolescents' Self Esteem,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 -Focused on analysis by adolescent' sex and age variable-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7 no.4, 2008년, pp.707 - 721  

이미숙 (충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 the effects of gender-role identity on adolescents' self esteem, clothing behaviors and favorite clothing image, focusing on analysis by adolescent' sex and age variable. The research method was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447 male and female adolescents in Da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감이 자아존중감, 의복행동 및 선호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감이 자아존중감, 의복행동 및 선호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었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성역할 정체감이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의복 행동 및 선호 의복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청소년의 성과 연령에 따른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알아보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역할이란 무엇인가? 성역할은 남성과 여성의 성적 특성에 대한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가치, 태도, 인간특성의 문화기대에서 오는 행동규범으로, 문화가 성별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규정하는 행동이나 태도에 대한 기대를 의미한다. 성역할 정체감은 한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중요한 준거변인으로 작용하며, 여러 선행연구들(조아미, 2002; Karniol et al.
성역할 정체감은 무엇으로 작용하는가? 성역할은 남성과 여성의 성적 특성에 대한 사회적 지위와 관련된 가치, 태도, 인간특성의 문화기대에서 오는 행동규범으로, 문화가 성별에 따라 적절한 것으로 규정하는 행동이나 태도에 대한 기대를 의미한다. 성역할 정체감은 한 개인의 행동을 설명하고 예측하는 중요한 준거변인으로 작용하며, 여러 선행연구들(조아미, 2002; Karniol et al., 1998; Lundeberg et al.
청소년을 타켓시장으로 하는 패션업체에서는 앞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양성성 유형의 남녀 청소년들의 의복행동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자신의 생물학적인 성에 따른 성유형화된 특성을 강조하던 과거와는 달리, 현대사회에서는 남녀에 대한 사회적 기대 및 역할에 대한 차이가 점점 감소하고 있고 가정 및 사회에서의 교육방침에서도 이러한 경향이 적극 반영되고 있으므로 양성성 유형의 분포는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 결과, 성역할 유형에 따라 의복행동과 선호 의복이미지는 많은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양성성 유형의 의복행동 특성을 살펴보면, 양성성 유형을 지닌 남녀 청소년들은 다른 성역할 유형에 비해 의복관심이 높고 의복 과시성과 안락성을 중시하는 반면 동조성은 크게 고려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성적인 스타일, 깔끔한 스타일, 활동적인 스타일 등에 대한 선호경향이 뚜렷하고 다양한 의복스타일을 접하고 시도하는데 적극적이며 이를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청소년을 타켓시장으로 하는 패션업체에서는 앞으로 증가추세에 있는 양성성 유형의 남녀 청소년들의 의복행동 특성을 반영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강영자 (1999)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생활과학연구, 5, 121-128. 

  2. 고애란, 김양진 (1996) 청소년의 의복행동에 대한 자아중심성, 자의식, 신체만족도의 영향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4), 667-681. 

  3. 고은주, 장남경 (2003) 연령과 성별에 따른 청소년의 신체만족도와 의복행동 연구를 통한 패션마케팅 전략제안. 대한가정학회지, 41(12), 13-26. 

  4. 국길숙, 이미숙 (2003)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 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생활과학연구논집, 23(1), 89-107. 

  5. 김광경, 이금실, 정미실 (2001) 자아존중감과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9(9), 95-102. 

  6. 김순구, 윤학자 (1986)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남녀 고교생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0(1), 1-8. 

  7. 김양진 (1992) 의복 및 신체만족도와 학업성취도가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영인 (1989) 선호디자인 감각에 따른 의복구매자 유형과 관련된 생활양식 특성에 따른 연구(II)-의복구매자 유형과 스타일 선호 및 구매자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13(4), 412-426. 

  9. 김윤정 (1992) 남자 대학생의 유행 선도력 및 성역할 정체감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김재희 (1994) 유행스타일을 중심으로 한 사무직 남성의 의복태도와 성역할 태도와의 상관연구.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창곤 (2006)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및 사회환경적 변인. 청소년복지연구, 8(1), 91-107 

  12. 박선애 (2004) 중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자아존중감과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백선영, 이선재 (2000) 고교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의복관여 및 의복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4(1), 55-66. 

  14. 송경자 (1999)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태도적, 지각적 신체이미지의 비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송인섭 (1998) 인간의 자아개념 탐구. 서울: 학지사. 

  16. 심경진 (1996) 중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및 가정환경 변인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대전광역시와 충청남도 중학생을 대상으로-.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심정은, 고애란 (1997) 청소년기의 자의식 및 체중조절행동과 의복행동과의 관련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1(8), 1334-1345. 

  18. 알파걸, 골드미스, 애완남, 전통적 성역할 해체 (2008. 2. 1) 세계일보 자료검색일 2008. 3. 3, 자료출처 http://www.segye.com/Articles/NEWS/CULTURE/Article.asp?aid20080130 005202&subctg1&subctg2 

  19. 염인경, 김미숙(2004), 자기 이미지에 따른 착용의복이미지, 추구의복이미지 및 의복구매행동, 복식문화연구, 12(1), 90-103. 

  20. 오윤자 (2003) 청소년의 성역할 정체감과 통제소재, 학업성취수준에 대한 연구. 교육심리연구, 17(2), 315-330. 

  21. 오지영, 김영철 (2006) 대학생의 성격유형에 따른 헤어스타일과 의복이미지 선호 연구. 복식문화연구, 14(4), 635-646. 

  22. 이명희 (1993) 한국과 미국 남녀 대학생의 의복이미지 선호도와 성역할 정체감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3), 367-379. 

  23. 이명희, 김현주 (1997) 의복스타일 이미지 선호와 자기 이미지와의 관계 연구. 복식, 33, 41-54. 

  24. 이명희, 유경숙 (1998) 외향성-내향성, 성별 및 연령과 의복이 미지 선호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2), 105-114. 

  25. 이미숙 (2000) TV미디어가 청소년의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및 연예인 모방행동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이부희, 고애란, 김양진 (1996) 남녀 중.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과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4(5), 131-144. 

  27. 이선재 (1991) 한, 미 대학생 및 교포 대학생 간의 의복태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2), 173-187. 

  28. 이송자 곽인숙, 이수정 (2004) 남.녀 고등학생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4), 467-474. 

  29. 이은희 (2005)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의복태도와의 관련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4(6), 1007-1015. 

  30. 이주현, 강혜원, 조길수 (1986) 남자 고등학생의 의복행동과 성역할태도간의 상관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0(3), 67-70. 

  31. 이현미, 임숙자 (1987) 어머니와 딸의 성역할 정체감과 음양 의복행동 간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11(3), 67-77. 

  32. 이현정, 김미영 (2004) 의복이미지와 화장이미지에 관한 기존 연구 분석. 복식, 54(7), 91-106. 

  33. 정미실 (2007) 여대생의 화장태도, 자아존중감, 신체만족도가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19(1), 35-45. 

  34. 정옥분 (1986) 한미 양국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존감에 관한 비교문화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4(2), 123-137. 

  35. 정인희 (2001) 여자 대학생의 의복추구 이미지와 소재 선호에 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4), 629-638. 

  36. 정인희, 이은영 (1993) 의복이미지의 계층구조에 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7(4), 529 -538. 

  37. 정진경 (1990) 한국 성역할 검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5(1), 82-92. 

  38. 조아미 (2002) 청소년의 성별과 성역할 정체감이 진로관련 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1), 91-108. 

  39. 최인아 (1988)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역할 태도 및 자아정체감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0. 최임숙 (2004) 중, 고, 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 발달과 변화.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2), 213-232. 

  41. 하주연, 고애란, 정미실 (2005) 여고생의 감각추구성향과 신체이미지에 따른 의복행동 및 헤어스타일 태도. 한국의류학회지, 29(5), 715-726. 

  42. 허은옥 (2001) 중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자아개념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3. Bem, SL (1974)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androgyny. J.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2, 155-162. 

  44. Davis, LL (1984-85) Sex, Gender, Identity, and Behavior Concerning Sex-related Clothing.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 3(2), 20-24. 

  45. Gauze, C, Bukowski, WM, Aquan-Assce, J, Sippola, LK (1996) Interactions between family environment and friendship and association with self-perceived well-being during early adolescence. Child Development, 67, 201-221. 

  46. Horn, MJ, Gurel, LM (1981) The second skin, 3rd ed. Boston: Houghton Miffin Co. 

  47. Karniol, R, Gabay, R, Ochion, Y, Harari, Y (1998) Is gender-role orientation a better predictor of empathy in adolescence?. Sex roles, 39, 45-59. 

  48. Kim, JS, Lee, MS (1998), The effects of body image, body satisfaction and some selected dimensions of clothing behaviors of 3 different adolescent age groups. The International J. of Costume Culture, 1(1), 1-13. 

  49. Lenney, E (1991) Chapter 11. Sex roles: The measurement of masculinity, femininity and androgyny. In J. P. Robinsion, P. R. Shaver, & L. S. Wrightsman (Eds.). Measures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ical attitudes. San Diego, CA: Academic Press. 

  50. Lundeberg, MA, Fox, PW, Brown, AC, Elbedour, S (2000) Cultural influences on confidence: Country and gender. J. of Educational Psychology, 92(1), 152-159. 

  51. MacGillivary, MS, Wilson (1997) Clothing and appearance among early, middle, and late adolescents. Clothing and Textiles Research J., 15(1), 43-59. 

  52. Winters, NC, Myers, K, Proud, L (2002) Ten-hear review of rating scales III: Scale assessing sociality, cognitive style and self-esteem. J. of the Ame Acad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1(10), 1150-1181. 

  53. Wigfield, A, Eccles, JS, Iver, DM, Reuman, DA, Midgley, C (1991) Transitions during early adolescence: Change in children's domain-specific self-perceptions and general self-esteem across the transition to Junior high school. Developmental Psychology, 27(4), 552-56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