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아버지의 성역할태도가 온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족친화제도 시행여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Fathers' Gender Role Attitudes o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Moderating Effects of Family-Friendly Policies in Fathers' Workplaces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24 no.3, 2020년, pp.35 - 54  

정인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전혜정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강미선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아동가족학과) ,  주수산나 (연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whether family-friendly policies at work moderate the association between fathers' gender role attitudes and their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s. The data was derived from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The samples included 1,164 fat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eventh an...

주제어

참고문헌 (71)

  1. 강은영.김진욱.강은희(2019). 아버지의 행복감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아동과 권리, 23(2), 253-278. 

  2. 고경미.이선경(2019). 아버지의 양육참여도와 부부간 의사소통이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611-628. 

  3.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19.11.21.) 남녀고용평등 우수기업 (주) 한독타운에서 타온홀 미팅 개최.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0511 

  4.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20.1.22). 2019년 아빠 육아휴직자, 최초로 2만명 돌파. http://www.moel.go.kr/news/enews/report/enewsView.do?news_seq10686 

  5. 곽은희(2011).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성역할 고정관념, 유아 사회성과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근혜(2019). 부모의 행복감과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116, 1-20. 

  7. 김기현.강희경(1997). 양육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대한가정학회, 35(5), 141-150. 

  8. 김문주 역,(2018), 담대한 목소리, Gilligan, C.(2011), Joining the Resistance, 서울 : 생각정원. 

  9. 김미숙.김바다(2016).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양식의 매개 효과. 열린부모교육연구, 8(4), 21-38. 

  10. 김수정.조효진(2016). 미취학 자녀를 둔 X세대 남성의 일-가족 양립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지역과 세계, 40(1), 185-213. 

  11. 김양지영(2016). 남성의 돌봄 실천과 성별분업 해체 가능성: 아버지의 자녀양육 경험 비교를 중심으로. 여성학논집, 33(1), 35-67. 

  12. 김원정(2020). 가부장적 가족주의 유재와 한국 기업의 가족친화정책 도입. 한국여성학, 36(1), 95-137. 

  13. 김유리.김은정(2016). 돌봄시간지원정책의 이용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연구: 미취학자녀를 둔 남성 근로자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28(1), 94-125. 

  14. 김은설.최혜선(2008). 한국인의 자녀 양육관 연구. 육아정책개발센터. 

  15. 김은혜(2011).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대한 양육 효능감, 양육스트레스, 보육서비스 질의 영향: 취업모와 비취업모의 비교.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김정환.이선이(2014). 한국 30대 고학력 남성들의 아버지상과 아버지 역할 실천방식에 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6(3), 71-104. 

  17. 김진욱.강상준(2018). 가족친화제도와 분위기가 부의 양육참여에 미치는 경로분석: 상사와 동료의 지원을 매개효과로. 사회보장연구, 34(1), 25-54. 

  18. 김태현.박주희(2005). 부부의 성역할 태도에 따른 부부관계 향상.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3), 79-106. 

  19. 김현정.이태상(2019). 아버지의 양육행동과 아동의 행복감 관계에서 아동의 자존감의 매개 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2), 723-742. 

  20. 김혜성.그레이스정(2019). 행복한 대한민국의 김지영을 위하여: 남편의 성역할 태도, 양육분담이 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여성학연구, 29(1), 35-64. 

  21. 김혜원.유성경(2017). 부모의 성인애착와 양육 행동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 결혼불만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9(1), 199-226. 

  22. 김희강(2018). 돌봄과 돌봄 없는 정치이론. 한국정치학회보, 52(2), 203-224. 

  23. 김희강.나상원 역,(2014), 돌봄 민주주의, Tronto, J. C.(2013), Caring Democracy: Markets, Equality, and Justice, 서울 : 아포리아. 

  24. 나성은(2014). 남성의 양육참여와 평등한 부모 역할의 의미 구성. 페미니즘 연구, 14(2), 71-112. 

  25. 나성은(2015). 부성 실천을 통해 본 '돌보는 남성성'의 가능성: 중간계층 아버지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28, 173-212. 

  26. 류연규.김영미(2012). 복지국가 젠더격차와 성역할 인식 차이의 관계에 대한 비교연구. 사회복지정책, 39(4), 175-203. 

  27. 목진휴.안미영.김병준(2014). 성역할 인식 및 태도가 보육서비스 정책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사회과학연구, 27(1), 151-182. 

  28. 문은영.서영주.최나리(2011). 서울시 남성의 가사.육아 참여 활성화 방안. 서울시여성가족 재단. 

  29. 박선주.강민주(2017). 맞벌이 가정 아버지의 성역할태도와 어머니 문지기 역할이 아버지의 양육 참여도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1(3), 87-111. 

  30. 박성혜.이희선(2020). 부모의 가족상호작용과 온정적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 연구, 20(5), 703-723. 

  31. 박윤.양진희(2017).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자아상과 양육효능감 및 양육행동 간의 관계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22(5), 187-208. 

  32. 박화윤.마지순.안라리(2011). 가족친화적 남편 및 아버지의 역할수행을 위한 문화조성방안. 열린부모교육연구, 3(2), 81-99. 

  33. 서주현(2020). 아버지의 자녀가치가 아버지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양육행동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4), 1107-1125. 

  34. 성민정.원숙연(2018). 아버지 대상 가족친화제도 디커플링 인식 및 영향요인: 배우자 출산휴가와 육아휴직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6(4), 157-188. 

  35. 양진희(2016).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온정적 양육방식, 우울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20(4), 409-433. 

  36. 오민아.변길진.권정윤(2018).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 가치와 양육분담이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일-가정양립 어려움에 미치는 영향: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를 매개로. 유아교육학논집, 22(5), 429-448. 

  37. 우수정(2019). 아버지의 양육효능감과 온정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유능성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1), 621-635. 

  38. 이뿐새.류성연.송민영(2017). 아버지의 성역할가치가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양육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유아교육연구, 37(6), 75-97. 

  39. 이숙현.권영인(2009). 기업의 가족 친화적 문화와 아버지의 자녀양육 참여: 일-가족 갈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족과문화, 21(1), 1-28. 

  40. 이슬기(2019). 남성규범과 새로운 아버지 신념에 따른 아버지 유형과 공동양육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이정순(2003). 영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성역할관과 아동관이 아버지의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7(4), 53-67. 

  42. 이영 역,(1992), 인간발달생태학, Bronfenbrenner, U.(1981), The ecology of human development. 서울 : 교육과학사. 

  43. 정미라.이미나(2018). 아버지의 의도적 통제, 인지적 자기조설, 정서조절곤란과 양육행동과의 구조적 관계. 열린부모교육연구, 10(4), 149-164. 

  44. 정태숙.김영희(2019). 아동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행동 관련 연구에 대한 메타 분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6(1), 75-103. 

  45. 정혜린(2018). 유아의 학교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아버지 변인 탐색: 학부모 참여 모델을 적용하여. 교육연구논총, 39(3), 137-164. 

  46. 조복희.이진숙.이홍숙.권희경(1999). 한국부모의 자녀 양육방식에서의 차원과 평가.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37(10), 123-133. 

  47. 조윤진(2017).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부공동양육 경험. 사회과학연구논총, 33(2), 57-115. 

  48. 조희금(2016). 맞벌이가정 아버지의 근로시간특성과 가족친화제도가 자녀양육참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4), 49-68. 

  49. 최새은.정은희.최슬기(2019). 육아휴직제를 사용한 남성의 가정 및 직장에서의 경험 연구. 보건사회연구, 39(4), 280-319. 

  50. 최수미.조영일(2013). 부정문항이 포함된 척도의 요인구조 및 방법 효과검증과 남녀간의 차이 비교: Rosenberg 자기존중감 척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32(3), 571-589. 

  51. 최지은.김현경(2019). 아버지 직장의 가족친화 제도가 아버지, 어머니,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13(2), 145-169. 

  52. Barber, B. K., Stolz, H. E. & Olsen, J. A.(2005). Parental support, psychological control, and behavioral control: Assessing relevance across time, culture, and method.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70(4), 1-13. 

  53. Blandon, A. Y. & Volling, B. L.(2008). Parental gentle guidance and children's compliance within the family: A replication study.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22(3), 355-366. 

  54. Chung, H.(2004). Application and revision of the kansas marital satisfaction scale for use of korean couples. Psychological Reports, 95, 1015-1022. 

  55. Cook, E. P.(1985). Sex roles and work roles: A balancing process.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33(3), 213-220. 

  56. Fox, G. L. & Bruce, C.(2001). Conditional fatherhood: Identity theory and parental investment theory as alternative sources of explanation of fathering.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3(2), 394-403. 

  57. Frye, N. K. & Breaugh, J. A.(2004). Familyfriendly policies, supervisor support, work-family conflict, family-work conflict and satisfaction: A test of a conceptual model.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19(2), 197-220. 

  58. Hayes, A. F.(2013).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 Guilford Press. 

  59. Hochschild, A.(2012). The Second Shift(Revised Version). New York : Penguin Books. 

  60. Jacobs, J. N. & Kelly, M. L.(2006). Predictors of paternal involvement in childcare in dual-earner families with young children. Fathering, 4(1), 23-47. 

  61. Kwon, Y.(2010). Paternal involvement within contexts: Ecological examination of Korean fathers in Korea and in the U.S..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11, 35-47. 

  62. Klebanov, P. K., Brooks-Gunn, J. & Duncan, G. J.(1994). Does neighborhood and family poverty affect mothers' parenting, mental health,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41-455. 

  63. Lamb, M. E. & Tamis-LeMonda, C. S.(2004). The role of the father: An introduction. In M. E. Lamb(Ed.), The Role of the Father in Child Development(pp. 1-31). New York : Wiley. 

  64. Markman, H., Stanley, S. & Blumberg, S.(2001). Fighting for your marriage: Positive steps for preventing divorce and preserving a lasting love. San Francisco : Jossey-Bass Publishers. 

  65. Maurer, T. W., Pleck, J. H., & Rane, T. R. (2001). Parental identity and reflected-appraisals: Measurement and gender dynamic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63, 309-321. 

  66. McLeod, B. D., Wood, J. J. & Avny, S. B.(2011). Parenting child anxiety disorders. In McKay, D., & Storch, E. A.(Eds.), Handbook of Child and Adolescent Anxiety Disorders(pp. 213-228). New York: Springer. 

  67. Osmond, M. W. & Martin, P. Y.(1975). Sex and sexism-comparison of male and female sex-role attitudes.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7(4), 744-758. 

  68. Ruble, D. N. & Martin, C. A.(1998). Gender development. In W. Damo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3,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New York : Wiley. 

  69.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70. Thompson, C. A., Beauvais, L. L. & Lyness, K. S.(1999).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92-415. 

  71. Voydanoff, P.(2004). The effects of work demands and resourc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facilit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6, 398-4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