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역세권내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행태분석을 통한 활성화 방안 연구
Analysis of User Behavior for the Revitalization of Small Parks near Stations by the Location Types in Influential Subway Area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6 no.3, 2008년, pp.9 - 20  

이주희 ((주) MAP한터인종합건축사사무소) ,  박진아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5년 3월 31 일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개정으로 도시공원 분류체계에서 소공원과 주제공원을 세분화하여 추가하였으나, 기능, 규모, 유치거리가 명확한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특히, 조성 과정상의 확실한 설계되어 있지 않으며, 최근 법제화된 '도시공원 , 녹지의 유형별 세부기준 등에 관한 지침'(2007.2)에서도 유형을 공원의 설치위치 빛 성격에 따라 근린, 도심소공원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형별 공원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역세권내 위치한 소공원은 설치위치 및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유형에서의 설치위치 및 지역적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한다. 유형화를 위한분석기준은 각각의 공원은 인접한 역의 성격과지역의 성격이 다르므로 첫째,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정의에서의 지역적 특성과 이용자 특성에 따른 유형분류로서 근린소공원과 도심소공원의 분류체계에 따라 공원유형분류 한다. 소공원 주변 용도배분비율과 기존의 소공원 설치 당시 공공에서의 설치목적을 각 구청의 담당자의 문의를 통하여 파악하고, 이용자의 거주특성의 경우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을 거주지와 거주동에 대한 질의응답을 통하여 각 공원의 주 이용자의 거주특성을 파악하여 최종 대상지 근린소공원 3개소, 도심소공원 3개소를 선정하였다. 둘째, 각 유형 관찰조사를 통하여 이용자들의 이용행태특성을 파악하고, 설문조사를 행하여 유형별 대상지의 이용실태 및 이용특성의 차이점과, 어떤 측면에서 각기 다른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이용실태 및 공원시설에 대한 중요도 및 만족도, 공원 환경적 측면의 만족도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다. 셋째, 관찰조사와 설문분석에 따른 결과와 관리 공무원과 공원설계자와의 인터뷰 결과를 종합하여 추후 계획시 고려하여야할 점으로 공원이용 활성화를 위한 시설 및 설계적 측면과 이용행태적 측면,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vernment is planning to link a small park with the soon to be ready subway line 9 as a part of Seoul's policy, "The standard or plan for making a water-friendly space by water use" (2007). However, the specified concepts and instructions of the small parks need further work. Therefore, the po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관련된 역 인접 소공원의 경우, 공원 설치 시 환경개선을 목적으로 계획되고 있으나, 이용자 및 관찰자 측면에서의 분석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역세권 주변의 환경 개선이라는 측면에서 현재 계획되고 있는 역 인접 소공원이라는 공원유형별 이용자들의 행태분석을 통하여 역 주변의 공원계획이 공원의 주변 환경에 대한 개선효과뿐 아니라 토지이용의 효율성 측면에서의 공원의 실질적인 이용률도 높일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처럼 도시공원의 적합지는 다양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접근성과 이용자 수 그리고 공원의 활용도 측면에서 효율성이 뛰어난 역세권내 소공원을 대상으로 하여, 이용자 측면에서의 행태분석을 통한 역세권 내 공원입지의 중요성을 밝히고 아울러 지속적인 공원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2) 에서도 소공원의 유형을 공원의 설치위치 및 성격에 따라 근린 소공원과 도심소공원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형별 공원의 지정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 보고자 하는 역세권 내 위치한 소공원은 법에서 정의하고 있는 설치위치 및 지역의 성격에 따라 그 특성이 다르게 나타나므로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유형에서의 설치위치 및 지역적 특징을 분석하여 궁극적으로 유형별 특성에 따른 공원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역세권과 연계된 역 인접 소공원계획은 즉, 지하철역 출구에 인접되어 있거나 역사 근처 인접되어 있는 시민들의 일상생활 속에서 가깝게 이용할 수 있는 휴식공간의 양적 증대뿐 아니라 지역적으로 편중되어 있는 공원분포의 불균형을 해결하고 도시경관의 향상, 다양한 형태의 공원조성 등 도시공원의 질적인 변화를 가져오는데 중요한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본다
  • 틀림없다. 이에 본 연구는 역세권 내 위치한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이용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서울시에서 계획되고 있는 소공원의 계획 및 설계 시 이용자 측면의 고려와 각 지역적인 특성을 고려한 유형별 분석의 결과로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하여 역 인접 소공원의 유형별 시설 및 설계적 측면과 이용행태적 측면 그리고 관리 및 운영적 측면에서 공원이용활성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김성한(1998) 성남시 도시소공원 계획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 김한도(1996) 도시공원 이미지와 이용의 관계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3. 박문호, 정석, 양진희(1996) 도시소공원의 확보 및 조성방안. 서울시정개발연구원 

  4. 박상진(2005) 성남시 도시소공원의 계획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백경무(2004) T.O.D이론을 이용한 개발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0(3): 139-149 

  6. 안건혁, 온영태 역(2000) 뉴 어바니즘 헌장. 한울아카데미 

  7. 임희지(2002) 서울시 역세권 도시조직 분포유형별 역중심 생활권 형성을 위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8. S. S. Y. Lau, Giridhan. S, Ganesan(2005) Multiple and intensive land use: case studies in Hong Kong. Habitat International 29(3): 527-546 

  9. T. Nirarta Samadhi, Niwat Tantayanusorn(2006) Reinventing religious land as urban open space: The case of Kuang in Chiang Mai (Thailand). Habitat International 30(4): 886-9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