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원 내 물리적 환경인식이 건강증진 목적의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 - 대구광역시 수성구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
Influence of Physical Environment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4 no.5, 2016년, pp.68 - 80  

장철규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정성관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이우성 (대구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증진 목적으로 공원을 이용할 경우, 물리적 환경에 관한 인식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으로 설정하였으며, 총 143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평가에서는 거주지로부터 공원까지의 접근 및 보행환경에 관한 항목들이 4.04로 높게 평가된 반면, 수공간과 공원 내 볼거리에 관한 항목들은 각각 2.32, 2.66으로 낮게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22개의 물리적 환경 인식요소들을 대표 요인으로 유형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안락성, 이용성, 쾌적성, 시설편의성, 시각성 등 5개 요인으로 유형화되었다. 이를 토대로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공원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안락성, 이용성, 쾌적성, 시설편의성으로 나타났으며, 이 중 쾌적성이 0.315로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원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이용성과 쾌적성으로 분석되었으며, 이용성이 0.396으로 쾌적성 0.293보다 더 높은 영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증진 장소로서 공원이용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충분한 녹지면적 확보, 수목 및 시설 관리를 통한 쾌적한 환경 조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공원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거주지에서 공원까지의 보행환경 정비, 산책로 개선 등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the perception of physical environment on user satisfaction and park use when people use the park to improve their health. The study is focused on neighborhood parks in Suseong-gu, Daegu city. Statistical analyses were employed to data collected from 143 visito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유지 및 증진을 목적으로 공원이용 시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만족도와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다양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과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공원의 물리적 환경 인식 요소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유지 및 증진 관점에서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인식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공원이용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건강유지 및 증진 장소로 공원을 조성하거나 개선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환경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의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유지 및 증진 관점에서 공원의 물리적 환경에 관한 인식이 이용자의 만족도 및 공원이용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토대로 건강유지 및 증진 장소로 공원을 조성하거나 개선할 경우, 보다 효율적인 환경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근린생활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공원을 이용할 경우, 물리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만족도 및 공원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활환경의 변화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이루어지는 시도는? int). 생활환경의 변화로 발생하는 부작용을 해결하기 위해서 초기에는 의학적 접근에 초점을 둔 예방의학 중심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최근에는 공간을 다루는 도시계획, 조경, 교통 분야와 신체활동, 비만 등과 관련된 체육, 공중보건 분야의 학제 간 융합연구에 대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Baek and Park, 2014). 이러한 연구는 도시환경의 변화가 도시민의 일상적인 신체활동을 변화시키고, 심장질환, 고혈압, 당뇨병, 비만, 우울증 등 각종 질병과의 관계성을 규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다(Poston and Foreyt, 1999; Lee, 2010; Kim, 2012).
건강유지 및 증진 장소로 공원을 이용할 경우 만족도 및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은? 건강유지 및 증진 장소로 공원을 이용할 경우, 만족도 및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원이용 만족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영향력이 가장 크게 분석된 ‘쾌적성’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쾌적성’에 포함된 ‘동선과 시설의 복잡함’, ‘수목 및 시설 관리’, ‘산책 및 운동 환경’, ‘주변 경관의 아름다움’, ‘충분한 녹지면적’ 등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 중 물리적 환경 인식분석 결과에서 평가 값이 낮은 ‘충분한 녹지면적’, ‘수목 및 시설 관리’, ‘주변 경관의 아름다움’을 중점적으로 개선해야 한다. 충분한 녹지면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지표면이 노출된 지역에 수목 및 초화류 등을 식재하고, 다목적 광장과 같이 넓은 포장공간의 일부를 녹지공간으로 전환하는 등의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주기적으로 수목의 병충해 관리와 시설물 보수 및 교체 등의 작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공원이용을 활성화하기 위해선 ‘이용성’에 포함된 물리적 환경 인식요소의 개선이 우선적으로 요구된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자동차 중심의 생활환경 변화가 불러온 부작용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국민소득 증가와 함께 생활수준이 향상되었으며, 더 나은 삶에 대한 욕구로 인하여 도시민의 생활패턴까지도 변화하게 되었다. 서구화된 식습관과 자동차 중심의 생활환경 변화는 도시민의 칼로리 섭취량을 늘리고 신체활동을 감소시켰으며, 비만, 고혈압, 대사증후군과 같은 생활형 질병의 원인으로 지목되었다(www.who.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Baek, S. K. and K. H. Park(2014) Associations between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ing on the case study of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1-12. 

  2. Besenyi, G. M.(2003) Park Environments and Youth Physical Activity: Exploring the Influence of Proximity and Features Across Kansas City, Missouri. Master Thesis, Kansas State University. USA. 

  3. Bodin, M. and T. Hartig(2003) Does the outdoor environment matter for psychological restoration gained through running?. Psychology of Sport and Exercise 4(2): 141-153. 

  4. Byeon, J. H., K. H. Park and S. R. Choi(2010) The effect of physical pedestrian environment on walking satisfaction: Focusing on the case of Jinhae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7(6): 57-65. 

  5. Cohen, D. A., T. L. Mckenzie, A. Sehgal, S. Williamson, D. Golinelli and N. Lure(2007) Contribution of public parks to physical activity. American Journal o Public Health 97(3): 509-514. 

  6. Coombes, E. A., P. Jones and M. Hillsdon(2010)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activity and overweight to objectively measured green space accessibility and use. Social Science and Medicine 70: 816-822. 

  7. Daegu Metropolitan City(2015a) Daegu Statistical Annual Report in 2015. 

  8. Daegu Metropolitan City(2015b) The Status of Park and Recreation Park in 2015. 

  9. DaeguMetropolitan City(2015c) Report on Daegu Social Survey by Gu? Gun, 2014. 

  10. Exercise Requirements and Guideline Settlement Association(2006) Exercise Standards for Promoting Health. 

  11. Giles-Corti, B. and R. J. Donovan(2002) The relative influence of individual,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determinants of physical activity.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4(12): 1793-1812. 

  12. Giles-Corti, B., M. H. Broomhall, M. Knuiman, C. Collins, K. Douglas, A. Lange and R. J. Donovan(2005) Invreasing walking "How important is distance to, attractiveness, and size of public open space?.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8(2S2): 169-176. 

  13. Hamilton, K. L.(2011) Park Usage and Physical Activity: An Exploration of Park Features, Neighborhoods, and Park Programs. Master Thesis, Queen's University. Canada. 

  14. Heinrich, K. M., R. E. Lee, R. R. Suminski, G. R. Regan, J. Y. Reese-Smith, H. H. Howard, C. K. Haddock, W. S. C. Poston and J. S. Ahluwalia(2007) Associations between the built environment and physical activity in public housing resid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4(56): 1479-1488. 

  15. Hillsdon, M., J. Panter, V. Foster and A. Jones(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access and quality of brban green space with population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The Royal Institute of Public Health 120: 1127-1132. 

  16. Kaczynski, A. T., L. R. Potearka and B. E. Saelens(2008) Association of park size, distance, and features with physical activity in neighborhood parks.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98(8): 1451-1456. 

  17. Kim, E. J. and M. G. Kang(2011) Effects of built environment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 on health condition. Journal of the KRSA 27(3): 27-42. 

  18. Kim, E. J.(201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healthy city indicators and index: case of seoul metropolitan area.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2: 161-180. 

  19. Kim, J. R.(2014) A Study on Perceived Crowding, Motivation, Landscape Aesthetic Attribute, and Satisfaction: Focused on Sign and Building of Insadong Traditional Street. M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Korea. 

  20.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2015) 2014 Community Health Survey. 

  21. Lee, S, G.(2010) Research trends and limitations of the integrated study of urban planning and public health for a healthy community. Seoul Studies 11(2): 15-33. 

  22. Lee, S. G., W. S. Lee, S. K. Beak, S. G. Jung, and K. H. Park(2013) The influence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on park usage for physical activity: Focused on Changwon-si in Korea.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8(7): 5-21. 

  23. Lee, S. M., W. S. Kim and J. A. Kim(2015a) Statistical Analysis Forsocial Sciences using SPSS. Paju: Hanulbooks. 

  24. Lee, W. S., K. H. Park, E. J. Kimand T. H. Kim(2015c) The correlates of neighborhood-based physical environment on park use,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Focused on Uichang and Seongsan in Changwon Cit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50(6): 71-88. 

  25. Lee, W. S., S. G. Jung and Y. E. Park(2015b) The effect of neighborhood environmental perception on park use for health improvement: The case of Suseong-gu in Daegu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6): 98-108. 

  26. Manning, R. E. and C. P. Ciali(1980) Recreation density and user satisfaction: A further exploration of the satisfaction model. Journal of Leisure Research 12(4): 329-345. 

  27. Paquet, C., T. P. Orschulok, N. T. Coffee, N. J. Howard, G. Hugo, A. W. Taylor, R. J. Adams and M. Daniel(2013) Are accessi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public open spaces associated with a better cardiometabolic health?.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118: 70-78. 

  28. Park, K. H., W. S. Lee, T. H. Kim and E. J. Kim(2014) Effect of satisfaction in neighborhood park environments on physical activity and health: The case of Seongsan-gu and Uichang-gu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2(3): 64-75. 

  29. Park, Y. E., W. S. Lee, S. G. Jung and K. H. Park(2015) The effect of environmental perception in neighborhood park on user’s recognition of health improvement: Focusing on 8 nighborhood parks in Changwon city.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3(1): 54-68. 

  30. Park, S. H., Y. M. Choi and H. L. Seo(2008) Characteristic difference of pedestrian environments in residential neighborhood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2): 215-226. 

  31. Park, S. H., Y. M. Choi, H. L. Seo and J. H. Kim(2009) Perception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satisfaction of neighborhood walking: An impact study based on four residential communities in Seoul,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5(8): 253-261. 

  32. Pikora, T., B. Giles-Corti, F. Bull, K. Jamrozic and R. Donovan(2003) Developing a framework for assessment of the environmental determinants of walking and cycling. Social Science and Medicine 56(8): 1693-1703. 

  33. Poston, W. S. C. and J. P. Foreyt(1999) Obesity is an environmental issue. Atherosclerosis 146(2): 201-209. 

  34. Rho, H. J.(2001) Surveying and Statistical Analysis by SPSS. Seoul: Hyungseul Publishing Co. 

  35. Stuart, B. F.(1987) RandomHouse Dictionary of the English Langueage. Betascript. 

  36. www.suseong.kr 

  37. www.who.in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