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3 no.5, 2008년, pp.620 - 629
임영지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dietary habits and seasonal variation and diversity of food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of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in a rural area. Forty nine elderly women living alone and forty one elderly women living with family who...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독거노인의 증가 이유에는 무엇이 있는가? | 53%에 비해 심각하며(Choi & Ryu 2003), 빈곤노인을 위한 사회 안전망이 매우 취약한 실정이다. 독거노인의 증가 이유에는 사회적 변화와 가족 구조적 변화를 들 수 있는데, Chung (1999)은 독거노인의 약 80%가 여성노인으로 독거노인의 문제는 곧 여성노인의 문제라고 하였다. Kwon & Oh (2007)는 저소득층 노인 458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식품불안정성이 높을수록 건강상태가 저조하였고 우울증 정도가 심하며 영양소 섭취가 저조하였다고 보고하여 식생활이 노인, 특히 저소득층 여성 독거노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클 것으로 사료된다. | |
본 논문에서 식품섭취조사는 어떻게 진행되었는가? | 식품섭취조사는 조사 대상자들과의 일대일 면접 조사에 의해 24시간 회상법을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사전에 교육받은 조사원에 의해 실물크기의 식품모형과 식품사진, 그릇 등을이용하여 계절별로 1차례씩 실시하였으며, 조사방법은 국민 건강영양조사 방법(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5)에 준하여 시행하였다. | |
본 연구는 경상북도 고령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여성 독거노인 41명, 가족동거노인 49명을 대상으로 하여 2005년 여름에 식습관, 건강상태 및 식품섭취를 설문·조사하였 고, 2006년 겨울 및 봄에 각 1회씩 식품섭취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어떠한가? | 1. 평균연령은 독거노인 74.7세, 가족동거노인 72.8세였 고, 치아 상태 및 골절 경험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유병률이 가장 높은 질환은 근골격계질환으로 대상자의 61.2%로 가장 높고, 다음은 순환기계질환으로 32.7%였 다. 독거노인과 가족동거노인 간에 유병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우울 정도를 나타내는 총점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행복감에 대해서는 독거노인이 동거노인에 비해 더 낮았다. 2.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의 아침 결식률이 유의하게 높고, 간식 회수는 유의하게 낮았다. 식사의 불규칙성이 독거노인에서 높았으며, 영양보충제 복용도 유의하게 낮았다. 3. 대부분의 식품군 섭취량에서 독거노인은 동거노인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여름철에 독거노인의 당류와육류의 섭취량이 동거노인에 비해 유의하게 적었다. 독거노 인의 식품군 점수는 동거노인에 비해 여름철에 유의하게 낮았으며, 겨울 및 봄철에는 낮은 경향을 보였다. 4. 여름철에는 육류와 채소류를 섭취한 대상자 비율이 동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주요 식품군 (유제품, 육류, 곡류, 과일류, 채소류) 섭취 패턴을 보면 유제 품과 과일군이 제외된 식사가 계절에 관계없이 두 군 모두에서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유제품, 과일, 육류가 함께 제외된 식사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봄과 여름철에 독거노인의 경우 곡류와 채소로 주로 구성된 식품군 섭취패턴이 많음은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식사의 질이 열등함을 반영 한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가족동거노인에 비해 독거노인은식습관이 열등하고, 식품섭취의 다양성이 적어 식사의 질이 낮으며, 이러한 차이는 특히 여름철에 뚜렷하였다. 따라서 영양취약계층인 여성독거노인을 위해 농촌지역의 특성을 반영 하고 계절적 차이를 고려한 식품영양정책이 시급하며, 이들의 식품안정성 향상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형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Bae JH (2004): Social support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rural elderly: Focusing on the function of support by their children and neighbors. Social Welfare Policy 20: 197-216
Chang YK, Chung YJ, Moon HK, Yoon JS, Park HR (2006): Nutritional Assessment. pp. 138-139, Shinkwang Publishing Co., Seoul
Choi HS, Ryu YK (2003): A study on the levels, trends, and composition of the old-age poverty in Korea.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3(3): 145-160
Chu SK, Kang NE, Yi SH (2007): The effects of nutrition evaluation related to suitable food supply program for elders living alone in Sung Nam City. Korean J Food & Nutr 20(4): 467-475
Chung SD (1999): Network therapy and its application to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J Welfare Aged Institute 6(1): 177-205
Gollub EA, Weddle DO (2004): Improvements in nutritional intake and quality of life among frail homebound older adults receiving home-delivered breakfast and lunch. J Am Diet Assoc 104(8): 1227-1235
Kant AK, Schatzkin A, Block G, Ziegler RG, Nestle M (1991): Food group intake patterns and associated nutrient profiles of the US population. J Am Diet Assoc 91(12): 1532-1537
Kim HY, Kim MH, Hong SG, Hwang HS, Park MH (2005):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health risk factors, blood health status in elderly Korean women living alone. Korean J Community Nutr 10(2): 216-223
Kim C, Park YS (2000): Comparing health-related behaviors, food behaviors, and the nutrient adequacy ratio of rural elderly by single-elderly families vs. extended families. Korean J Community Nutr 5(2S): 307-315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5): The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Nutrition Survey-. Survey Guidelines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6): Population Projections for Korea: 2005-2050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Krebs-Smith SM, Smiciklas-Wright H, Guthrie HA, Krebs-Smith J (1987): The effects of variety in food choices on dietary quality. J Am Diet Assoc 87(7): 897-903
Kwon SO, Oh SY (2007): Association of household food insecurity with socioeconomic measures, health status and nutrient intake in low income family. Korean J Nutr 40(8): 762-768
Lee SA, Lee GM (2002): A study on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depression among the elderly in rural area. J Korea Gerontological Society 22(1): 209-226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2): Assessment based on food group intake. Korean J Nutr 31(3): 343-353
Lim YJ, Choi YS (2007): Seasonal nutrient intakes of elderly women living alone as compared to those living with family in the Gyeongbuk rura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2(1): 58-67
Marshall JA, Lopez TK, Shetterly SM, Morgenstern NE, Baer K, Swenson C, Baron A, Baxter J, Hamman RF (1999): Indicators of nutritional risk in a rural elderly hispanic and non-hispanic white population: San Luis Valley health and aging study. J Am Diet Assoc 99(3): 315-322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a):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tion Examination Survey (KNAHNES III), 2005 -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6b): Report on 2005 National Nutrition Survey by Season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07): 2006 White Paper on Health & Welfare
Park KS (2001): Comparison between the rural and urban elderly receiving public assistance on their needs and util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s in Kyonggi Province. Korean Social Security Studies 16(1): 175-211
Park MY, Kim GR, Lee DJ, Kim JM, Park PS (2006): A survey of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the aged people in rural area, Gyeongbuk Yecheon. Korean J Nutr 39(1): 58-73
Ryan C, Shea ME (1996): Recogniz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The role of the dietitian. J Am Diet Assoc 96(10): 1042-1044
Sahyoun NR, Lin CL, Krall E (2003): Nutritional status of the older adults is associated with dentition status. J Am Diet Assoc 103(1): 61-66
Sharkey JR, Branch LG, Zohoori N, Giuliani C, Busby-Whitehead J, Haines PS (2002): Inadequate nutrient intakes among homebound elderly and their correlation with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related factors. Am J Clin Nutr 76(6): 1435-1445
Son SM, Park JK (2005): The changes of dish consumption frequencies, dietary attitudes and health-nutrition risk for single living female elderly on food-aid program. J Korean Diet Assoc 11(3): 286-298
Song YJ, Paik HY (1998): Seasonal variation of dietary intake and quality from 24 hour recall survey in adults living in Yeoncho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7(4): 775-784
Walker D, Beauchene RE (1991): The relationship of loneliness, social isolation, and physical health to dietary adequacy of independently living elderly. J Am Diet Assoc 91(3): 300-304
Yang EJ, Bang HM (2008): Nutritional status and health risks of low income elderly women in Gwangju area. Korean J Nutr 41(1): 65-76
Yim KS (2007): Health-related behavioral factors associated with nutritional risks in Korean aged 50 years and over. Korean J Community Nutr 12(5): 592-605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