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세 이상 성인 여성의 소득계층에 따른 영양상태 및 식습관 평가 - 제4기(2007~2009)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
An Evaluation of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by Household Income in Female Adults over the Age of 20 - Using Data from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7 no.4, 2014년, pp.660 - 672  

장희경 (계명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dietary habit and nutritional status by household income in female adults, using data from the $4^{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9). Subjects were 8,356 women over the age of 20 years. The subjects were cl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제 4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2007~ 2009)를 활용하여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소득계층에 따른 영양상태와 식생활을 평가해 봄으로서 대표적 영양취약집단의 특성들을 알아보고, 향후 진행될 국가정책 및 영양관련사업의 건강증진 전략을 수립하고, 보다 실질적이고 차별화된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제 4기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2007~2009)를 활용하여 20세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소득계층에 따른 영양상태 및 식습관 등을 평가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만이 잘 나타나는 계층은? 최근 우리나라는 급격한 경제성장, 생활수준의 향상 및 발달된 의료기술 등으로 인해 국민들의 전반적인 건강상태와 관련지표들이 향상된 듯 보이나, 세부적으로는 사회양극화에 따른 건강상의 불균형이 확인되고 있으며, 질병의 양상 또한 사회·경제적 요인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사회·경제적 요인과 비만 발생과의 관련성에 대해 미국과 유럽에서 수행된 선행연구(Wamala 등 1997; Vescio 등 2001; Drewnowski & Specter 2004; Rebecca & Benjamin 2012)들을 살펴보면, 비만은 경제력과 교육수준이 낮은 인구집단에서 특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저소득층, 블루칼라직업 등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일수록 혈청지질 수준이 불량하였으며, 영양위험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 건강상의 불균형이 사회·경제적 수준과 상호관련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만의 원인 중 저소득층 비만군이 섭취하는 음식의 종류는? 비만의 원인을 에너지 및 지방 과잉 섭취에만 초점을 맞추기보다 여러 요인들의 상호작용에 의한 종합적인 검토가 필요해진다. 관련 연구(Ahn 등 2012)에 의하면 저소득층 비만군은 탄수화물의 급원 식품인 감자와 고구마의 섭취가 높은 편이었고, 고소득층과 비교했을 때, 영양불균형과 낮은 영양밀도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일반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은 사람들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인해 다양한 식품을 구입하기가 어려워 가격이 저렴하면서 에너지 밀도가 높은 고지방식품, 정제된 곡류 그리고 단순당이 많이 함유된 음식을 선택하기 쉽고, 이로 인해 영양불균형과 비만의 문제가 생기는 것으로 설명되고 있다(Drewnowski & Specter 2004).
기존에 유전적 요인 이외에 비만이 발생하는 이유로 알려진 것은? 이와 같은 사실은 사회·경제적 요인이 남성보다 여성의 건강과 질병 발생에 더 강한 영향을 끼친다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비만 발생은 유전적 요인 이외에 열량섭취의 과다 및 소비에너지 부족에 따른 에너지 불균형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나, 실제 영양소 섭취량을 살펴보면, 비만여성과 정상체중 여성 간에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경우가 많아, 식사성 원인파악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Park & Yoon 2005; Yoon & Jang 2011). 특히 성인 남성은 체질량지수가 높아질수록 평균 에너지 섭취량을 비롯하여 지방, 탄수화물 및 단백질 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양상을 보인 반면, 성인 여성에서는 정상체중 여성과 비만 여성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2)

  1. Ahn SH, Son SM, Kim HK. 2012. A study on the health and nutrition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household income and obesity in Korean adults aged over 50: Based on 2005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17:463-478 

  2. Alaimo K, Briefel RR, Frongillo EA, Olson CM. 1998. Food insufficiency exists in the United States: Results from the third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HANES III). Am J Public Health 88:419-426 

  3. Anderson SA. 1990. Core indicators of nutritional state for difficult to sample populations. J Nutr 120:1559-1600 

  4. Bae YJ, Yeon JY. 2013. Evaluation of nutrient intake and diet quality according to beverage consumption status of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08. Korean J Nutr 46:34-49 

  5. Bae YJ. 2012. Evaluation of nutrient, food intake status and dietary quality in Korean female adults according to obesity: based on 2007-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5:140-149 

  6. Ball K, Mishra G, Crawford D. 2002. Which aspects of socioeconomic status are related to obesity among men and women?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6:559-565 

  7. Choi JH, Moon HK. 2008. Comparison of dietary patterns by sex and urbanization in different economic status. Korean J Community Nutr 13:346-358 

  8. Dallongeville J, Cottel D, Ferrieres J, Arveiler D, Bingham A, Ruidavets JB. 2005. Household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sex-specific manner. Diabetes Care 28:409-415 

  9. Dietz WH. 1995. Does hunger cause obesity? Pediatrics 95:766-767 

  10. Drewnowski A, Specter SE. 2004. Poverty and obesity: The role of energy density and energy cost. Am J Clin Nutr 79:6-16 

  11. Fang YZ, Yang S, Wu G. 2002. Free radicals, antioxidants and nutrition. Nutr 18:872-879 

  12. Hansen RG, Wyse BW. 1973. Expression of nutrient allowances per 1,000 kilocalorie. J Am Diet Assoc 76:223-227 

  13. Hoffmann IS, Cubeddu LX. 2009. Salt and the metabolic syndrome. Nutr Metab Cardiovasc Dis 19:123-128 

  14. Jung HJ, Song WO, Paik HY, Joung HJ. 2011. Dietary characteristics of macronutrient intake and the statu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s. Korean J Nutr 44:119-130 

  15. Kim BH, Sung MY, Lee YN. 2011. Comparison of the nutrient intakes by the score of dietary action guides for Korean children among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wangju city. Korean J Community Nutr 16:411-425 

  16. Kim HJ, Park K. 2011. Egg consumption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364-374 

  17. Kim KR, Hong SA, Kim MK. 2008. Nutritional status and food insufficiency of Korean population through the life-course by education level based on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1:667-681 

  18. Koo S, Park K. 2011. The association between consumption of processed meat and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Nutr 44: 406-415 

  1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07. In-depth analysis on the 3rd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survey. pp. 1-30 

  20. Lee CJ, Joung HJ. 2012. Milk intake is associated with metabolic syndrome: using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7-2010. Korean J Community Nutr 17:795-804 

  21. Lee SM. 2011. Association of whole grain consumption with socio-demographic and eating behavior factors in a Korean population: based on 2007-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6:353-363 

  22. Lee SY, Park HS, Kim SM, Kwon HS, Kim DY, Kim DJ, Cho GJ, Han JH, Kim SR, Park CY, Oh SJ, Lee CB, Kim KS, Oh SW, Kim YS, Choi WH, Yoo HJ. 2006. Cut-off point of waist circumference for defining abdominal obesity in the Korean population. J Korean Soc Study Obes 15:1-9 

  23. Lim S, Shin H, Song JH, Kwak SH, Kang SM, Yoon JW, Choi SH, Cho SI, Park KS, Lee HK, Jang HC, Koh KK. 2011. Increasing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or 1998-2007. Diabetes Care 34:1323-1328 

  24. Madden JP, Yoder MD. 1972. Program evaluation: Food stamps and commodity distribution in rural areas of central Pennsylvania. Penn Agr Expn Sta Bull 78:1-19 

  2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pp. 1-6, 10-12, 48, 614-616 

  26. Moon HK, Kim EG. 2004. Food intake of Koreans by economic status using 1998 Korean National Health Examination Nutrition Survey. Proceeding of 2004 Fal Symposium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p. 228 

  27. Moon HK, Kong JE. 2010.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for middle aged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using 2005 and 200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43:69-78 

  28. Nord M, Andrews M, Carlson S. 2007.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United States, 2006. US Department of Agriculture 

  29. Park JA, Yoon JS. 2005. Dietary behaviors and status of nutrient intakes by the obesity levels of housewives in Daegu. Korean J Community Nutr 10:623-632 

  30. Park JY. 2010. Relevance of eating habit guideline practice rate, obesity and snack consumption frequency. MS thesis, Keimyung University of Daegu, Korea. pp. 28-34 

  31. Park SK, Park MS, Ko JA. 2008. The association between carbohydrate intake and waist circumference. Korean J Obes 17:175-181 

  32. Parl MJ, Yun KE, Lee GE, Cho HJ, Park HS.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and metabolic syndrome among Korean adults. Korean J Obes 15:10-17 

  33. Rebecca K, Benjamin C. 2012. Global gender disparities in obesity: A review. Adv Nutr 3:491-498 

  34. Son SH, Lee HJ, Park K, Ha TY, Seo JS. 2013. Nutritional evaluation and its relation to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consumption of cooked rice and cooked rice with multi-grains in Korean adults: Based on 2007-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Community Nutr 18:77-87 

  3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pp. xxiv-xxviii 

  36. Vescio MF, Smith GD, Giampaoli S. 2001. Socioeconomic 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factors in an Italian rural population. Eur J Epidemiol 17:449-459 

  37. Wamala SP, Wolk A, Schenck-Gustafsson K, Orth-Gomer K. 1997. Lipid profile and socioeconomic status in healthy middle aged women in Sweden. J Epidemiol Community Health 51:400-407 

  38. Wang Y, Zhang Q. 2006. Are American children and adolescents of low socioeconomic status at increased risk of obesity? changes in the association between overweight and family income between 1971 and 2002. Am J Clin Nutr 84:707-716 

  39.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Western pacific region, the Asia-pacific perspective: Redefining obesity and its treatment 

  40. Yon MY, Lee YN, Kim DH, Lee JY, Koh EM, Nam EJ, Shin HY, Kang BW, Kim JW, Heo S, Cho HY, Kim CI. 2011. Major sources of sodium intake of the Korean population at prepared dish level: Based on the KNHANES 2008-2009. Korean J Community Nutr 16:473-487 

  41. Yoon JS, Jang HK. 2011. Diet quality and food patterns of obese adult women from low income classes: Based on 2005 KNHANES. Korean J Community Nutr 16:706-715 

  42. Yoon YS. 2004. Women's obesity: Background of epidemiology. Korean J Obes 13:211-2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