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4, 2008년, pp.542 - 549  

신길만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  김동영 (순천대학교 조리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당귀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10.5%, 조단백질 16.9%, 조지방 13.8%, 조회분 6.0%, 식이섬유량 35.5% 등으로 나타났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반죽의 호화도, break down과 set back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화온도와 점도는 감소하였다. Falling number, gluten 함량, 반죽팽창력, mixograph의 결과 모두는 모두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Farinogragh 측정에서는 반죽의 점조도, 연화도, 수분 흡수율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반죽안정도, 반죽 형성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Alveograph는 최대압력을 나타내는 P값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부피와 신장성도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반죽의 제빵 적성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effects of Angelica gigas nakai powder(AP) addition on bread dough were investigated by preparing dough with 0-10%(w/v) powder. Dough raising power, gluten levels, rapid visco properties, and falling number, were investigated.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s measured by mixography, farin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반죽을 온도 30℃, 상대습도 80% 조건에서 30분 동안 1차 발효시켰다. 1차 발효가 완료된 반죽을 150 g씩 분할하고, 둥글리기하여 실온에서 15분간 중간 발효한 후 밀고, 말고, 봉하여 식빵틀(195 x 85 x 95 mm)에 3개씩 넣어 팬닝하여 온도38℃, 상대습도 85% 조건에서 30분간 2차발효 하였다. 굽기는 오븐온도 200℃로 예열된 데크오븐에서 30분간 구웠다.
  • 당귀 분말 첨가에 따른 gluten 함량은 AACC 방법을 약간변형하여 시료 25 g에 물 15 mL를 가하여 반죽하고 30분간실온에서 휴지시킨 후 흐르는 물에서 12 분 동안 전분을씻어낸 후, 손으로 물기를 제거한 후 젖은 글루텐 함량을측정하고 다시 200℃ 오븐에서 30분 구운 후, 건조 글루텐함량을 측정하였다.
  • 당귀 분말 첨가한 식빵을 제조한 후 디지털 카메라(DSC-P 150, Sony Co., Japan)로 촬영하여 관찰하였다.
  • 당귀 분말 첨가한 혼합분의 호화 특성을 Rapid ViscoAnalyzer(RVA, Newport Scientific Pty, Ltd.,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즉, 알루미늄 용기에 밀가루를 3.
  • 먼저 30℃의 물 600 mL에 밀가루 300 g과 당귀 분말을밀가루 대비하여 0~10%씩 각각 혼합하여 넣고 20분간반죽하면서 수분흡수율(waterabsorption), 반죽의 점조도(consistency), 반죽의 형성시간(development time), 반죽의안정도(stability)등을 측정하였다.
  • 밀가루에 당귀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mixograph 반죽특성은 AACC 방법에 따라서 실험하였으며 밀가루와 당귀분말 가루를 섞은 후 실내온도 가 되도록 온도를 일정하게유지하면서 10 g mixograph (National manufacturing Co.,Lincdn NE, USA)를 사용하여 반죽의 형성과 글루텐의 발달정도, 혼합시간과 믹싱 내구성을 측정하였다.
  • 반죽이 원활하게 나오도록 5개의반죽판 윗면, 롤러, 롤러판 및 스패튤라 양면에 식용유를칠하였다. 반죽 시작 8분이 지난 다음 반죽날개의 방향을오른쪽으로 바꾸고 반죽 추출판과 출구에 식용유를 칠하고초기반죽을 10 mm 스패튤라를 사용하여 잘라낸 다음 식용유를 칠한 반죽판 위에 직각으로 자른 반죽을 놓고 롤러로9~12회 정도 눌러 반죽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평평한 반죽의 중앙을 펀치로 눌러 자른 후 반죽 판에 놓고resting chamber에 반죽 순서대로 넣었다.
  • 이때 반죽기는 24℃, resting chamber는 25℃로 조절하였고, 반죽기의 온도가상승하지 않도록 냉각수로 조절하면서 반죽한 다음 30초 후에 또 다시 반죽하였다. 반죽이 원활하게 나오도록 5개의반죽판 윗면, 롤러, 롤러판 및 스패튤라 양면에 식용유를칠하였다. 반죽 시작 8분이 지난 다음 반죽날개의 방향을오른쪽으로 바꾸고 반죽 추출판과 출구에 식용유를 칠하고초기반죽을 10 mm 스패튤라를 사용하여 잘라낸 다음 식용유를 칠한 반죽판 위에 직각으로 자른 반죽을 놓고 롤러로9~12회 정도 눌러 반죽이 균일한 두께가 되도록 하였다.
  • 생리활성 성분이 다량 함유된 여러가지 천연식물 소재를 식품으로 개발하고(11) 적극적으로활용하려는 연구로써 Lee와 Moon(12)은 식이섬유를 첨가한 제빵 연구, 신선초가루 첨가(13), 솔잎추출물 첨가(14)미생물을 이용한 제빵 적성 연구(15) 대두분이나 대두 단백질을 첨가(16)등의 복합분의 제빵 적성에 대하여 보고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천연 재료 중에서 향과 맛이 우수하고인체의 생리활성 작용이 탁월하다고 알려진 당귀의 약리작용과 맛, 향 등의 기능성이 가미 된 당귀 식빵을 제조하기위하여 밀가루에 당귀 분말을 0~10% 첨가하여 반죽의 일반성분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 온도 38±1℃, 상대습도85%인 발효기(Dea young Co., Korea)에서 60분 동안 1차발효시킨 다음, 반죽을 50 g 크기를 분할하고 둥글리기, 한 후 가스를 빼고 성형하여 지름 40 mm 높이 280 mm의원형 실린더에 넣고 윗면을 평평하게 한 후 1, 2, 3, 6, 24,72, 96 시간 후, 7번 나누어 반죽팽창력을 측정하였다.
  • 이때 alveogram의Pmax(반죽의 변형에 필요한 최대 저항력과 관계되는 압력),L(mm, 팽창된 반죽이 터질 때까지의 신장성), G(2.22√L,팽창지표), W(반죽의 baking strength)를 각 시료마다 5번반복 실험하였고 그 평균값을 구하였다.
  • ,Franc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밀가루 250 g과 당귀분말을 밀가루 대비 0~10%씩 각각 첨가하여 2.5% NaCl용액을 133 mL 넣고 반죽을 하였다. 이때 반죽기는 24℃, resting chamber는 25℃로 조절하였고, 반죽기의 온도가상승하지 않도록 냉각수로 조절하면서 반죽한 다음 30초 후에 또 다시 반죽하였다.
  • ,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즉, 알루미늄 용기에 밀가루를 3.5 g씩 넣고 준비된 당귀 분말을 밀가루 대비 0~10%씩 혼합하고 증류수25 mL를 가한 다음, 교반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50℃로맞춘 RVA에서 1분간 교반한 다음, 분당 12℃ 상승시키면서95℃ 까지 가열하고 이 상태에서 2.
  •  평평한 반죽의 중앙을 펀치로 눌러 자른 후 반죽 판에 놓고resting chamber에 반죽 순서대로 넣었다. 한편 alveograph의공기방출판과 템퍼에 식용유를 칠하고 반죽을 방출판의중앙에 넣어 템퍼를 닫은 다음 링을 잠그고 템퍼링과 링을직각으로 들어낸 후 공기를 주입하여 만들어진 반죽봉이팽창한도에 이르렀을 때 측정하였다. 이때 alveogram의Pmax(반죽의 변형에 필요한 최대 저항력과 관계되는 압력),L(mm, 팽창된 반죽이 터질 때까지의 신장성), G(2.
  • 그후 분당 12℃ 하강시키면서 50℃까지 냉각하였다. 호화개시온도(pasting temperature), 최고점도(peak visicosity), 최고점도에서의 온도(peak visicosity temperature), 50℃로 냉각했을 때의 냉각점도(coldviscosity), breakdown 및 set back값을 구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사용한 당귀 분말(2006년)을 강원도 평창군진부면 오대산 기슭에서 재배된 참당귀 분말의 뿌리를 동결건조하여 100 mesh로 마쇄 분말화하여 밀가루 100% 기준으로 당귀 분말을 0~10%씩 각각 다르게 첨가 하였고, 식빵의 재료인 밀가루와 설탕은 삼양사(주)에서, 이스트는 제니코식품(주)에서, 소금은 성진식품(주)에서, 탈지분유는 서울 우유(주)에서, 버터는 서울 하인즈(주)의 회사 제품을각각 사용하였고, 배합 비율은 Table 1에 나타냈다.

데이터처리

  • 분석 방법으로는 평균, 표준편차 및 분산분석 등을실시했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20)룰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20).
  • 실험결과는 SPSS(Statistics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ver. 10.0 for window)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평균, 표준편차 및 분산분석 등을실시했으며 Duncan’s multiple range test(20)룰 사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20).

이론/모형

  • 당귀 분말 첨가에 따른 반죽의 팽창력은 스트레이트법으로 Table 1의 배합비율에 따라 믹싱 제조하였다. 반죽재료를 반죽기(Dea young Co.
  •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17)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수분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 식이섬유는 Prosky(18)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 밀가루에 당귀 분말을 첨가하여 falling number(PertenInstruments., Sweden)는 falling number 1,500을 사용하여AACC법(19)에 따라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수분함량14% 기준 밀가루 7 g을 정량한 후 증류수 25 mL를 넣고고무마개를 한 다음 20~30번 격렬하게 흔들어 균일한 현탁액을 만들었다.
  • 밀가루에 당귀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alveograph의 특성은 AACC 방법에 따라 alveograph(NG, Chopin Co.,France)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즉, 밀가루 250 g과 당귀분말을 밀가루 대비 0~10%씩 각각 첨가하여 2.
  • 밀가루에 당귀 분말을 첨가한 복합분의 farinograph 특성은 AACC 방법에 따라서 실험하였으며 밀가루와 당귀 분말분말을 섞은 후 반죽의 특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farinograph(Brabender Co., Germany)를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 식빵 반죽은 비상 스트레이트법으로 제조하였다. 버터를 제외한 전 재료를 반죽기(Dea young Co.
  •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은 AOAC 방법(17)에 따라 분석하였다. 즉 수분은 105℃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은 Micro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 식이섬유는 Prosky(18)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귀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이화학적 특성,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당귀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이화학적 특성,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다음과 같다. 당귀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10.5%,조단백질 16.9%, 조지방 13.8%, 조회분 6.0%, 식이섬유량35.5% 등으로 나타났다. 당귀 분말을 첨가한 밀가루의 호화도(RVA)는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호반죽의호화도, break down과 set back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증가함에 따라 호화온도와 점도는 감소하였다. Fallingnumber, gluten 함량, 반죽팽창력, mixograph의 결과 모두는모두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Farinogragh 측정에서는 반죽의 점조도, 연화도, 수분 흡수율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고, 반죽안정도, 반죽 형성시간과 안정도는 감소하였다. Alveograph는 최대압력을 나타내는 P값은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고, 부피와 신장성도 당귀 분말의 첨가량이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수록반죽의 제빵 적성은 적합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당귀는 무엇인가? 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미나리과(Umbelliferae)에속하는 다년생초목으로 종류는 산지에 따라 한국에서 생산되는 참당귀 분말(Angelica gigas nakai, 토당귀)과 일본에서생산되는 일본당귀(Angelica acutiloba kitagaw, 일당귀)와중국에서 생산되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diels)로 구분하며, 그 성분과 약리적 효과는 상이 한 것으로 알려져있다(1).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는 강원, 경기 지역의산속 습윤한 계곡에 자생하며 뿌리는 굵고 강한 향기가있으며 맛은 약간 쓰다.
당귀 성분은 정유가 0.31%, 과실에는 0.69%를 함유하고 있어서 무슨 작용을 하는가? 31%, 과실에는 0.69%를 함유하고 있어서 생식기능 조절작용, 진정작용, 진통작용, 항균작용, 조혈작용 및 설사작용이 있으며, 비타민 E 결핍증, 빈혈증, 진통, 강장 및 부인병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3). 또한당귀는 민간에서는 당귀 잎으로 쌈을 해먹거나 어린순을나물로 식용하기도 하고(4) 건조하여 마쇄한 가루를 떡에첨가나 뿌리를 차를 달여 마시거나 생 뿌리로 술을 담가먹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Han, D.S. (1988) Pharmacognosy. Myung publishing co., Seoul, p.201-203 

  2. 장상문. (1985) 토양 이화학성과 비료가 당귀 분말의 유효성분 함량에 미치는 영향. 경북대학교 대학원 논문집, p.35-55 

  3. Lee, S.L. (1994) Phytology. Young lim pubishing co., Seoul, p.578-580 

  4. Hwang, Y.S., Won, D.H., Yoon, T.B. and No, H.W. (1984) Studies on quality control method of crude drug preparations. Report of NIH Korea., p.341-348 

  5. Seong, N.S., Lee, S.W., Kim, K.S. and Lee, S.T. (1993) Environmeental variation of decursin content in Angelica gigas. Korea J. Crop Sci., 38, 60-65 

  6. Kim, K.Y. (1990) Studies on the determination of decursin in Angelica gigantis radix and some umbel life rae plants. M.S Thesis, Kyung Hee Univ., Korea 

  7. Ryu, K.S., Hong, N.D., Kim, N.J. and Kong, Y.Y. (1990) Studies on the coumarin constituents of the root of Angelica gigas naki. Korea J. Pharmacogn., 21, 64-68 

  8. Lee, WJ., Yoon, J.R., Kim, E.K. and Ahn, K.T. (2001) Preparation and physico chemical properties of extracts from Angelica gigantis radix of jin bu area. Korean J. Soc Food Sci. Nutr., 30, 882-887 

  9. Yee, S.T., Jeong, Y.R., Ha, M.H., Byun, M.W. and Jo, S.K. (1998) Effect of Angelica gigantis radix-water extract on nitric oxide synthesis in mouse mac rophage. Korea J. Pharmacogn., 32, 24-28 

  10. Park, H.R., Yu, Y.B., Yee, S.T. and Jo, S.K. (1998) Angelica gigas nakai. J. Life Resour. Ind., 3, 80-88 

  11. Jaobsber, F.R., Worman, S.L. and Daniels, N.W.R. (1976) The effect of datem emulsifier lipid binding in wheat flour doughs. J. Sci. Food Agric., 27, 1064-1070 

  12. Lee, Y.H. and Moon, T.W. (1994) Composition, water-holding capacity and effect on starch retrogradation of rice bran dietary fiber. Korea J. Food Sci. Technol., 26, 228-294 

  13. Choi, O.J., Ko, M.S., Kim, Y.D., Kang, S.K. and Lee, H.C. (1999) Variation N retro gradation and preerence of bread with added flour of Angelica keiskei koidz during the storag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 126-131 

  14. Kim, E.J. and Lee, S.M. (1998) Bread properties utilizing extacts pine needle according to pepation method.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542-547 

  15. Matinez, P.B., Bayarri, P. and Beneditode, B.C. (1990) Microscope of the sour doughs of wheat flour bread. Cereal Chem., 67, 85-91 

  16. Tsen, C.C. and Hoover, WJ. (1973) High-protein bread from wheat flour fortified with full-fat soy flour. Cereal Chem., 50, 70-76 

  17.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8. Prosky, L., Asp, N.G., Furda, I., Dervieriers, J.W., Schweizer, T.F. and Harland, B.A. (1987)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68, 677-679 

  19. AACC. (1983)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ry approved methods, 8th ed.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54- $4^{\circ}$ chemists., St Paul, Mineesota, USA 

  20. Hwang, H.S., Kim, G.S., Kim, J., Lee, S.H. and Park, J.S. (2001) SAS Statistics analysis. Chung-Moon Publishing Co. Seoul, Korea., p.84-100 

  21. Anderson, J.W. (1985) Health implication of wheat fiber. American J. Clin. Nutr., 41, 1103-1112 

  22. Jaobsber, F.R., Worman, S.L. and Daniels, N.W.R. (1976) The effect of date memulsifier lipid binding in wheat flour doughs. J. Sci. Food Agric., 27, 1064-1070 

  23. Shin, G.M. and Park, J.Y. (2008) Change on the characteristics of bread the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ean J. Food Preserv., 15, 231-235 

  24. Kim, H.K and Kim, S.K., (1997) Wheat and milling industrial. Korea wheat and flour industrial association, Seoul, p.184-185 

  25. Shin, H.K, Park, M.H., Chio, C. and Bae, M.J. (1997)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immune response. Korean J. Food Nutr., 10, 533-538 

  26. Shin, D.H., Lee, Y.W. (2002) Quality attributes of bread with soybean milk residue-wheat flour. Korean J. Food Nutr., 17, 41-46 

  27. Yook, H.S., Kim, Y.H., Ahn, H.J., Kim, D.H., Kim, J.O. and Byun, MW. (2000) Rheological properties of wheat flour dough and quality of bread properties with dietary fiber purified from ascidian tunic.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387-395 

  28. Kang, K.C., Baek, S.B. and Rhee, K.S. (1995) Effect of the addition of dietary fiber on staling of cak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19-25 

  29. Lindborg, K.M., Tragardh, C., Eliasson, A.C. and Dejmk, G.S. (1997) Time resolved shear viscosity of wheat flour doughs effect of mixing, shear rate, and resting on the viscosity of doughs of different flours. Cereal Chem., 74, 49-55 

  30. Chung, J.Y. and Kim, C.S. (1998) Development of buck-wheat bread properties. Korean J. Soc. Food Sci., 14, 140-147 

  31. Oh, Y.K. and Chang, S.K. (2002) Effects of green tea powder on dough rheology and gelatinization characteristic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749-753 

  32. Jung, D.S. and Jung, B.E. (2003)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dded with black rice flour.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38-43 

  33. Kim, Y.S. (1998) Quality characteritics of seolgidduk added with poria cocos wolf powder during storage. Korea Agri. Chem. Biotechnol., 41, 539-54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