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Prepared with Lotus (Nelumbo nucifera) Seeds Powder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6, 2008년, pp.852 - 858  

이병구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  변광인 (영남대학교 식품외식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자육 분말의 첨가량에 따른 식빵 반죽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연자육 분말을 첨가한 반죽의 팽창력, ferinogram, amylogram, extensogram, 반죽의 pH와 식빵의 외관 등을 조사하였다. 연자육 분말의 일반성분 함량은 수분 7.74%, 조단백질 20.15%, 조지방 2.11%, 조회분 4.34%, 조섬유소 2.78%이였다. 반죽의 팽창력 결과 대조구에 비해 연자육 분말 첨가구가 팽창력이 좋았으며, 반죽의 farinogram 특성은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흡수율이 다소 증가하였고, 반죽도달시간은 대조구에 비해 다소 짧아졌다. 연자육 분말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반죽형성 시간과 안정도는 짧아졌고 연화도는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Amylogram의 호화특성에서 최고점도온도의 경우 연자육 분말 첨가구와 대조구가 같았으며,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최고점도는 증가하였다. Extensogram 특성은 연자육 분말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신장도는 감소하였고, 저항도는 증가하였으며 이에 따라 R/E 값이 증가하였다. 반죽 후 대조구의 pH는 6.06이었고, 연자육 분말 첨가구의 pH는 $6.19{\sim}6.21$였다. 발효시간 경과에 따른 대조구의 pH는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연자육 분말 첨가구에서는 발효시간 90분까지는 서서히 낮아졌으나 90분 이후부터 pH가 급격히 낮아졌다. 이로써 연자육 분말의 첨가량이 식빵 제조용 반죽의 리올로지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bread dough supplemented with lotus (Nelumbo nucifera) seed powder. The rheological properties measured were dough volume, farinogram, amylogram, extensogram, pH and outernal. The lotus seed powder contained 7.74% moisture, 20.15% crude protei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유용성분이 점차 밝혀지고 있는 연자육 식빵을 제조하기 위하여 밀가루에 연자육 분말을 0~20%까지 첨가한 반죽의 일반성분 및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자육에는 어떤 화학적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연자육(Nelumbo nucifera GAERTN)은 수련과(Nymphaceae)에 속하는 연꽃의 잘 익은 종자를 가을에 수확하여 과피를 제거하고 말린 것으로 표면은 연한 황갈색 또는 홍갈색으로 가는 세로 주름과 비교적 넓은 맥문을 띠고 있으며, 한 쪽의 끝 중심부에는 유두상으로 도드라지고 짙은 갈색으로 대개는 벌어져 있으며 가장자리는 약간 오목하고, 질은 단단하며 쉽게 쪼개져 떨어지지 않고, 종피는 얇으나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1). 연자육에는 nuciferine, oxoushinsunine, N-methylasimilobine, lirinidine, higena, armepavine, quercetin, rutin, hyperin 등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nuciferine은 설치류의 중추신경계통에 진정 효과와 약한 항염증 작용, 진통제, 진해제, 항세로토닌과 부신 호르몬분비 억제 작용이 있고, 한의학적 측면에서 연자육은 맛이 달고 성질이 순하며 비장, 신장, 심장과 경락에 작용하는 약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비장강화, 설사완화, 신장보호, 사정억제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2). 최근 연구에서 연자육은 고혈압과 부정맥과 같은 심장혈관 질환 치료 작용(3)과 항암제, 이뇨제, 피부질환 치료 효능이 보고(4)되었다.
연자육이란? 연자육(Nelumbo nucifera GAERTN)은 수련과(Nymphaceae)에 속하는 연꽃의 잘 익은 종자를 가을에 수확하여 과피를 제거하고 말린 것으로 표면은 연한 황갈색 또는 홍갈색으로 가는 세로 주름과 비교적 넓은 맥문을 띠고 있으며, 한 쪽의 끝 중심부에는 유두상으로 도드라지고 짙은 갈색으로 대개는 벌어져 있으며 가장자리는 약간 오목하고, 질은 단단하며 쉽게 쪼개져 떨어지지 않고, 종피는 얇으나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1). 연자육에는 nuciferine, oxoushinsunine, N-methylasimilobine, lirinidine, higena, armepavine, quercetin, rutin, hyperin 등의 화학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nuciferine은 설치류의 중추신경계통에 진정 효과와 약한 항염증 작용, 진통제, 진해제, 항세로토닌과 부신 호르몬분비 억제 작용이 있고, 한의학적 측면에서 연자육은 맛이 달고 성질이 순하며 비장, 신장, 심장과 경락에 작용하는 약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비장강화, 설사완화, 신장보호, 사정억제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2).
연자육 분말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반죽의 발효 팽창력을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1에 나타내었다. 발효 팽창력은 반죽 직후와 발효 30분까지는 대조구와 연자육 분말 첨가구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증가하였으나 발효 90분에 이르자 대조구에 비해 연자육 분말 첨가구에서 팽창력이 급격히 향상되었다. 발효 팽창력은 대조구와 연자육 분말 5.0%, 10.0%에서는 발효시간 120분이 정점이었고, 15.0%와 20.0%는 90분을 정점으로 서서히 감소하였으며 감소폭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부추 첨가량이 증가할 수 록 빵의 부피가 감소한다는 결과(23)와 당귀 분말 첨가량이 증가하면 글루텐 탄산가스의 포집량이 줄어들기 때문에 반죽 팽창량이 감소한다는 결과(22)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eo, B.I., Lee, J.H. and Choi. H.Y. (2006) Hanyak Boncho Hak. Younglimsa. Korea, 936-938 

  2. Yi, D., Yong, P. and Li, W. (2005) Chinese functional food. New Word Press. Chinese, 142 

  3. Ling, Z.Q., Xie, B.J. and Yang, E.L. (2005) Isolation, characterization and determin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oligomeric procyanidins from the seeds of Nelumbo nucifera Gaertn. J. Agri. Food Chem., 53, 2441-2445 

  4. Liu, C.P., Tsai, W.J., Lin, Y.L., Liao, J.F., Chen, C.F. and Kuo, Y.C. (2004) The extracts from Nelumbo nucifera suppress cell cycle progression, cytokine genes expression and cell proliferation in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Life Science, 75, 699-716 

  5. Kim, S.J., Kim, H.J., Ma, S.J. and Kim, S.J. (2005)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s. Korean J. Food Culture, 20, 433-437 

  6. Tomson, D.R. (1980) State of the art bakery fermentation. Baker's Digest., 54, 28-37 

  7. Jeon, J.L. and Kim, J. (2004)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microbial changes during storage added with extracts from Ulmus cortex.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0, 180-187 

  8. Choi, O.J., Kim, Y.D. and Lee, H.C. (1999) Propertie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Angelical keiskei Koidz Flour. J. Korean Soc. Nutr., 28, 118-225 

  9. Kim, H.J., Kang, W.W. and Moon, K.D.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astrodia elata bluma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37-443 

  10. Jeon, E.R. and Park, I.D.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Angelica plant and Angelica Gigas powder. Korean Home Economics Assoc., 44, 163-169 

  11. Finny, K.F. (1984) An optimized straight dough bread making method after 44 years. Cereal Chem., 61, 20-26 

  12. A.O.A.C. (1980)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3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13. Prosky, L., Asp, N.G., Furda, I., Dervieriers, F.W., Schweizer, T.F. and Harland, B.A. (1987) Determination of total dietary fiber in foods and food products. J. AOAC, 68, 677-679 

  14. Yu, J.H., Yang, H.C., Jung, T.H. and Yang, R. (1975) Experiments in food science and engineering, Tamgudang, Publishing Co., Seoul, Korea, p.427-428 

  15. A.A.C.C. (1985) Approved Method of the AACC. 8th ed. Method 54-21.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6. A.A.C.C. (1985) Approved Method of the AACC. 8th ed. Method 22-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7. A.A.C.C. (1985) Approved Method of the AACC. 8th ed. Method 54-10. American Association of Cereal Chemists, St. Paul, MN, USA 

  18. Duncan, D.B. (199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 Biometrics, 11, 31-34 

  19. Min, S.H. and Lee, B.R. (2008) Effect of Astragalus membranaceus powder on yeast bread baking quality. Korean J. Food Culture, 23, 228-234 

  20. Kim, H.J., Kang, W.W. and Moon, K.D. (2001)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Gastrodia elata Blume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437-443 

  21. Shin, G.M.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flour dough added powder of Poria cocos Wolf. Korean J. Food Preserv., 15, 197-202 

  22. Shin, G.M. and Kim, D.Y. (2008) Rheological properties of white pan bread dough prepared with Angelica gigas Nakai powder. Korean J. Food Preserv., 15, 542-549 

  23. Shin, H.K., Park, M.H., Chio, C. and Bae, M.J. (1997) Effect of Glycyrrhiza glabra extracts on immune response. Korean J. Food Nutr., 10, 533-538 

  24. Kim, H.K. and Kim, S.K. (1997) Wheat and milling industry. Korea Wheat and Flour Industry Association, Seoul, p.107-110 

  25. Kwon, H.R. and Ahn, M.S. (1995) A study on rheological and general baking properties of breads and their rusks prepared of various cereal flours. Korean J. Food Sci. Technol., 11, 479-486 

  26. Hoseney, R.C., Hsu, K.H. and Junge, R.C. (1979) A simple spread test to measure the rheological properties of fermenting dough. Cereal Chem., 56, 141-152 

  27. Bae, J.H., Woo, H.S. and Jung, I.C. (2006) Rheological properties of dough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added with pumpkin powder. Korean J. Food Culture, 21, 311-318 

  28. Magoffin, C.D. and Hoseney, R.C. (1974) A review of fermentation. Baker's Digest., 48, 22-29 

  29. Choi, S.N. and Chung, N.Y. (2007)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buckwheat powder.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664-670 

  30. Im, J.G. and Kim, Y.H.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prepared by the addition of black soybean powder.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3, 334-341 

  31. Jung, M.H. and Park, G.S. (2002) Effect of Paecilomyces japonica and Cordyceps militaris powder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743-7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