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열온도가 마늘즙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on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4, 2008년, pp.568 - 575  

고명수 (동남보건대학 식품생명과학과) ,  양종범 (동남보건대학 식품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마늘즙을 열처리한 후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생마늘즙과 $6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공시된 모든 균주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낮아져 $80^{\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항균활성이 크게 저하되었고, $9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생마늘즙은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고형분 함량 0.1%의 농도에서, Salmonella typhymurium과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는 고형분 함량 0.2%의 농도에서 생육을 완전히 억제시켜 강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고형분 함량 0.8%의 농도에서 생육을 완전히 억제시켜 이 균들은 다른 균들에 비해 마늘즙에 대한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65^{\circ}C$로 열처리된 마늘즙은 생마늘즙에 비하여 Bacillus subti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최소저해농도가 0.1%에서 각각 0.2% 및 0.4%의 농도로 다소 높게 나타나 마늘즙을 $65^{\circ}C$에서 30분간 열처리할 경우 일부의 균에 대해 생육저해효과가 다소 저하되었으나, $80^{\circ}C$로 열처리된 마늘즙에서는 생육저해효과가 크게 저하되어 공시된 모든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가 크게 증가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raw garlic and garlic juice heated for 30 min at $65^{\circ}C,\;80^{\circ}C,\;and\;95^{\circ}C$ were investigated. Activities against food poisoning bacteria were measured. Raw garlic and garlic juice heated at $65^{\circ}C$ showed strong antimi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마늘즙을 열처리한 후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조사하여 마늘 첨가 식품의 조리 및 가공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마늘즙을 열처리한후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 성을 조사하였다. 생마늘즙과 65℃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공시된 모든 균주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 었으나,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낮아져 80℃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항균활성이 크게 저하되었고, 95℃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가설 설정

  • 1) Concentration of garlic juice loaded on paper disc was 5.4 mg/8 mm paper disc.
  • 1) No inhibitory zone was formed.
  • 2) No inhibitory zone was formed.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 성을 조사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에서는 가열온도를 달리하여 마늘즙을 열처리한후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 성을 조사하였다. 생마늘즙과 65℃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공시된 모든 균주에 대해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 었으나, 가열온도가 높을수록 항균활성이 낮아져 80℃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항균활성이 크게 저하되었고, 95℃에서 30분간 열처리된 마늘즙은 모든 균주에 대해 항균 활성을 보이지 않았다. 생마늘즙은 Bacillus subtilis,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및 Vibrio parahaemolyticus에대해 고형분 함량 0.1%의 농도에서, Salmonella typhymurium 과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해서는 고형분 함량 0.2%의농도에서 생육을 완전히 억제시켜 강한 생육저해효과를 나타내었고, Listeria monocytogenes와 Escherichia coli에 대해서는 고형분 함량 0.8%의 농도에서 생육을 완전히 억제 시켜 이 균들은 다른 균들에 비해 마늘즙에 대한 감수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65℃로 열처리된 마늘즙은 생마늘즙에 비하여 Bacillus subtilis와 Vibrio parahaemolyticus에 대해 최소저해농도가 0.1%에서 각각 0.2% 및 0.4%의 농도로 다소 높게 나타나 마늘즙을 65℃에서 30분간 열처리할 경우 일부의 균에 대해 생육저해효과가 다소 저하되었으나, 8 0℃로 열처리된 마늘즙에서는 생육저해효과가 크게 저하 되어 공시된 모든 균주에 대한 최소저해농도가 크게 증가되 었다. 감사의 글본 연구는 2007년도 동남보건대학 학술연구비 지원에 의하여 수행된 것으로, 이에 감사드립니다.
식품에 첨가되는 마늘의 효과는 무엇인가? 국내에서도 마늘의 항균작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Chung 등(12)의 생마늘즙과 열처리 마늘즙의 항균활성 비교, Kim 등(13)의 마늘즙의 Escherichia coli O157:H7에 대한 항균작용, Kim 등(14) 의 마늘 추출물의 항균, 항고혈압 및 항암활성, Kim 등(15) 의 조리방법을 달리한 마늘 추출물의 항균활성, Shin 등(1) 의 산지별 마늘의 이화학적 특성 및 생리활성 작용, Ji 등(16) 의 마늘즙의 미생물증식 억제효과, Chung 등(17)의 병원성 세균과 젖산균에 대한 마늘의 항균작용 및 Kim 등(18)의 마늘즙액의 대장균 생육저해작용 등의 연구보고가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식품에 첨가되는 마늘은 부패성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하여 식품의 보존성을 향상시키고, 식중독세균과 같은 병원성 세균의 생육을 억제하는 항균효 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마늘의 주된 항균작용물질은 마늘 특유의 자극성 향미성분인 allicin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물질은 생마늘에는 들어있지 않지만, 마늘이 분쇄되거나 절단되는 등의 물리적 충격에 의하여 조직이 파괴되면 마늘에 전구물질로 함유되어 있던 alliin이 자체 효소인 alliinase의 작용에 의해 생성된다(19).
마늘의 생리작용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은 백합과(Lilliaceae) 파속 (Allium)에 속하는 인경작물로서 독특한 향미와 다양한 생리활성을 지니고 있어 오래 전부터 향신료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우리나라에서는 중요한 양념의 하나로 각종 음식에 사용되고 있다(1). 특히 마늘은 항균작용(2), 항암작용(3), 혈압강하작용(4), 콜레스테롤저하작용(5), 항산화작용(6) 및 면역작용(7) 등의 다양한 생리작용을 지니고 있어 생체 기능을 조절하는 기능성식품소재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마늘의 항균작용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오래 전부터 진행되어 왔고, 특히 생마늘의 항균작용이 강력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8), 그 결과 마늘은 항균작용이 매우 강력하여 1~2%의 농도에서 세균의 번식을 저해하고 그 이상의 농도에서는 살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9-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hin, J.H., Ju. J.C., Kwen, O.C., Yang, S.M. and Lee, S.J. (2004) Physicochemical and physiological activities of garlic from different area. Korean J. Food Nutr., 17, 237-245 

  2. Kumar, M. and Berwal, J.S. (1998) Sensitivity of food pathogens to garlic(Allium sativum L.). J. Appl. Microbiol., 84, 213-215 

  3. Song, K. and Milner, J.A. (2001) The influence of heating on the anticancer properties of garlic. J. Nutr., 131, 1054-1057 

  4. Briggs, W.H., Xiao, H., Parkin, K.L., Shen, C. and Goldman, I.L. (2000) Differential inhibition of human platelet aggregation by selected allium thiosulfinates. J. Agric. Food Chem., 48, 5731-5735 

  5. Gebhardt, R. (1993) Multiple effects of garlic extracts on cholesterol biosynthesis in hepatocytes. Lipids, 28, 613-619 

  6. Lau, B.H. (2001) Suppression of LDL oxidation by garlic. J. Nutr., 131, 985-988 

  7. Kyo, E., Uda, N., Kasuga, S. and Itakura, Y. (2001) Immunomodunlatory effects of aged garlic extract. J. Nutr., 131, 1075-1079 

  8. Kyung, K.H. (2006) Growth inhibitory activity of sulfur compounds of garlic against pathogenic microorganisms. J. Food Hyg. Safety, 21, 145-152 

  9. Johnson, M.G. and Vaughn, R.H. (1969) Death of Salmonella typhymurium and Escherichia coli in the presence of freshly reconstituted dehydrated garlic and onion. Appl. Microbiol., 17, 903-905 

  10. Saleem, Z.M. and Al-Delaimy, K.S. (1982) Inhibition of Bacillus cereus of garlic extract. J. Food Prot., 45, 1007-1009 

  11. Al-Delaimy, K.S. and Ali, S.H. (1970) Antibacterial action of vegetable extracts on the growth of pathogenic bacteria. J. Sci. Food Agric., 21, 110-112 

  12. Chung, K.S., Kim, J.Y. and Kim, Y.M. (2003) Comparison of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 juice and heat-treated garlic juice.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40-543 

  13. Kim, M.H., Kim, S.Y., Shin, W.S. and Lee, J.S.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juice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752-755 

  14. Kim, K.J., Do, J.R. and Kim, H.K. (2005) Antimicrobial, antihypertensive and anticancer activities of garlic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28-232 

  15. Kim, Y.D., Kim, K.M. Hur, C.K., Kim, E.S., Cho, I.K. and Kim, K.J.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s according to different cooking method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1, 400-404 

  16. Ji, W.D., Jeong, M.S., Choi, U.K., Choi, D.H. and Chung Y.G. (1998) Growth inhibition of garlic(Allium sativum L.) juice on the microorganisms. Agr. Chem. & Biotechnol. 41, 1-5 

  17. Chung, K.S., Kang, S.Y. and Kim, J.Y. (2003)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Korean J. Microbiol. Biotechnol., 31, 32-35 

  18. Kim, Y.S., Park K.S., Kyung, K.H., Shim, S.T. and Kim, H.K. (1996) Antibacterial activity of garlic extract against Escherichia col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730-735 

  19. Stroll, A. and Seebeck, E. (1951) Chemical investigation of alliin, the specific principle of garlic. Adv. Enzymol., 11, 377-400 

  20. Small, L.D., Bailey, J.H. and Cavallito, C.J. (1947) Alkyl thiosulfinates. J. Am. Chem. Soc. 69, 1710-1713 

  21. Piddock, L.J.G.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8 

  22. Yoon, W.H., Choi, J.H., Lee, K.H. and Kim, C.H. (2005) Antimicrobial and antitumor activities of seed extracts of Camellia sinensis L.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108-112 

  23. Koh, M.S. (2004) Antimicrobial activity of Saururus chinensis Bail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098-1105 

  24. Lee, B.W. and Shin, D.H. (1991) Screening of natural antimicrobial plant extract on food spoilage microorganisms.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200-204 

  25. Kim, J.Y., Lee, Y.C. and Kim, K.S. (2002) Effect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arlic(Allium sativum). J. Microbiol., Biotechnol., 12, 331-3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