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치과 임상에서는 여러 목적으로 Polymethyl methacrylate를 주성분으로 한 아크릴릭 레진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가철성 교정장치는 대부분 이것을 사용한다. 그러나 아크릴릭 레진은 중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인체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미반응 모노머가 레진에 잔존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온도, 압력, 수중 혹은 공기 중)으로 중합 조건과 시간을 달리 하여 교정용 아크릴릭 레진에서 발생하는 미반응 모노머의 용리량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성 및 정량분석 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모든 군에서 MMA를 제외한 다른 모노머는 용리되지 않았으며, 중합 방법에 따른 모든 실험군에서 미반응 모노머의 용리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5) 중합 방법을 한 가지만 사용하였을 때보다 2가지 이상 복합적으로 변화시켰을 때 모노머의 용리량이 더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간경과에 따라 모노머의 용리량이 유의하게 감소하여, 특히 1일 후 부터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보아 중합 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모노머의 용리량을 더 많이 감소시키고, 다른 중합 조건들도 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용리량을 더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중합 과정에서 온도, 수분, 압력의 조건을 강화하여 3일 이상 중합 시간을 가지는 것이 미반응 모노머의 용리량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rylic resin is widely used in dental practice. However, the residual monomer in acrylic resin could act as a negative biocompatability on human bod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mount of the monomer elution from polymerized orthodontic acrylic resin. Orthodontic acrylic resin was u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러한 중합방법의 변화와 미반응 모노머 용리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정용 장치 제작 시 사용되는 교정용 아크릴릭 레진을 대상으로, 중합 방법과 중합 후 시간경과에 따라 용출되는 미반응 모노머의 양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여 정량 및 정성 분석하고, 용리되는 미반응 모노머가 감소되는 정도를 비교 평가함으로써, 아크릴릭 레진의 잔존 모노머 양을 최소화할 방법을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교정용 아크릴릭 레진으로 제작된 가철성 교정 장치를 구강 내 장착하였을 때 모노머에 노출되는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설계되었다. 모노머의 경우 인체에 여러 가지 해로운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생체 내 위해성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생리적인 검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 위험이 적은 물질로 고려되어 치과 임상에서 특히 보철물의 제작, 수리 뿐 아니라 교정 장치 및 여러 가지 치료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27).
  • 40% 농도의 acetonitrile에서 Bis-DMA의 peak가 나오지 않은 것은 시간의 측정을 0에서 10분으로 하였기 때문이며, Bis-DMA의 peak는 10분이상의 시간에서 용리될 것으로 생각되었다. 실험 중 사용한 표준 시료는 자가 중합 레진과 광중합 레진에 포함된 모노머로 하였고, 이것은 제조사가 설명한 성분 외에 다른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는 않은지 확인하기 위해 사용한 것이다. 또한 아크릴릭 레진의 중합과정에서 생성되는 MMA와 Benzoyl peroxide 중합물인 benzoic acid와 methacrylic acid는 MMA에 비해 소량 존재하고 본 실험에서는 용리되지 않아 본 연구에서는 MMA에 중점을 두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olymethyl methacrylate는 어디에 사용되는가? Polymethyl methacrylate(PMMA)는 치과 임상에서 교정용 장치, 의치상, 그리고 임시 수복 등 여러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1935년 의치상용 재료로 치의학 분야에 처음 사용된 이래,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중합시간이 짧고 조작성이 좋은 장점으로 인하여 공간유지 및 치아이동을 위한 가철성 교정 장치의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3).
레진의 중합과정에 사용되는 모노머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러나, 레진의 중합과정에 사용되는 모노머가 재료의 구조적 안정성과 생체 적합성에 잠재적으로 악영향을 미치며, 특히 생체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위해성은 어린이에서 더욱 높다4). 따라서 1941년부터 모노머로 사용되는 methyl methacrylate(MMA)에 대한 민감성과 전신적 독성 그리고 국소적 자극과 구강 내 과민 반응에 대한 연구가 시행되었다5-7).
Polymethyl methacrylate은 언제 처음 사용되었는가? Polymethyl methacrylate(PMMA)는 치과 임상에서 교정용 장치, 의치상, 그리고 임시 수복 등 여러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1,2). 1935년 의치상용 재료로 치의학 분야에 처음 사용된 이래, 사용이 간편할 뿐 아니라 중합시간이 짧고 조작성이 좋은 장점으로 인하여 공간유지 및 치아이동을 위한 가철성 교정 장치의 제작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Lee SY, Lai YL, Hsu TS : Influence of polymerization conditions on monomer elution and microhardness of autopolymerized polymethyl methacrylate resin. Eur J Oral Sci, 110:179-183, 2002. 

  2. Leggat PA, Kedjarune U : Toxicity of methyl methacrylate in dentistry. Int Dent J, 53:126-131, 2003. 

  3. Zografakis MA, Harrison A, Huggett R : Measurement of residual monomer in denture base material : Studies on variations in methodology using Gas-Liquid Chromatography.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2:101-107, 1994. 

  4. 서현우 : 치면열구전색제의 표면처리와 중합시간 증가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평가.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4:122-129, 2007. 

  5. Deichmann W : Toxicity in methyl, ethyl and N-butyl methacrylate. J Prosthet Dent, 43:138-142, 1980. 

  6. Spealman CR, Main RJ, Haag HB, et al. : Monomeric MMA. Studies on toxicity. Industr Med, 14:292-293, 1945. 

  7. Bradford EW : Case of allergy to methyl methacrylate. Br Dent J, 84:195, 1948. 

  8. Asmussen E : Restorative resins: hardness and strength vs quantity of remaining double bonds. Scand J Dent Res, 90:484-489, 1982. 

  9. Vallittu PK, Ruyter IE, Buykuilmaz S : Effect of polymerization temperature and time on the residual monomer content of denture base polymers. Eur J Oral Sci, 106:588-593, 1998. 

  10. Kedjarune U, Charoenworaluk N, Koontongkaew S : Release of methyl methacrylate from heat-cured and autopolymerized resins: cytotoxicity testing related to residual monomer. Aust Dent J, 44:25-30, 1999 

  11. Koda T, Tsuchiya H, Yaauchi M, et al. :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ic estimation of eluates from denture base polymers. J Dent, 17:84-89, 1989. 

  12. Jorge JH, Giampaolo ET, Machado AL, et al. : Cytotoxicity of denture base acrylic resins: A literature review. J Prosthet Dent, 90:190-193, 2003. 

  13. Hallstrom V : Adverse reaction to a fissure sealant: report of a case. ASDC J Dent Child, 60:143-146, 1993. 

  14. Stanely HR : Effects of dental restorative materials: local and systemic responses reviewed. J Am Dent Assoc, 124:76-80, 1993. 

  15. Weaver RE, Goebel WM : Reactions to acrylic resin dental prostheses. J Prosthet Dent, 43:138-142, 1980. 

  16. Rajaniemi R : Clinical evaluation of occupational toxicity of methylmethacrylate monomer to dental technicians. J Soc Occup Med, 36:56-59, 1986. 

  17. Rajaniemi R, Tola S : Subjective symptoms among dental technicians exposed to the monomer methyl methacrylate. Scan J Work Environ Health, 11:281-286, 1985. 

  18. Richards JM, Sydiskis RJ, Davidson WM, et al. : Permeability of latex gloves after contact with dental materials.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04:224-229, 1993. 

  19. Oysead H, Ruter IE, Sjovik Kleven IJ : Release of formaldehyde from dental composite. J Dent Res, 67:1289-1294, 1988. 

  20. Ferracane JL, Condon JR : Rate of elution of leachable components from composite. Dent Mater, 6:282-287, 1990. 

  21. Baker S, Brooks SC, Walker DM : The release of residual monomeric methyl methacrylate from acrylic appliances in the human mouth: An assay for monomer in saliva. J Dent Res, 67:1295-1299, 1988. 

  22. Goncalves TS, Morganti MA, Campos LC, et al. : Allergy to auto-polymerized acrylic resin in an orthodontic patient.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129:431-435, 2006. 

  23. 서현우, 박호원 : 광원에 따른 수종의 치면열구전색제로부터 용리되는 모노머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284-292, 2005. 

  24. 이상우, 박호원, 이주현 등 : 치면열구전색제의 광중합 후표면 처리 방법에 따른 미반응 모노머 용리 비교.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3:70-76, 2006. 

  25. Graig RG : Restorative dental materials, 8th edition, Mosby, St. Louis, 539-540, 1989. 

  26. Tsuchiya H, Hoshino Y, Kato H, et al. : Flow injection analysis of formaldehyde leached from denturebase acrylic resins. J Dent, 21:240-243, 1993. 

  27. Lefebvre CA, Schuster GS : Biocompatibility of visible light-cured resin systems in prosthodontics. J Prosthet Dent, 71:178-185, 1994. 

  28. Lamb DJ, Ellis B, Priestley D : The effects of process variables on levels of residual monomer in autopolymerizing dental acrylic resin. J Dent, 11:80-88, 1983. 

  29. Sheridan PJ, Koka S, Ewoldsen NO, et al. : Cytotoxicity of denture base resins. Int J Prosthodont, 10:73-77, 1997. 

  30. Lefebvre CA, Knoernschild KL, Schuster GS : Cytotoxicity of eluates from light-polymerized denture base resins. J Prosthet Dent, 72:644-650, 1994. 

  31. Harrison A, Huggeett R : Effect of the curing cycle on residual monomer levels of acrylic resin denture base polymers. J Dent, 20:370-374, 1992. 

  32. Ofawa T, Tananka M, Koyano K : Effect of water temperature during polymerization on strength of autopolymerizing resin. J Prosthet Dent, 84:222-224, 2000. 

  33. Kildal KK, Ruyter IE : How different curing methods affect the degree of conversion of resin-based inlay/onlay materials. Acta Odontol Scand, 52:315-322, 1994. 

  34. Zarb GA, Bolender CL, Hickey JC, et al. : Prosthodontic Treatment for Edentulous Patients, 10th edition, Mosby, St. Louis, 8, 1990. 

  35. Dahl OE, Garvik LJ, Lyberg T : Toxicity effects of methyl methacrylate monomer on leucocytes and endothelial endothelial cells in vitro. Acta Orthop Scand, 65: 147-153, 1994. 

  36. Kao EC : Influence of food-simulating solvents on resin composites and glass-ionomer restorative cement. Dent Mater, 5:201-208, 1989. 

  37. Lee SY, Greener EH, Menis DL : Detection of leached moieties from dental composites in fluids simulating food and saliva. Dent Mater, 11:348-353, 1995. 

  38. Wu W, McKinney JE : Influence of chemicals on wear of dental composites. J Dent Res, 61:1180-1183, 1982 

  39. Vallittu PK, Miettinen V, Alakuijala P : Residual monomer content and its release into water from denture base materials. Dent Mater, 11:338-342, 199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