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치태에서 분리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Armoracia rusticana) 뿌리 추출물의 항균효과
THE ANTIMICROBIAL EFFECT OF HORSERADISH(ARMORACIA RUSTICANA) ROOT EXTRACTS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ISOLATED FROM HUMAN DENTAL PLAQUE 원문보기

大韓小兒齒科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v.35 no.2, 2008년, pp.225 - 234  

김혜경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박호원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신일식 (강릉대학교 해양생명공학부 식품미생물학연구실) ,  이주현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  서현우 (강릉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구강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연항균제의 개발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하는 가운데, 다수의 연구들에서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udomonas aeruginosa, Vibrio parahaemolyticu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 Aspergillus parasiticus, Helicobacter pylori 등 다양한 세균들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의 항균 효과가 밝혀진 바 있다. 서양산 고추냉이가 치아우식증의 원인균인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해서도 항균성을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구강내에서 분리된 임상분리균주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구강내에서 분리 및 동정된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대표적 항균제인 클로르헥시딘과 비교하여 알아보고, Streptococcus mutans 표준균주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의 효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항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최소억제농도와 최소살균농도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서 Streptococcus mutans 임상 분리균주와 표준균주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의 최소억제 농도는 각각 평균 $0.083{\sim}0.25%$ ($833.33{\sim}2500 ppm$), 평균 0.25%(2500 ppm)으로 나타나, 두 종류의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에는 뚜렷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은 $0.083{\sim}0.25%$의 농도에서 클로르헥시딘($0.0021{\sim}0.0041%$)과 대등한 항균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ing in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agent from natural origin has been increased in these days. Many studies have been reported antimicrobial effect of Horseradish(Armoracia rusticana) root extracts against various microorganisms such a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typhimurium, P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의 S. mutans 임상 분리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를 대표적인 구강용 항균제인 클로르헥시딘과 비교하여 알아보고, 표준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와의 차이를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강릉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12세 미만의 환아들에서 치면세균막을 채취하여 S.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람의 구강 내에서 분리된 S. mutans 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의 항균 효과를, 대표적 항균제인 클로르헥시딘의 항균 효과와 비교하여 알아보고, 동시에 표준균주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 뿌리 추출물의 효과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치아우식증은 어떠한 현상인가? 치아우식증은 치태 내 세균에 의해 치아 경조직이 탈회되는현상으로, 치주질환과 함께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양대 구강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치아우식증은 어린이에서 치아 상실의 가장 큰 원인이며, 구강 보건의 향상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과거에 비해 큰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아직도 구강 건강에 있어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mutans streptococci 중 사람의 구강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는 것은? MS 중에서도 S. mutans와 S. sobrinus가 사람의 구강 내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고, 사람의 치아우식증과 가장 깊은 관련성을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S.
치아우식증의 가장 큰 원인은 무엇인가? 치아우식증은 치태 내 세균에 의해 치아 경조직이 탈회되는현상으로, 치주질환과 함께 구강 내에서 발생하는 양대 구강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치아우식증은 어린이에서 치아 상실의 가장 큰 원인이며, 구강 보건의 향상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과거에 비해 큰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에서는 아직도 구강 건강에 있어 커다란 문제가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Fitzgerald RJ, Keyes PH : Demonstration of the etiologic role of streptococci in experimental caries in the hamster. J Am Dent Assoc, 61:9-19, 1960. 

  2. Michalek SM, McGhee JR, Shiota T, et al. : Virulence of Streptococcus mutans : Cariogenicity of S. mutans in adult gnotobiotic rats. Infect Immun, 15:466-471, 1977. 

  3. De Stoppelaar JD, Van Houte J, Backer Dirks O : The relationship between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ing streptococci and smooth surface caries in 13-year-old children. Caries Res, 3:190- 199, 1969. 

  4. Krasse B : Relationship between caries activity and the number of lactobacilli in the oral cavity. Acta Odontol Scand, 12:157-172, 1954. 

  5. Jordan HV, Keyes PH, Bellack S : Periodontal lesions in hamsters and gnotobiotic rats infected with actinomyces of human origin. J Periodontal Res, 7:21-28, 1972. 

  6. Gibbons RJ, Nygaard M : Synthesis of insoluble dextran and its significance in the formation of gelatinous deposits by plaque forming streptococci. Arch Oral Biol, 3:1249-1262, 1968. 

  7. Loesche WJ : Dental Caries. A treatable infection. Charles C Thomas, Publisher, Spring field, 1982. 

  8. Whiley RA, Beighton D : Current classification of the oral streptococci. Oral Microbiol Immunol, 13:195-216, 1998. 

  9. 임성훈, 서정순, 윤영주 등 : 녹차 및 결명자 추출물의 교정용 브라켓과 치면 사이의 경계부에서 분리된 mutans streptococci에 대한 항균 작용. 대한치과교정학회지, 33:381-389, 2003. 

  10. Loesche WJ : Role of Streptococcus mutans in human dental decay. Microbiol Rev, 50:353-380, 1986. 

  11. van Houte J : Role of micro-organisms in caries etiology. J Dent Res, 73:672-681, 1994. 

  12. Kohler B, Andreen I, Jonsson B : The earlier the colonization by mutans streptococci, the higher the caries prevalence at 4 years of age. Oral Microbiol Immunol, 3:14-17, 1988. 

  13. Coykendall AL : Class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viridans streptococci. Clin Microbiol Rev, 2:315- 328, 1989. 

  14. Carlsson P, Gaudour IA, Olsson B, et al. : High prevalence of mutans streptococci in a population with extremely low prevalence of dental caries. Oral Microbiol Immunol, 2:121-124, 1987. 

  15. Fujiwara T, Sasada E, Mima N, et al. : Caries prevalence and salivary mutans streptococci in 0-2- year-old children of Japan. Community Dent Oral Epidemiol, 19:151-154, 1991. 

  16. Hirose H, Hirose K, Isogai E, et al. : Close association between Streptococcus sobrinus in the saliva of young children and smooth-surface caries increment. Caries Res, 27:292-297, 1993. 

  17. 안승태, 박재홍, 이긍호: 6세 이하의 어린이에서 Streptococcus mutans와 Streptococcus sobrinus의 분포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2:207-215, 2005. 

  18. Becker MR, Paster BJ, Leys EJ, et al. : Molecular analysis of bacterial species associated with childhood caries. J Clin Microbiol, 40:1001-1009, 2002. 

  19. Weitz M, Brownstein G, Deasy M : Effect of a twice daily 0.12% chlorhexidine rinse on the oral health of a geriatric population. Clin Prev Dent, 14:9-13, 1992. 

  20. Loe H, Schiott CR : The effect of mouthrinses and topical applications of chlorhexidine on the development of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in man. J Periodontal Res, 5:79-83 1970. 

  21. Loe H, Schiott CR, Karring G, et al. : Two years oral use of chlorhexidine in man. 1. General design and clinical effects. J Periodontal Res, 11:135-144, 1976. 

  22. Lang NP, Hotz P, Graf H. et al. : Effects of super-vised chlorhexidine mouthrinses in children. A longitudinal clinical trial. J Periodontal Res, 17:101-111, 1982. 

  23. Grossman E, Reiter G, Sturzenburger OP, et al. : Six-month study of the effects of a chlorhexindine mouthrinse on gingivitis in adults. J Perio Res, 21:33-43, 1986 

  24. Overholser CD, Meiller TF, DePaola LG, et al. : Comparative effects of 2 chemotherapeutic mouthrinses on the development of supragingival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J Clin Periodontol, 17:575-579, 1990. 

  25. Featherstone JD, Zero DT : Laboratory and human studies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action of fluoride- containing dentifrices. In: Embery G, Rolla R, eds. Clinical and biological aspects of dentifrices.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1992;41-50. 

  26. Lagerlof F, Oliveby A : Clinical implications : new strategies for caries treatment. In: Stookey GH, Beiswanger B, eds. Indiana Conference 1996: Early Detection of Dental Caries. Indianapolis: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Dentistry; 1996. 

  27. Hennessey TS : Some antibaterial properties of chlorhexidine. J Periodonto Res, 8:61-67, 1973. 

  28. Budtz-Jorgensen E, Loe H : Chlorhexidine as a denture disinfectant in the treatment of denture stomatitis. Scand J Dent Res, 80:457-464, 1972. 

  29. Davies A : The mode of action of chlorhexidine. J Periodont Res, 8:68-75, 1973. 

  30. Schaupp H, Wohnaut H : Disturbance of taste from oral disinfectants. HNO, 26:335-341, 1978. 

  31. Bergstorm J, Holmberg B : The effect of chlorhexidine emulsion on plaque. An infra individual study of local applicatin. Swed Dent J, 66:461-465, 1973. 

  32. Gildemeister E, Fr Hoffmann : The volatile oils. John Wiely & Sons Inc. 2nd ed., p516, 1961. 

  33. Hitomi Kumagai : Analysis of volatile components in essential oil of upland wasabi and their inhibitory effects on platelet aggregation. BiosciBiotechBiochem, 58:2131-2135, 1994. 

  34. Kazuo Ina : Volatile components of wasabi (Wasabia japonica) and horseradish (Cocholeria armoracia). Nippon Shokuhin Kagyo Gakkaishi, 18:365-370, 1981. 

  35. Nishida M : Studies on the pungent component. Antibacterial properties of essential oil of Eutrema wasabi Maxim. Yakugaku Zasshi, 78:435-443, 1958. 

  36. Inoue S, Goi H, Miyauchi K, et al. : Inhibitory effect of volatile constituents of plants on the proliferation of bacteria-Antibacterial activity of plant volatiles. J Antibact Antifung Agents, 11:609-615, 1983. 

  37. Hasegawa N, Matsumoto Y, Hoshino A, et al. : Comparison of effects of Wasabia japonica and allyl isothiocyanate on the growth of four strains of Vibrio parahaemolyticus in lean and fatty tuna meat suspensions. Int J Food Microbiol, 49:27-34, 1999. 

  38. Il Shik Shin, Hideki Masuda, Kinae Naohide : Bactericidal activity of wasabi(Wasabia japonica) against Helicobacter pylori. Int J Food Microbiol, 94:255-261, 2004. 

  39. 신일식, 이정모 : 고추냉이 뿌리의 항균활성 및 항변이원활성에 대한 연구. 한국수산학회지, 31:835-841, 1998. 

  40. Masuda H, Inoue T, Kobayashi Y : Anticaries effect of Wasabi components. ACS symposium series 859:142-153, 2003. 

  41. 유난영, 박호원, 이주현 등 : 구강내 미생물에 대한 서양산 고추냉이 (Armoracia rusticana) 뿌리 추출물의 항균 효과. 대한소아치과학회지, 33:447-456, 2006. 

  42. Bamba H, Kondo Y, Wong RM, et al. : Evaluation of an assay method of the susceptibility of antimicrobial agents using a 96-well flat-bottom microplate and a microplate reader. Am J Gastroenterol, 92:659-664, 1997. 

  43. Fenwick GR, Heaney RK, Mullin WJ : Glucosinolates and their breakdown products in food and food plants. Crit Rev Food Sci Nutr, 18:123- 201, 1983. 

  44. Verhoeven DT, Verhagen H, Goldbohm RA, et al. : A review of mechanisms underlying anticarcinogenicity by brassica vegetables, Chem Biol Interact, 103:79-129, 1997. 

  45. Kawakishi S, T Kaneko : Interaction of oxidized glutathione with allyl isothiocyanate. Phytochemistry, 24:715-718, 1985. 

  46. Kawakishi S, T Kaneko : Interaction of proteins with allyl isothiocyanate. J Agri Food Chem, 35:85- 88, 1987. 

  47. Kojima M, K Ogawa : Studies on the effect of isothiocyanates and their analogues on microorganisms: (I) effects of isothiocyanates on the oxygen uptake of yeasts. J Ferment Technol, 49:740-746, 1971. 

  48. Ochman H, Lerat E, Daubin V : Examining bacterial species under the specter of gene transfer and exchange. Proc Natl Acad Sci USA, 102:6595-6599, 2005. 

  49. Clarridge JE 3rd : Impact of 16s rRNA gene sequence analysis for identification of bacteria on clinical microbiology and infectious diseases. Clin Microbiol Rev, 17:840-862, 2004. 

  50. Bauroth K, Charles CH, Mankodi SM, et al. : The efficacy of an essential oil antiseptic mouthrinse vs. dental floss in controlling interproximal gingivitis : a comparative study. J Am Dent Assoc, 134:359-365, 2003. 

  51. Fornell J, Sundin Y, Lindhe J. : Effect of $Listerine^{\circledR}$ on dental plaque and gingivitis. Scand J Dent Res, 83:18-25, 1975 

  52. Lusk SS, Bower GM, Tow HD, et al. : Effects of an oral rinse on experimental gingivitis, plaque formation, and formed plaque. J Am Soc Prev Dent, 4:31- 34, 1974. 

  53. Sharma N, Charles CH, Lynch MC et al. : Adjunctive benefit of an essential oil-containing mouthrinse in reducing plaque and gingivitis in patients who brush and floss regularly. A six-month study. J A Dent Asso, 135:496-504,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