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해양미세조류(Schizochytrium mangrovei MM103)를 이용한 발효 대두박 급이에 따른 DHA 다량 함유 육계와 계란의 생산
Production of DHA-Rich Meats and Eggs from Chickens Fed Fermented Soybean Meal by Marine Microalgae(Schizochytrium mangrovei MM103) 원문보기

한국가금학회지 = Korean journal of poultry science, v.35 no.3, 2008년, pp.255 - 265  

정우철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이정열 ((주)M&M Bio) ,  김상호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이상진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  최병대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  강석중 (경상대학교 해양생물이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두박을 해양미세조류(Schizochytrium mangrovi MM103)로 발효하여 제조한 DHA 발효 대두박을 시판 농협사료와 3%, 5%, 10% 혼합하여 육계 병아리용과 산란계용 실험 사료를 조제하였다. 실험 사료를 3주간 급여하면 DHA 발효 대두박 농도와 관계없이 육계가슴육과 다리근육 및 계란에서 지방중 DHA 농도가 시판 사료 급여에 비하여 높아졌다. DHA 발효 대두박 10% 사료를 급여한 육계 병아리 가슴살과 다리근육 및 계란에서 각각 2.21%와 2.02% 및 1.88%로 증가하였다. 6주간 실험 사육하면 가슴살과 다리근육 및 계란 지방의 DHA 함량이 각각 5.10%와 2.48% 및 3.42%로 실험사육 기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DHA 발효 대두박은 DHA 함유 가금육 및 계란 생산에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ocosahexaenoic acid(DHA) levels of meats and eggs from chickens which were fed fermented soybean meal(FSM) by marine microalgae(Schizochytrium mangrovei MM103). The diets contained different amounts of FSM at 0, 3, 5 and 10%. DHA content of carcass w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특히, Thraustochytridae과는 DHA의 함량이 높은 반면 DHA 와 구조가 유사한 다른 종류의 n-3 다중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낮은 지질을 생산하므로 DHA 회수에 상대적으로 유리 하다(Yokochi 등, 1998). 이러한 Thraustochytridae과에 속하는 Schizochytrium magrovei MM103를 대량 배양함으로써 DHA 의 대체 공급원으로서 그리고 발효 대두박의 발효 균주로서 활용하여 DHA를 다량 함유하는 계란과 계육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DHA를 다량 함유하면서 경제적으로 대량 배양이 가능한 해양미세조류(Schizochytrium magrovei MM103)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DHA 발효 대두박을 육계와 산란계에게 급이함으로써 계육과 계란의 DHA의 변화를 알아보고, DHA를 함유하는 고부가가치 기능성 육계와 계란을 생산하고자 하였다.
  • 대두유 가공시 부산물인 탈지대두박은 원료 대두에서 지방을 제거하고, 단백질 약 50%, 탄수화물 25~30%로 대부분의 영양소가 소실되지 않아, 식품 및 영양학적 관점에서 중요한 소재로서 현재 한국과 일본 등의 나라에서는 아미노산 액이나 간장용 원료로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료제조용 원료인 탈지대두박 중의 단백질을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분해하고,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본 연구실에서 분리한 DHA를 다량 함유하고, 유기분해 능력이 우수한 S. mangrovei MM103를 사용하여 발효를 행하였다. 그에 따른 발효 조건도 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인 eicosapentaenoic acid(20:5n-3, EPA) 및 docosahexaenoic acid(22:6n-3, DHA)는 식물성 유자의 급원인 linolenic acid(18:3n-3, n-3 LNA)와 비교하여 혈액및 간 내 지질 농도의 저하에 더 효과적이며, 조직 또는 양계산물 내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흡수에 유리하여(An 등, 1997), 고도불포화지방산인 EPA와 DHA를 직접 사료에 첨가하는 형태가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대조적으로 식물성 유지 또는 종실만을 급여하게 되면 총 n-3계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증가하지만, 어유를 직접 첨가한 경우와 비교하여 EPA, DHA와 같은 n-3계 고도불포화지방산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적다(안과 강, 1999)
닭고기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닭고기는 소비자에게 가격이 저렴하고, 건강 및 영양학적 가치가 높아 소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닭고기의 영양학적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구자들은 고도불 포화 지방산의 함량을 높이는 많은 연구를 수행하였다(Ajuyah 등, 1992; Chanmugam 등, 1992).
어유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양과 조성이 먹이사슬의 일차 n-3 다중불포화지방산 생합성 형태에 따라서 결정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다중 불포화지방산은 바다에서 서식하는 해조류나 곰팡이 또는 박테리아가 생합성하여 체내에 에너지원으로 저장하거나 몸체의 구성요소로 사용한다. 물고기는 n-3 다중불포화지방산을 자체적으로 생합성하는 반응 기구가 없어, 체내에서 필요로 하는 다중 불포화지방산을 이들 미생물의 섭취를 통하여 충족시키고 있다(Hamilton와 Rice 1995). 따라서 어유를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의 양과 조성은 해양미생물 즉, 먹이사슬의 일차 n-3 다중불포화지방산 생합성 형태에 따라서 결정된다(Braden와 Carroll, 1986; Yokochi 등,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juyah AO, Hardin RT, Cheung K, Sim JS 1992 Yield, lipid, cholesterol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spent hens fed full-fat oil seeds and fish meal diets. J Food Sci 57(2):338 

  2. An BK, Banno C, Xia ZK, Tanaka, Ohtani S 1997 Effects of dietary fat sources on lipid metabolism in growing chicks (Gallus Domesticus). Comp Biochem Physiol 116B:119-125 

  3.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911-917 

  4. Bang HO, Dyerberg J, Hjorne N, 1976 The composition of food consumed by Greenland Eskimos. Acta Med Scand 200: 69-73 

  5. Braden LM, Carroll KK 1986 Dietary ploysaturated fat in relation to mammorial carcinogenesis in rats. Lipids 21:285-288 

  6. Christie WW 1982 Lipid Analysis Pergamon Press, Awheaton & Co. Ltd, U.K. 

  7. Cunnan SC, Thomson LU 1995 Flaxseed in Human Nutrition AOCS Press Chanpaign, Illinois 

  8. Chanmugam PM, Boudreau T, Boutte RS, Park J, Hebert L, Berrio, Hwang DW 1992 Incorporation of different types of n-3 fatty acids into tissue lipids of poultry. Poultry Sci. 71: 516-521 

  9. Cherian G, Wolfe FW, and Sim JS 1996 Dietary oils with added tocopherols effects on egg or tissue tocopherols, fatty acids, acids, and oxidative stability. Poultry Sci 75:423-431 

  10. Carlson SE 1996 Arachidonic acid status of human infants: influence of gestational age at birth and diets with very long chain n-3 and n-6 fatty acids. J Nutr 126: 1092S-1098S 

  11. Connor WE 2000 Importance of n-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m J Clin Nutr 71: 171S-175S 

  12. Duncun DB 1955 Multiple rang and multiple F test. Biometr 11:1-42 

  13. Edwards HM, May KN, 1965 Studies with menhaden oil in practical-type broiler rations. Poultry Sci 44:685-689 

  14. Femades G, Venkatraman JT 1993 Role of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Nutr Res 12:19-23 

  15. Grundy SM, Denke MA 1990 Dietary influences on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J Lipid Res 31:1149-1172 

  16. Harris WS, ConnerWE, Inkeles SB Illingworth DR 1984 Dietary n-3 fatty acids prevent carbohydrate-induced hypertriglyceridemia. J Clin Invest 74:99 

  17. Hulan HW, Ackman RG, Ratnayake WMN Proudfoot FG 1988 Omega-3 fatty acid levels and performance of broiler chickens fed redfish meal or redfish oil. Can J Anim Sci 68:533-547 

  18. Hulan HW, Ackman RG, Ratnayake WMN, Proudfoot FG 1989 Omega-3 fatty acid levels and general performance of commercial broilers fed practical levels of redfish meal. Poultry Sci 68:153-162 

  19. Hargis PS, Van Elswyk ME 1993 Manipulating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poultry meat and eggs for the health conscious consumer. World's Poultry Sci J 49:251-264 

  20. Hamilton RJ, Rice RD 1995 Fish oil Technology, Nitrition and Marketing. PJ Barnes & Associaates. High Wycombe, Bucks, UK 

  21. Krasicka B, Kulas GW, Swierczewska E, Orzechowski A 2000 Body gains and fatty acid composition in carcasses of broilers fed diets enriched with full-fat rape seed or flax seed. Archiv Fur Geflugerkunde 64:61-69 

  22. Lopez-Ferrer S, Baucells MD, Barroeta AC, Grashornt MA 2001 n-3 enrichment of chicken meat 1 Use of very long chain fatty acids in chicken diets and their influence on meat quality: fish oil. Poult Sci 80:741-752 

  23. Miller D, Robisch P 1969 Comparative effect of herring, menhaden, and safflower oils on broiler tissues fatty acid composition and flavor. Poultry Sci 48:2146-2157 

  24. Nam KT, Lee HA, Min BS, Kang CW 1997 Influence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linseed and vitamin E on fatty acids, ${\alpha}-tocopherol$ and lipid peroxidation in muscles of broiler chicks. Anim Feed Sci Technol 66:149-158 

  25. Nam KT, Lee HA, Joo, YJ, Kim KH, Kang CW 1998 Influence of builder's sand on the TME of linseed fro poultry. Anim Feed Sci Technol 72:199-201 

  26. Ozpinar H, Kahraman R, Abas I, Kutay HC, Eseceli H, Grashorn MA 2003 Effect of dietary fat source on n-3 fatty acid enrichment of broiler meat. Poult Sci 67: 57-64 

  27. Sanders TAB 1985 The importance of ecosapentaenoic acid and docosahexaenoic acids In: The Role of Fats in Human Nutrition Padrey FB, Podmore J, Ellis Horwood Ltd, pp 101 

  28. Stadelman WJ, Pratt DE 1989 Factors influencing composition of the hen's egg. World's Poultry Sci J 45:247-266 

  29. Simopoulos AP 1991 Omega-3 fatty acids in health and disease and in growth and development. Am J Clin Nutr 54:438-449 

  30. Scaife JR, Moyo J, Galbraith H, Michie W, Campbell V 1994 Effect of different dietary supplemental fats and oils on the tissue fatty acid composition and growth of female broilers. Br Poultry Sci 35:107-118 

  31. Yamori Y, Nara Y, Iritani N, Workman RJ, Inagami T 1985 Comparison of serum phospholipid fatty acids among fishing and farming Japanese populations and American Inlanders. J Nutr Sci Vitaminol 31:417-422 

  32. Yokochi T, Honda D, Higashihara T, Nakahara T 1998 Optimization of docosahexaenoic acid production by Schizochytrium limacium SR21. Appl Microbiol Biotechnol 49:72-76 

  33. 안병기, 강창원, 1999 n-3계 및 n-6계 다가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는 유지의 급여가 난황 내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한축지 41(3):293-310 

  34. 박병성, 황보종 1997 오메가 지방산, 효일문화사 서울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