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상음향의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 TV광고음향을 뇌 지수 분석기법으로 -
Influences of a Sound Design of Media Contents on Communication Effects - TV-CF Sound Using a BQ-TEST 원문보기

방송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broadcast engineering, v.13 no.5, 2008년, pp.602 - 611  

유회종 (호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서현주 (호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  문남미 (호서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금까지 TV, 영화, 광고 등 미디어콘텐츠 제작에서 사운드디자인은 스토리를 전달하는 청각효과측면에서 전문가의 경험적 느낌에 의하여 주로 진행되었으며, 수용자가 느끼는 시청각적 효과를 적용키 위한 정량적 연구와 검증은 아직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콘텐츠 제작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의 차이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커뮤니케이션 효과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시도한 비 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실험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60초의 TV광고영상을 음악으로만 디자인한 실험영상(A트랙)과, 음향효과와 음악으로 디자인한 실험영상(B트랙)을 시청하는 동안 뇌파측정을 통하여 얻어진 뇌 지수(Brain Quotient)를 비교 분석하여, 어떠한 사운드 디자인 설계가 수용자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첫째, 인지효과의 해당 뇌지수인 주의지수(ATQ)를 A트랙과 B트랙을 비교한 결과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음악위주의 사운드 디자인이 음향효과디자인보다 수용자에게 더 높은 관심과 집중도를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감성효과에 해당하는 정서지수(EQ)를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이 역시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이 음향효과위주의 디자인보다 정서적으로 감성효과가 높게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기억활성효과에 해당하는 뇌 활성지수(ACQ)는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B트랙 군보다 A트랙 군이 약간의 차이가 있었으나 유의하지는 않았다. 이번 실험을 통하여 지금까지 강한 집중을 위해서는 음향효과디자인이, 정서적인 감정은 음악디자인이 관여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에서, TV광고음향의 한정이 있기는 하나 집중도에서 음악디자인이 오히려 효과가 높을 수 있으며, 정서적인 관여는 역시 음악디자인이 효과가 높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다만 기억활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점은 피험자숫자를 늘리는 등 계속적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디어콘텐츠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가 수용자에게 미치는 커뮤니케이션효과의 영향을 뇌파측정을 통하여 정량적으로 알아 본 것에 의의가 있으며, 사운드디자인제작현장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ound design performed in the production of media contents, such as TV, movie, and CF, have been conducted through the experienced feeling of some experts in the aspect of auditory effects that communicates stories. Also,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f the quantitative approach and verificatio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지금까지 송신자입장(작가, 감독) 에서 사운 드디자인이 제작되고 만들어졌으나, 수신자인 수용자(시청자) 측면에서 접근하고 그 커뮤니케이션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한 것에 의의를 가진다. 콘텐츠 구조에서 영상뿐 아니라 사운드디자인효과를 연구하는 것은 디지털미디어의 중심이 "콘텐츠 중심"으로 가고 있는 현실에서 방송드라마, 영화, 광고, 게임 등 의 사운드디자인에서도 인터랙션(Interation)기법이 적용되어 제작 되었을 때 21세기 미디어 콘텐츠는 그 범력을 계속적으로 넓혀 갈 것이라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콘텐츠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의 차이가 커뮤니케이션효과에 미치는 수용자 감응변화 차이를 알아보고자 뇌 지수 비교방법으로 실시한 비 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연구이다. 결과,
  •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콘텐츠의 사운드디자인설계의 차이가 커뮤니케이션효과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그 방법으로 뇌파측정을 통한 뇌 지수를 비교하여 인지도(ATQ: 주의지수), 감성도(EQ: 정서지수), 기억도(활성도: ACQ)를 비교하였다.
  • 먼저 기초설문지를 작성하고 피험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별 방에서 대기케 하였다. 이는 본 실험에서는 음향을 헤드폰이 아닌 스피커를 통하여 들려주는 포닉방식(Phonic)이기 때문에 사전에 다음 실험자가 청취하였을 시 발생되는 학습효과를 배제하기 위해서였다. 실험은 먼저 3분 정도 눈을 감고 정서적 안정을 취하고, 사전 뇌파를 측정하였다.
  • D-TV방송의 본격개시와 다채널, 다매체 환경은 음향의 역할이 단순 정보전달차원에서 실감음향시대로 전환되고 있으며 수용자 입자에서 사운드가 디자인되어야 하는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이에 뇌 활동이 그 활동 당시 뇌 속에서 행해지는 정보처리를 반영한다는 이론(Greenfield and Stembach, 1972 Mulholland 1973) 에 근거하여 사람의 인지와 사고 및 창의성에 관련이 있는 전전두엽(fp1, fp2)의 뇌파를 측정, 분석하여 커뮤니케이션효과의 활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첫째, 사운드디자인설계차이가 수용자의 인지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둘째, 사운드디자인설계차이가 수용자의 정서지수에 미치는 효과와 셋째, 사운드디자인설계차이가 수용자의 기억도(뇌 활성도) 에 미치는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 비주얼(visual)과 사운드(sound)는 그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한 구조로서 같은 시간과 공간 속에 동시성을 가지고 표현(design)되어 작가의 의도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에서 사운드의 역할은 영상과 더불어 인간의 지각을 자극, 인지도를 높이고,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사운드디자인작업은 주로 전문가들의 특정 영역이였고, 그것은 수용자 입장(객관적)이기 보다는 작가적 입장(주관적)에서 만들어지고 완성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적으로 사운드디자인작업은 어떠한 관점에서 만들어졌는가? 특히, 디지털미디어에서 사운드의 역할은 영상과 더불어 인간의 지각을 자극, 인지도를 높이고,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사운드디자인작업은 주로 전문가들의 특정 영역이였고, 그것은 수용자 입장(객관적)이기 보다는 작가적 입장(주관적)에서 만들어지고 완성되었다. D-TV방송의 본격개시와 다채널, 다매체 환경은 음향의 역할이 단순 정보전달차원에서 실감음향시대로 전환되고 있으며 수용자 입자에서 사운드가 디자인되어야 하는 시대가 도래 한 것이다.
디지털미디어에서 사운드의 역할은 무엇인가? 비주얼(visual)과 사운드(sound)는 그 스토리를 전달하기 위한 중요한 구조로서 같은 시간과 공간 속에 동시성을 가지고 표현(design)되어 작가의 의도를 시청자에게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특히, 디지털미디어에서 사운드의 역할은 영상과 더불어 인간의 지각을 자극, 인지도를 높이고, 정보의 효과적인 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사운드디자인작업은 주로 전문가들의 특정 영역이였고, 그것은 수용자 입장(객관적)이기 보다는 작가적 입장(주관적)에서 만들어지고 완성되었다.
미디어콘텐츠에서 사운드디자인설계의 차이가 커뮤니케이션효과에 미치는 수용자 감응변화 차이를 알아보고자 뇌 지수 비교방법으로 실시한 비 동등성 대조군 유사실험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 그룹의 실험 전, 후 뇌지수 비교에서 유의한 활성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이는 음악이 수용자감정변화에 의미가 없다는 해석 보다는 영상 쪽으로의 심리가 더 집중되었거나 영상과 음향이 결합되어 오히려 유의한 차이가 없을 가능성도 있다. 둘째, 음향효과위주의 사운드디자인 시청그룹의 실험 전, 후 뇌 지수 비교에서 주의지수와 정서지수 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역시 인간의 감정은 강한 소리와 변화하는 음색 등의 소리구조에 관심을 보인다는 Donald Broadbent (1958)의 이론을 지지하며, 정서지수의 변화는 그 만큼 좌측 α파 - 우측α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인지효과의 해당 뇌 지수인 주의지수(ATQ)를 A트랙과 B트랙을 비교한 결과 좌: p=. 097, 우: p=. 096 (p< 0.10)로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 차이를 보였다. 이는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이 음향효과디자인보다 수용자에게 더 높은 관심과 집중도를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감성효과에 해당하는 정서지수(EQ)를 A트랙과 B 트랙 비교결과 p=. 082 (p<0.10) 로 A트랙이 B트랙보다 높은 활성화를 보였다. 이 역시 음악위주의 사운드디자인이 음향효과위주의 디자인보다 정서적으로 감성효과가 높게 관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기억활성효과에 해당하는 뇌 활성지수(ACQ)는 A트랙과 B트랙 비교결과 좌뇌p=. 812, 우뇌p=. 729로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는 실험에 사용된 콘텐츠의 시간이 60초로 활성화정도에 영향을 못 미쳤을 수도 있어 시간을 늘리는 등의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David Gibson,"The Art of Mixing"Mix Books, 2004 

  2. Korea life science library "Sound and Hearing"1996 

  3. obert J, Sternberg, "Cognitive Psychology" BakhakSa,2005 

  4. Herbert Zettle," Television Production Handbook"ThomSon, 2004 

  5. Tomlinson Holman 1999 "Sound for Film and Television" 

  6. 이석원,"음악음향학",심설당,2003 

  7. 강성훈"음향.효과.처리", 음향기술산업연구소,2006 

  8. 재)한국정신교육연구소" 두뇌전문가 교육",2006ppt 

  9. 김명남,"The birth of the Mind(마음이 태어 나는 곳)",해나무,2005 

  10. 김명석, "디지털미디어와 사회",나남출판, 2003 

  11. 김원식.진승현 "긍/부정 감성자극에 대한 행동활성화 체계 및 행동억제체계 민감도에 따른 뇌파의 LORETA분석" 감성과학회 VOL8, P 403-413 

  12. 김용진.장남기 "시청각학습의 반복수행에 따른 전두부의 뇌파 활성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16-528 

  13. www.filmsound.org 

  14. Ferrier, C.H., Eleanora Aronica, E., Leijten, F.S.S., Spliet, W.G.M., Huffelen, AC., and Rijen, P.C., "Electrocorticographic Discharge patterns in Glioneuronal Tumors and Focal Cortical," Dysplasia Epilepsia, Vo47, No.9, pp. 1477-1486, 2006 

  15. Walter, D.O., Leuchter, AF. A Tourial on Classical Computer Analysis of EEGs: Spectra and Coherences in Analysis of the Electrical Activity of the Brain, ed. by Angeleri F., Butler S., Giaquinto S., Majkowski l Wiley & Sons pp. 105-124. 1997 

  16. Bablyoantz, A, Salazar, I.M, and Nicolis, C., "Evidence of Chaotic Dynamics of Brain Activity during the Sleep Cycle," Phys. Lett., Vol. lIlA, pp. 152-156, 1985 

  17. Jeong, J.. Kim, S.Y., and Han, S.H., "Nonlinear Analysis of Chaotic Dynamics underlying EEGs in Patients with Alzheimer's Disease," Electroence phalography and Clinical Neurophysiology, Vol.106, No.3, pp. 220-228, 1998 

  18. Comon, P., "Independent Component Analysis - A New Concept"," Signal Processing, Vol.36, No.3, pp. 287-314, 1994 

  19. 김용진.장남기 시청각학습의 반복 수행에 따른 전두부의 뇌파 활성도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제21권 제3호 pp.516-528,2000 

  20. 한영수,채명신,박병운, 박종기, "뇌-컴퓨터-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암환자들이 전전두엽 뇌파분석": 한국정보과학회소프트웨어 및 응용제 35권 제3호, 2008 

  21. 전영돈,노상원, "디지털미디어에서 커뮤니케이션극대화를 위한 사운드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2002 

  22. 박병운, 뇌파해석기법: 한국정신과학연구소,2005 

  23. Stanley R, Alten, Audio in Medai,7th ver, THOMSON, 2007 

  24. 권오연, 음악에 의한 감성의 생리적 측정연구에 대한 소고: 민족음악학회, 25, 815-214. 2003 

  25. Rothschild, M. L., Hyon, Y. J., Reeves, B., Thorson, E., & Goldstein, R.(1988). Hemispherically lateralized EEG as a response to television commercials. Journal of Consumer Reserch, 15. pp. 185-19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