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엽차용 녹차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Extracts and Fractions of Green Tea Used for Coarse Tea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1, 2008년, pp.1382 - 1388  

정숙현 (동서대학교 식품생명공학) ,  윤교희 (상지영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9월에 수확하여 엽차용 녹차로 시판되는 보성산 녹차를 온수, $80^{\circ}C$ 열수, 70% ethanol 용액으로 추출하고, 70% ethanol 추출물을 다시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로 분획한 다음 녹차 추출물과 분획물의 그램 양성균과 그램 음성균 8종에 대한 항균활성에 대하여 조사를 하였다. 녹차의 추출 수율은 70% ethanol 추출물은 33.0%, ethyl acetate 분획물은 11.2%를 보였다. 8종의 세균에 대한 녹차 추출물 간의 항균활성은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수 추출물에 비하여 Vibrio parahaemolyticus(V. parahaemolyticu) 및 Staphylococcus aureus(S. aureus)에 대하여 가장 높았다. 70%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여러 가지 용매를 달리하여 분획한 분획물 간의 항균활성은 70% ethanol 추출물에 비하여 ethyl acetate 분획물의 경우 Klebsiella pneumoniae, V. parahaemolyticus, S. aureus, Bacillus subtilis(B. subtilis) 및 Streptococcus mutans(S. mutans)와 같은 5종의 세균에 대하여 높았다. 70% ethanol 추출물 유래 ethyl acetate 분획물의 MIC는 B. subtilis의 경우 $5\;{\mu}L$/disc이었고, S. aureus 와 S. mutans의 경우 $3\;{\mu}L$/disc이었으며, V. parahaemolyticus의 경우 $3\;{\mu}L$/disc 이하로 아주 낮았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첨가 농도에 따른 항균효과는 B. subtilis와 S. mutans 두 균종에서 확연히 나타났고 B. subtilis는 0.05% 이상의 첨가로 24시간 증식시켰을 때 control에 비하여 균증식이 90% 이상 억제됨을 보였으며, S. mutans는 동일한 균증식 억제 효과를 얻기 위하여 0.1% 이상의 ethyl acetate 분획물 농도가 요구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열처리($121^{\circ}C$, 20분)는 균종에 따라 10%정도의 항균활성을 감소시켰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할 때 9월에 채엽된 저렴한 녹차로 천연 항균제 혹은 식품보존료의 개발은 충분한 잠재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used for coarse tea were investigated by disc diffusion method using eight different bacteria. Among the green tea extracts, the 70% ethanol extract demonstrated the strongest antimicrobial activities against Vibrio parahemolyticus (V. parahemolyticu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채엽 시기가 늦어짐에 따라 카테킨의 함량이 증가됨을 보여준 이전의 보고들(25-28)에 근거하여, 가격이 저렴한 엽차용 녹차를 산업적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이용할 목적으로 9월에 수확한 후 증자시킨 4번 녹차의 추출물과 이의 여러 가지 용매 분획물의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1)The values in parentheses mean % of 70% ethanol extract basi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의 카테킨의 효능에는 무엇이 있는가? 20여년 전부터 녹차의 관능적 효과 외에 다양한 생리적 활성이 그 원인 물질의 확인과 함께 과학적으로 증명되어 발표되고 있다. 특히 녹차의 카테킨은 항산화효과(6,7), 항암효과(8,9), 콜레스테롤 저하효과(10), 항균효과(11-21), virus 감염억제효과(22,23)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로서 녹차가 건강식품, 식품보존료, 항균제 등의 다양한 제품으로서 개발될 산업적 잠재 가치를 가지고 있다(24).
미국의 식품첨가물 규정에서 천연 첨가물은 어떤 등급으로 분류되는가? 이것은 수세기에 걸쳐 식용 가능한 식물들이 부작용 없이 식품 보존제로서 이용되는 과정을 보면서 새로운 화학합성품에 비하여 천연 물질에 대한 안전성을 소비자가 높게 신뢰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미국의 식품첨가물 규정에서는 오래 전부터 식품에 보존제로 사용해 왔거나, 천연물의 추출물을 보존제로서 이용할 때는 합성보존제와는 달리 규제를 하지 않으며, 특별히 이들을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급으로 분류하고 있다(2). 식물성 원료로부터 항균력을 과학적으로 증명하여 보여준 최초의 보고서는 19세기 초 Chamberland가 cinnamon oil의 Bacillus anthracis 포자에 대한 항균효과였고, 그 이후 phytochemical에 의한 항균의 효과는 catechin, flavonoid, saponin, tannin, thiosufinate 등의 화학분자들을 대상으로 연구되어 확인되었다(3).
최근 소비자들의 천연 첨가물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그러나 소비자들은 최근의 웰빙 문화와 경제적인 수준 향상으로 천연 첨가물에 대한 요구를 강하게 나타내고 있다(1). 이것은 수세기에 걸쳐 식용 가능한 식물들이 부작용 없이 식품 보존제로서 이용되는 과정을 보면서 새로운 화학합성품에 비하여 천연 물질에 대한 안전성을 소비자가 높게 신뢰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미국의 식품첨가물 규정에서는 오래 전부터 식품에 보존제로 사용해 왔거나, 천연물의 추출물을 보존제로서 이용할 때는 합성보존제와는 달리 규제를 하지 않으며, 특별히 이들을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급으로 분류하고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Gould GW. 1996. Industry perspectives on the use of natural antimicrobials and inhibitors for food applications. J Food Prot 59(Suppl): 82-86 

  2. Frazier WC, Westhoff DC. 1988. Preservation by food additives. In Food microbiology. 4th ed. McGraw-Hill International Book Co., Singapore. p 146 

  3. Junera LR, Okubo T, Hung P. 2000. Catechins. In Natural food antimicrobial systems. Naidu AS, ed. CRC press, New York. p 381-398 

  4. Stagg GV. 1980. Tea-the element of cuppa. Nutr Bull 29: 233-245 

  5. Rall TW. 1990. Goodman and Gilman's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8th ed. Pergamon, New York. p 618-637 

  6. Serafini M, Ghiselli A, Luzzi-Ferro A. 1996. In vivo antioxidant effect of green and black tea in man. European J Clin Nutr 50: 28-32 

  7. Ryu BH, Park CO. 1997. Antioxidant effect of green tea extracts on enzymatic activities of hairless mice skin induced by ultraviolet B light.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355-361 

  8. Morre DJ, Morre DM, Sun H, Cooper R, Chang J, Janle EM. 2003. Tea catechin synergies I inhibition of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of a cancer specific cell surface oxidase (ECTO-NOX). Pharmacol Toxicol 92: 234-241 

  9. Ahn TG, Kim DW, Lee BR, Han SJ. 2006. Th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on cisplatin in cervical cancer cell lines. Korean J Obestetrcs and Gynecology 49: 592-598 

  10. Jin HH, Yang JL, Jeong JH, Kim YH. 2004. Hypocholesterolemic effects of green tea in cholesterol-f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47-51 

  11. Cho SY, Choi JH, Ham SS, Oh DH. 2005.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 and fractions on the E. coli O157:H7. J Food Hyg Safety 20: 48-52 

  12. Choe IU, Jeong CH, Park YG. 2003. Anticariogenic activities of various plant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221-1225 

  13. Kim CS, Chung SK, Oh YK, Kim RY. 2003. Antimicrobial activity of green tea against putrefactive microorganism in steamed brea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413-417 

  14. Hamilton-Miller JMT. 2001. Anti-cariogenic properties of green tea (Camellia siensis). J Med Microbiol 50: 299-302 

  15. Park CS, Cha MS, Kim ML. 2001. Changes in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in various pH of culture broth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nd Salmonella typhimurium.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8: 206-212 

  16. Park CS, Cha MS. 2000. Comparison of antibacterial activities of green tea extracts and preservatives to th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 Nutr 13: 36-44 

  17. Cho YS, Kim HS, Kim SK, Kwon OC, Jeong SJ, Lee YM. 1997. Antibacterial and bactericidal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J Korean Tea Soc 3: 89-103 

  18. Roh HJ, Shin YS, Lee KS, Shin MK. 1996. Antimicrobial activity of water extract of green tea against cooked rice putrefactive microorganism.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66-71 

  19. Yeo SG, Ahn CW, Kim IS, Park YB, Park YH, Kim SB. 1995. Antimicrobial effect of tea extracts from green tea, oolong tea and black tea. J Korean Soc Food Nutr 24: 293-298 

  20. Hamilton-Miller JMT. 1995. Antimicrobial properties of tea (Camellia siensis L.). Antimicrob Agent Chemother 39: 2375-2377 

  21. Kim YG. 1995. Antibacterial activities of Korean and foreign green tea extract. Korean J Env Hlth Soc 21: 39-46 

  22. Mikoyama A, Ushijima H, Nishimura S, Koike H, Toda M, Hara Y, Shimamura T. 1991. Inhibition of rotavirus and enterovirus infections by tea extracts. Japan J Med Sci Biol 44: 181-186 

  23. Shimamura T, Hara Y. 1991. Preventive and curative medicament against infection with influenza virus, containing tea or tea polyphenols. European Patent EP 417385 A2 

  24. Kim HY, Lee YJ, Hong KH, Kwon YK, Lee JU, Kim SH. 1999.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preservatives from natural 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667-1678 

  25. Harvest of green tea. http://www.dongsuhtea.com/study/teainfo_03.asp 

  26. Kim SH, Han DS, Park JD. 2004. Changes of some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posong)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542-546 

  27. Wee JH, Moon JH, Park KH. 1999.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ea leaves at different pluck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0-23 

  28. Oh MJ, Hong BH. 1995. Variation of pectin, catechins and caffeine contents in Korean tea (Camellia sinensis L.) by harvesting time and processing recipe. Korean J Crop Sci 40: 775-781 

  29. Piddock LJV. 1990. Techniques used for the determination of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sensitivity in bacteria. J Appl Bacteriol 68: 307-312 

  30. Sung KC. 2006. A study on the pharmaceutical characteristics and analysis of green-tea extract. J Korean Oil Chemists' Soc 23: 115-124 

  31. Baek JW, Chung SH, Moon GS. 200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ethanol extracts from Korean bamboo culms and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073-1078 

  32. Kubo I, Muroi H, Himejima M. 1992. Antimicrobial activities of green tea flavor components and their combination effect. J Agric Food Chem 39: 245-24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