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겨릅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효과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1, 2008년, pp.1389 - 1394  

권하나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정륭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전정례 (영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의 식품학적 가치를 알아보고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개발을 위하여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효과를 탐색하였다. 항산화성 결과 가운데 총 폴리페놀은 EtOAc fr.에서 함량이 가장 많았고 BuOH fr., EtOH ex., $CHCl_3$ fr., hot water ex., aqueous fr.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EtOAc fr.과 BuOH fr.이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전자공여능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250\;{\mu}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BuOH fr.이 가장 높게, 그 이상에서는 aqueous fr.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PS로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한 마우스에서의 BuOH fr.의 간 기능 보호효과에서는 BuOH fr.을 전 처치한 다음 LPS를 투여한 군이 LPS만을 투여한 군보다 혈장 AST와 ALT의 활성은 유의하게 감소 되었으나 BUN의 농도는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에서 BuOH fr.을 투여하고 LPS로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한 군의 간세포는 염증과 괴사가 나타났지만 LPS군에 비하여 그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antioxidative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 (ATM) extracts. Content of total polyphenol of EtOAc fraction was the highest amount among fractions. Electron donating abilities of all fractions were increased as concentrations of each fr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과거에 산겨릅나무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간암, 간경화 등 간질환 치료제로 전국 주요 한약재 시장 및 온라인 매체를 통해 고가로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산겨릅나무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활성 물질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여 과학적 근거가 없는 상태라 이에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의 항산화성 및 간 기능 보호효과를 탐색하여 식품학적 가치를 알아봄으로써 고부가가치의 기능성식품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의 식품학적 가치를 알아보고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개발을 위하여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효과를 탐색하였다. 항산화성 결과 가운데 총 폴리페놀은 EtOAc fr.

가설 설정

  • 1)Polyphenol content was expressed as TAE (tannic acid equivalent) per gram of fraction. 2)Mean±SD.
  • 2)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3)Values in the column with different superscript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at p<0.05.
  • Histopathologic examination by light microscopy (×200). A: Normal group-The liver shows normal morphology. B: LPS treated group-Inflammatory cells infiltration, necrosis and degeneration are present.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활성산소는 무슨 생리적 장애를 일으키는가? 현대인들의 서구적인 식생활 패턴으로의 변화는 여러 가지 만성질환 및 성인병의 발생 위험을 증가시켰으며 활성산소는 이런 질병의 주원인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활성산소는 강한 산화력으로 생체막의 불포화지방산을 산화시켜 지질과산화물의 축적과 조직의 과산화적 손상을 초래함으로써 세포노화, 세포막 분해, 지방산화 등을 유발하며 동맥경화, 당뇨병, 뇌졸중, 자가면역질환, 암 등과 같은 각종 질병과 DNA 합성 억제 등의 심각한 생리적 장애를 일으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1). 이들 질병 중 특히 간염, 간경화, 간암 등의 간질환은 한국인에 있어서 암, 당뇨병과 함께 가장 발생빈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간암에 의한 사망률은 세계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되고 있다(2).
산겨릅나무의 식품학적 가치를 알아보고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이용, 개발을 위하여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 효과를 탐색한 연구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산겨릅나무의 식품학적 가치를 알아보고 기능성식품 소재로서의 이용․개발을 위하여 항산화 및 간 기능 보호효과를 탐색하였다. 항산화성 결과 가운데 총 폴리페놀은 EtOAc fr.에서 함량이 가장 많았고 BuOH fr., EtOH ex., CHCl3 fr., hot water ex., aqueous fr.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EtOAc fr.과 BuOH fr.이 ascorbic acid와 유사한 전자공여능을 보였으며 SOD 유사활성능은 250 μg/mL 이하의 농도에서는 BuOH fr.이 가장 높게, 그 이상에서는 aqueous fr.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LPS로 급성 간 손상을 유도한 마우스에서의 BuOH fr.의 간 기능 보호효과에서는 BuOH fr.을 전 처치한 다음 LPS를 투여한 군이 LPS만을 투여한 군보다 혈장 AST와 ALT의 활성은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 BUN의 농도는 유의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간조직의 형태학적 관찰에서 BuOH fr.을 투여하고 LPS로 급성간 손상을 유도한 군의 간세포는 염증과 괴사가 나타났지만 LPS군에 비하여 그 정도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겨릅 나무 수피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는 단풍나무과(Aceraceae)의 낙엽활엽 소교목으로서 국내 중부이북의 고산지대와 만주, 아무르와 우수리강 유역의 일부 산지에만 분포하고 있으며 참겨릅나무, 산저릅나무, 봉목이라고도 하며 민간에서는 벌나무, 산청목으로 알려져 있다(6). 산겨릅 나무 수피의 성분 및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로는 Kwon과 Bae(7)의 (+)-catechin 등의 페놀성 화합물의 분리, Hur 등(8,9)의 methyl gallate 4-O-β-D-glucopyranoside, β-sitosterol 등의 페놀성 글루코사이드 및 이소프렌계 화합물의 분리, Hong 등(10)의 DPPH에 대한 항산화와 catechin 등의 페놀계 배당체의 동정, Shin 등(11)의 암세포 생육억제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다. 과거에 산겨릅나무는 우리나라에서 많이 이용되지 않았으나 최근 간암, 간경화 등 간질환 치료제로 전국 주요 한약재 시장 및 온라인 매체를 통해 고가로 유통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Ito N, Hirose M, Fukeshima S, Tsuda H, Shirai T, Tatematsu M. 1986. Their carcinogenic and modifying effects on chemical carcinogenesis. Food Chem Toxicol 24: 1071-1082 

  2. Lee KW, Nam BH, Jo WS, Oh SJ, Kang EY, Choi YJ, Lee JY, Cheon SC, Jeong MH, Lee JD. 2006. Collection, classification, and hepatic effect of native Cordyceps militaris. Korea J Mycol 34: 7-13 

  3. Di Cario G, Mascolo N, Izzo AA, Capasso F. 1999. Flavonoids: Old and new aspects of a class of natural therapeutic drugs. Life Sci 65: 337-353 

  4. Yang YM, Hyun JW, Lim KH, Sung MS, Kang SS, Park WH, Bae K, Cho WH, Kim HJ, Woo ER, Park HK, Park JG. 1996. Antineoplastic effect of extracts from traditional medicinal plants and various plants (III). Kor J Pharmacogn 27: 105-110 

  5. Sunami E, Tsuno N, Osada T, Saito S, Kitayama J, Tomozawa S, Tsuruo T, Shibata Y, Muto T, Nagawa H. 2000. MMP-1 is a prognostic marker for hematogenous metastasis of colorectal cancer. The Oncologist 5: 108-114 

  6. Kim TW. 1996. The woody plants of Korea in color. Kyohak Co., Seoul. p 476 

  7. Kwon DJ, Bae YS. 2007. Phenolic compounds from Acer tegmentosum bark. Wood Sci Technol 35: 145-151 

  8. Hur JM, Yang EJ, Choi SH, Song KS. 2006. Isolation of phenolic glucoside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149-152 

  9. Hur JM, Jun MR, Yang EJ, Choi SH, Park JC, Song KS. 2007. Isolation of isoprenoidal compounds from the stems of Acer tegmentosum Max. Kor J Pharmacogn 38: 67-70 

  10. Hong BK, Eom SH, Lee CO, Lee JW, Jeong JH, Kim JK, Cho DH, Yu CY, Kwon YS, Kim MJ. 2007. Biological activities and bioactive compounds in the extract of Acer tegmentosum Maxim. stem.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5: 296-303 

  11. Shin IC, Sa JH, Shim TH, Lee JH. 2006. The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and cytotoxic effects of Acer tegmentosum Maxim.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9: 322-327 

  12. Singleton VL, Rossi JA.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ult 16: 144-158 

  13. Blois ML.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24 

  14. Bradford MM. 1976. A rapid and sensitive method for the quantitation of microgram quantities of protein using the principle of protein-dye binding. Anal Biochem 72: 248-254 

  15. Kuramoto T. 1992.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food materials from extract such as SOD. Food Process 27: 22-23 

  16. Bret-Dibat JL, Creminon C, Couraud JY, Kellev KW, Dantzer R, Kent S. 1997. Systemic capsaicin pretreatment fails to block the decrease in food-motivated behavior induced by lipopolysaccharide and interleukin-1b. Brain Res Bull 42: 443-449 

  17. Wang JH, Redmond HP, Watson RW, Bouchier-Hayes D. 1995. Role of lipopolysaccharide and tumor necrosis factor-a in induction of hepatocyte necrosis. Am J Physiol 269: 297-304 

  18. Sewerynek E, Melchiorri D, Reiter RJ, Ortiz GG, Lewinski A. 1995. Lipopolysaccharide-induced hepatotoxicity is inhibited by the antioxidant melatonin. Eur J Pharmacol 293: 327-334 

  19. Khasina EI, Sqrebneva MN, Ermak IM, Maleev VV. 2007. Effect of carrageenan on non-specific resistance to LPSinduced endotoxemia in mice. Zh Mikrobiol Epidemiol Immunobiol 2: 57-60 

  20. Reitman S, Frankel S. 1957. A colorimetric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serum glutamic oxaloacetic and glutamic pyruvic transaminases. Am J Clin Pathol 28: 56-63 

  21. Uchida K, Tejima K. 1974. Use of a mixture of a phenol reagent and a urease solution in the urease-indophenol method (analysis of blood urea nitrogen). Rinsho Byori 22: 207 

  22. Kim HJ, Jun BS, Kim SK, Cha JY, Cho YS. 2000. Poly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by extracts from seed, sprout and flower of safflow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1127-1132 

  23. Sa JH, Jin YS, Shin IC, Shim TH, Wang MH. 2004. Photoprotective effect and antioxidative activity from different organs of Morus bombycis K. Kor J Pharmacogn 35: 207-214 

  24. Lee SY, Hwang EJ, Kim GH, Choi YB, Lim CY, Kim SM. 2005.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3: 93-100 

  25. Lee YS. 2007.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Ailanthus altissima. Korean J Food Preserv 14: 170-176 

  26.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27. Jeo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g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28. Kwon GJ, Choi DS, Wang MH. 2007. B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from Euonymus alatus leaf.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569-574 

  29. Stellato T, Rhodes RS, McDougal WS. 1980. Azotemia in upper gastrointestinal hemorrhage. Am J Gastroenterol 73: 486-489 

  30. Jeon JR, Park JR. 2002. Effect of Eucommia ulmoides leaf water extract on hepatotoxicity of carbon tetrachloride-induced ra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124-1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