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어 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하여 연어 frame 유래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연어 fillet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연어 frame 근육의 일반 성분은 수분의 경우 73.2%이었고, 건물 100 g 당 조단백질,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각각 76.9%, 15.7% 및 4.1%이었다. 연어 frame 근육의 pH 및 휘발성염기질소 함량은 각각 6.63 및 16 mg/100 g으로 신선하여 수산가공원료로 사용 가능하였다. 연어 frame 근육의 헌터 색조는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가 각각 55.34, 16.60 및 19.99이었고, 색차가 48.83이었으며, 이는 fillet 근육에 비하여 명도의 경우 높았으나, 적색도, 황색도 및 색차의 경우 낮았다.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연어 frame 근육이 542 mg/100 g으로 연어 fillet 근육의 612 mg/100 g에 비하여 낮았다. 연어 frame 근육의 지방산 조성, 총 아미노산 함량 및 칼슘, 인 함량과 같은 영양성분은 물론이고, 색조 및 냄새와 같은 관능평가의 결과도 연어 fillet 근육과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연어 가공 부산물인 frame 유래 근육은 연어 가공소재로 재이용 가능하리라 판단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r the effective use of salmon processing by-products, the food components of salmon frame muscle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with those of fillet muscle. The proximate composition of salmon frame muscle was 73.2 g/100 g muscle for the moisture, 76.9 g/100 g dry material for the protein, 15.7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연어 가공 부산물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연어 frame 유래 근육의 식품성분 특성에 대하여 살펴보았고, 아울러 연어 fillet과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 연어 가공 부산물인 frame 유래 근육과 fillet 근육의 맛 특성을 개략적으로 살펴 볼 목적으로 이들 근육의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을 분석한 결과는 Fig. 1과 같다. TCA 가용성 질소 함량은 연어 frame 유래 근육이 542 mg/100 g으로 fillet 근육의 612 mg/100 g의 88% 정도에 그쳤다.

가설 설정

  • 1)Means within the same row are in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1)Values are the means±standard deviation of three determination.
  • 2)Means with different letter with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연어는 회귀시 어획된 경우 전장이 얼마인가? 연어(Oncorhynchus kuta)는 연어과로 바다에서 성장하여 산란기에 민물로 회귀하여 오는 대표적인 어종으로, 회귀시 어획된 경우 전장이 일반적으로 60~80 cm에 이른다(1).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연어는 비린내가 적으며, 육색이 축육과 유사한 선홍색을 가지고 있어 비린내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면서 축육에 익숙한 미국 및 유럽의 소비자들이 선호할 뿐만이 아니라 서구식에 익숙한 우리나라 신세대들의 경우도 아주 선호하고 있는 고급 식용 어종 중의 하나이다.
연어는 무엇인가? 연어(Oncorhynchus kuta)는 연어과로 바다에서 성장하여 산란기에 민물로 회귀하여 오는 대표적인 어종으로, 회귀시 어획된 경우 전장이 일반적으로 60~80 cm에 이른다(1). 이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연어는 비린내가 적으며, 육색이 축육과 유사한 선홍색을 가지고 있어 비린내에 대한 거부감이 강하면서 축육에 익숙한 미국 및 유럽의 소비자들이 선호할 뿐만이 아니라 서구식에 익숙한 우리나라 신세대들의 경우도 아주 선호하고 있는 고급 식용 어종 중의 하나이다.
연어 가공 부산물은 무엇이 있는가? 또한 연어의 급격한 수요 증가로 인하여 가격은 자연히 상승하고 있어 연어 자원의 완전 이용이 절실하다. 한편, 연어는 대부분이 스테이크 등과 같은 소재와 더불어 훈제품 및 통조림 등과 같은 완제품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며, 이들 제품들의 가공 중에는 반드시 두부, 내장 및 frame(수산물을 가공하기 위하여 fillet로 제조하는 경우 두 편의 근육부와 한편의 근육이 붙어 있는 뼈 부분이 분리되는데, 이중 근육이 일부 붙어 있는 뼈 부분을 말함) 등과 같은 수산가공 부산물이 다량 발생되고 있다(2). 또한, 이들 연어 가공 부산물들은 단백질, 지질, 효소 및 기타 맛 성분 등과 같은 유효 식품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100.naver.com/100.nhn?docid112726 

  2. Han BW, Ji SG, Kwon JS, Goo JG, Kang KT, Jee SJ, Park SH, Heu MS, Kim JS. 2007.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fish frame as basic ingredients of fish Gomt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417-1424 

  3. Han BW, Kim HS, Jee SJ, Lee JH, Kim HJ, Park SH, Ji SG, Heu MS, Kim JS. 2007. Characteristics of hot-water extracts from salmon frame as basic ingredients for Gomtang-like produ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326-1333 

  4. Heu MS, Park SH, Kim HS, Kim HJ, Han BW, Ji SG, Kim JG, Yoon MS, Kim JS. 2007. Improvement on fish odor of extracts from salmon frame soaked in soybean milk.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223-230 

  5. Heu MS, Park SH, Kim HS, Jee SJ, Lee JH, Kim HJ, Han BW, Kim JS. 2007. Improvement on the functional properties of Gomtang-like product from salmon frame using commercial enzym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 1596-1603 

  6. Heu MS, Park SH, Kim HS, Jee SJ, Kim HJ, Han BW, Ha JH, Kim JG, Kim JS. 2008. Preparation of snack using residues of fish Gomt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92-102 

  7. Joo DS, Cho SY, Kang HJ, Jin DH, Lee CH. 2000.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y of protamine prepared from salmon spem.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902-907 

  8. Kim KY, Ustadi U, Kim SM. 2006. Characteristics of the protease inhibitor purified from chum salmon (Oncorhynchus keta) eggs. Food Sci Biotechnol 15: 28-32 

  9. Wu TH, Bechtel PJ. 2008. Salmon by-product storage and oil extraction. Food Chem 111: 868-871 

  10.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p 69-74 

  11. Ministry of Social Welfare of Social Welfare of Japan. 1960. Volatile basic nitrogen. In Guide to Experiment of Sanitary Infection. Kenpakusha. Vol lll, Tokyo. p 30-32 

  12. Bligh EG, Dyer WJ. 1959. A rapid method of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13. AOCS. 1990. AOCS Official Method Ce 1b-89. In Official Methods and Recommended Practice of the AOCS. 4th ed. AOCS, Champaign, IL, USA 

  14. Tsutagawa Y, Hosogai Y, Kawai H. 1994. Comparison of mineral and phosphorus contents of muscle and bone in the wild and cultured horse mackerel. J Food Hyg Soc Japan 34: 315-318 

  15. Steel RGD, Torrie JH. 1980. Principle and Procedures of Statistics. 1st ed. McGraw-Hill Kogakusha, Tokyo. p 187-221 

  16. Kim JS, Yeum DM, Kang HG, Kim IS, Kong CH, Lee TG, Heu MS. 2002. Fundamentals and applications for canned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p 92-96 

  17. Kato H, Rhue MR, Nishimura T. 1989. Role of acids and peptides in food taste. In Flavor chemistry: Trends and development.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158-174 

  18. Heu MS, Lee JH, Kim HJ, Jung IK, Park YS, Ha JH, Kim JS. 2008. Food component characteristics of boiled-dried silver-stripe round herri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891-899 

  19. Mehta J. 1987. Eicosapentaenoic acid, its relevance in atherosclerosis and coronary heart disease. Am J Cardiol 59: 155-159 

  20. Kim JS, Kim HS, Heu MS. 2006. Modern introductory foods. Hyoil Publishing Co., Seoul. p 45-48 

  2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Recommended dietary allowances for Koreans. 7th ed. Chungang Publishing Co., Seoul. p 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보고서와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