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 자생식물 고압용매 추출물의 통합적 항산화 능력
Integral Antioxidative Capacity of Extracts by Pressurized Organic Solvent from Natural Plants in Jeju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7 no.11, 2008년, pp.1491 - 1496  

김미보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현선희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박재성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강미애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고영환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임상빈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제주 자생식물 2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추출용매 100% methanol, 추출 온도 $40^{\circ}C$, 추출 압력 13.6 MPa, 추출 시간 10분)하여 총페놀 함량과 통합적 항산화 능력을 측정하고 폴리페놀 성분을 동정하였다. 추출수율은 붉나무, 말오줌때, 사방오리나무, 사람주나무, 팥배나무가 각각 21.8, 21.5, 21.1, 20.7, 20.1%로 가장 높았다. 총페놀 함량은 아그배가 68.3 mg GAE/g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람주나무, 석위, 말오줌때가 각각 57.6, 56.6, 55.1 mg GAE/g을 나타내었다. 수용성 항산화 능력은 이질풀, 사람주나무, 산딸나무, 붉나무가 각각 598, 394, 293, $270\;{\mu}mol$ ascorbic acid equivalent/g로 높았고, 지용성 항산화 능력은 백량금, 새우나무, 이질풀, 붉가시나무가 611, 314, 296, $242\;{\mu}mol$ trolox equivalent/g로 높았다. GC/MS에 의한 폴리페놀성분을 동정한 결과 15개의 주요 피크를 얻었으며, 그 중 2종의 폴리페놀류(gallic acid(체류시간 19.7분)와 quercetin(체류시간 33.5분)), ascorbic acid(체류시간 35.3분) 그리고 다수의 지방산류(체류시간 18.6, 21.0, 21.8, 21.9, 23.6분)를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 중 gallic acid는 다른 성분보다 peak area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사람주나무의 가장 중요한 폴리페놀 성분으로 추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wenty natural plants from Jeju were extracted by pressurized organic solvent (100% methanol, $40^{\circ}C$, 13.6 MPa, 10 min). Extraction yield,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d integral antioxidant capacity were measured, and each component was identified by GC/MS. Extraction yield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예비실험 결과 항산화효과가 높은 제주자생식물 20종을 대상으로 고압용매 추출하여 항산화 활성을 검증하고 폴리페놀 성분을 동정하여 식품산업에 응용할 천연항산화소재를 탐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항산화제에는 무엇이 있는가? 항산화제에는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BHA)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 tocopherol류, flavonoid류, 탄닌류, nordihydroguaiacol, gossypol, sesamol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 및 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가 있다(1). 그런데 합성 항산화제는 간 비대, 간장중 microsomal 효소활성 증가, 체내 흡수물질의 독성화 및 발암 가능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허용대상 식품이나 사용량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2).
지금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에서 유래된 폴리페놀 화합물인데 이것의 특징은 무엇인가? 지금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천연 항산화제는 식물에서 유래된 폴리페놀 화합물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5). 이 화합물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수산기로 치환된 방향족환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에 대략 8000여종이 존재하며 항산화성, 항암성 등의 기능성을 가지고 있다.
합성 항산화제에는 무슨 문제가 있는가? 항산화제에는 butylated hydroxytoluene(BHT), butylated hydroxyanisol(BHA) 등과 같은 합성 항산화제, tocopherol류, flavonoid류, 탄닌류, nordihydroguaiacol, gossypol, sesamol 등과 같은 천연 항산화제 및 SOD와 같은 항산화 효소가 있다(1). 그런데 합성 항산화제는 간 비대, 간장중 microsomal 효소활성 증가, 체내 흡수물질의 독성화 및 발암 가능성 등의 문제가 제기되어 허용대상 식품이나 사용량이 엄격히 제한되고 있다(2). 따라서 보다 안전하며 항산화력이 강한 물질을 천연물로부터 분리 이용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특히 식물유래 물질로 식물의 2차 대사산물은 자유라디칼과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거나 제거하여 산화를 방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Kim JP. 1998. A study on development of natural antioxidants. Bioind News 11: 6-14 

  2. Song JW, Min KJ, Cha CG. 2008. Antioxidative and antitumor activity of extracts from Saussurea lappa. J Env Hlth Sci 34: 55-61 

  3. Kim JW, Moon BS, Park YM, Yoo NH, Ryoo IJ, Nguyen TC, Yoo ID, Kim JP. 2005. Structure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diketopiperazines isolated from the mushroom Sarcodon aspratu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8: 93-97 

  4. Kang MC, Lee JY, Lee JA, Han JH, Kim BS, Kim GO. 2008. Antioxidant effects and melanin inhibitory effect of natural Pimpinella komarovii extracts in Jeju island. Korean J Biotechnol Bioeng 23: 77-82 

  5. Huang MT, Ho CT, Lee C. 1992. Phenolic Compounds in Food and Their Effects on Health (II), Antioxidants and Cancer Prevention. ACS Symp Series 507.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p 54-71 

  6. Mukhopadhyay S, Luthria DL, Robbins RJ. 2006. Optimazation of extraction process for phenolic acids from black cohosh (Cimicifuga racemosa) by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J Sci Food Agric 86: 156-162 

  7. Lee YJ, Shin DH, Chang YS, Kang WS. 1993. Antioxidative effect of Rhus javanica Linne extract by various solve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25: 677-682 

  8. Peschel W, Sanchez-Rabaneda F, Diekmann W, Plescher A, Gaetzia A, Gartzia I, Jimenez D, Lamuela-Raventos R, Buxaderas S, Codina C. 2006. An industrial approach in the search of natural antioxidants from vegetable and fruit wastes. Food Chem 97: 137-150 

  9. Besco E, Braccioli E, Vertuani S, Ziosi P, Brazzo F, Bruni R, Saccetti G, Manfredini S. 2007. The use of photochemiluminescence for the measurement of the integral antioxidant capacity of baobab products. Food Chem 102: 1352-1356 

  10. Chiou A, Karathanos VT, Mylona A, Salta FN, Preventi F, Andrikopoulos NK. 2007. Currants (Vitis vinifera L.) content of simple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Food Chem 102: 516-522 

  11.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2007. Screening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00-208 

  12. Kim IW, Shin DH, Choi U. 1999. Isolation of antioxidative components from the bark of Rhus verniciflua S. screened from some chinese medic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885-863 

  13. Giocosa A, Filiberti R. 1996. Free radicals, oxidative damage and degenerative disease. Eur J Cancer Prev 5: 307-312 

  14. Ra KS, Suh HJ, Chung SH, Son J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solvent extract from onion skin. J Food Sci Technol 29: 595-600 

  15. Zhang Y, Dong L, Li J, Chen X. 2008. Studies on the inter-action of gallic acid with human serum albumin in mem-brane mimetic environments. Talanta 76: 246-253 

  16. Kim H, Lee SW. 2007. The effects of quercetin on paraquat-induced cell damage. J Korean Soc Emerg Med 18: 41-47 

  17. Kim MK. 2001. Formation of superoxide anion in the autoxidation of L-ascorbic acid in the presence of heavy metal 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378-38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