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평지 보행 그리고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압력중심 이동경로 및 족저압 비교
Comparison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Shift of COP among Level walking, Stairs and Slope Climbing 원문보기

한국운동역학회지 = Korean journal of sport biomechanics, v.18 no.4, 2008년, pp.59 - 65  

한진태 (선린대학) ,  김경 (대구대학교) ,  임승건 (우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시설물 중 낙상의 위험이 큰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젊은 성인과 노인들의 압력중심이동 경로와 족저압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측정도구는 MatScan system(Tekscan, USA)을 사용하였다. 보행 조건(평지 보행, 계단 오르기, 경사로 오르기)에 따른 족저 영역별 족저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압력중심 이동경로는 젊은 성인의 경우 평지 보행과 비교해 계단 오르기에서 조금 짧아졌으며 전족부에서는 외전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경사로 오르기에서는 대체적으로 내전되는 경향이 나타났고 특히 입각기 말기에 엄지발가락으로 압력중심이 이동하였다. 노인의 경우 평지 보행과 비교해 계단 오르기에서 압력중심 이동 경로가 짧아졌으며 앞뒤로 이동이 많았으며 전족부에서는 외전되었다. 경사로 오르기에서는 압력중심이 좌우로 이동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족저 영역별 최고 족저압은 젊은 성인의 경우 평지보행과 비교해 경사로 오르기 에서 2-3번째 중족골두 영역과 후족부 영역의 최고 족저압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노인의 경우 첫 번째 중족골두 영역은 계단 오르기에서 최고 족저압이 증가하고 경사로 오르기에서 최고 족저압이 감소하였고, 두 번째 중족관절 영역과 후족부 영역은 평지 보행과 비교해 경사로 오르기에서 최고 족저압이 감소하였다. 같은 기울기의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최고 족저압은 대체적으로 경사로 오르기에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hift of COP pathway and the plantar foot pressure among level walking and stairs and ramp climbing in young and elderly people. Plantar foot pressure was measured by MatScan system(Tekscan, USA). Statistical analysis was used One-way ANOVA to know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평지 보행, 계단 그리고 경사로 오르기 동안 압력중심이동경로의 변화와 족부의 영역별 최고 족저압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젊은 성인과 노인들의 족저 압력 중심 이동과 최고 족저압 변화에 대해 일아보았다. 평지 보행과 비교해 같은 기울기의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압력중심 이동은 계단에서는 대체로 짧아지면서 전족부에서 외전하였고 경사로에서는 대체적으로 내전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평지 보행과 계단 오르기, 경사로 오르기를 하는 동안 족저압 즉정기를 이용하여 압력중심이동 경로와 족저압 변화를 알아보았다. 지면반발력은 바닥의 여러 점에서 작용하지만 압력중심(center of pressure, OOP)은 인체의 무게중심(center of gravity)이 작용하는 점으로 중력이 작용하는 지점에서 작용한다.
  • 이 연구는 젊은 성인과 노인을 대상으로 평지 보행과 비교하여 계단과 경사로를 오르는 동안 족저 영역별 최고 족저압과 압력중심이동경로가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따라서 보행 조건(평지, 계단, 경사로)에 따른 족저 영역별 최고 족저압의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각각 일원배치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사용하였고, 사후검정으로 LSD 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가설 설정

  • 경사로는 폭이 120cm, 길이가 150cm이며, 기울기가 30º인 경사로를 제작하였고 족저압 측정판은 두 번째 발이 놓이는 부위에 설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경사로의 기울기를 30º로 한 것은 계단 보행과 비교하기 위하여 계단과 같은 기울기로 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김연정, 채원식(2007). 유선형 후방 밸런스 신발과 일반 신발의 족저압 비교, 한국운동역학회지, 17(3), 173-180. 

  2. 김용재, 지진구, 김정태, 홍준희, 이중숙, 이훈식, 박승범(2004). 20대 여성의 신발종류에 따른 족저압 영역별 비교 연구. 한국운동역학회지, 14(3), 83-98. 

  3. 김장환, 신헌석(2001). 하퇴 의지 사용자의 족저압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8(3), 1-10. 

  4. 노정석, 김택훈(2001). Parotec System을 이용한 족저압 측정의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8(3), 35-41. 

  5. 여민우, 이상도, 이동춘(2006) 안전화 착화 시 보행 속도에 따른 족저압 분포에 관한 연구. 대한설비관리학회지, 11(1), 51-63. 

  6. 이동기, 이중숙, 이범진, 이훈식, 김용재, 박승범, 주종필(2005). 족저압력분포 측정장비를 이용한 골프 스윙시 족저압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5(1), 75-89. 

  7. 이중숙, 김용재, 박승범(2004). 기능성 전문테니스화의 족저압력분포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14(3), 99-118. 

  8. Alexander, I.J., & Campell, K.R.(1990). Dynamic assessment of foot mechanics as an adjunct to orthotic prescription. In: Wolf SL, editor. The Biomechanics of the Foot and Ankle, 1st edition. Philadelphia: FA Davis, 148-152. 

  9. Cavanagh, P.R., & Ulbrecht, J.S.(1994). Clinical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in diabetes: rationale and methodology. Foot, 4, 123-135. 

  10. Han, T.R., Paik, N.J., & Im, M.S.(1999). Quantification of the path of center of pressure(COP) using and F-scan in-sole transducer. Gait and Posture, 10, 248-254 

  11. Kemozek, T.W., & LaMott, E.E.(1995). Comparisons of plantar pressure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Gait and Posture, 3(3), 143-148. 

  12. Mian, O.S., Thorn, J.M., Narici, M.V., & Baltzpoulos, V.(2007). Kinematics of stair descent in young and older adults and the impact of exercise training. Gait and Posture, 25, 9-17. 

  13. Menz, H.B., & Morris, M.E.(2006). Clinical determinants of plantar force and pressure during walking in older people, Gait and Posture, 24, 229-236. 

  14. Minns, R.J., & Craxford, A.D.(1984). Pressure under the forefoot in rheumatoid arthritis. A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methods of assessment. Clinical Orthopaedics and Related Research, 187, 235-242. 

  15. Orlin, M.N. & Mcpoil, T.G.(2000). Plantar pressure assessment. Physical therapy, 80(4), 399-409. 

  16. Otter, A.R., Geurts, A.C. H., Mulder, T., & Duysens, J.(2003). Speed related changes in muscle activity from normal to very slow walking speeds. Gait and Posture, 19(3), 270-278. 

  17. Stebbins, J.A., Harrington, M.E., Giacomozzi, C., Thompson, N., Zavatsky, A., & Theologis, T.N. (2005). Assessment of sub-division of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in children. Gait and Posture, 22, 372-376. 

  18. Turner, T.A.(2003). Examination of the equine foot. The Veterinary Clinics of North America, Equine Practice, 19(2), 309-332. 

  19. Woodburn, J. & Helliwell, P.S.(1996). Observations on the F-Scan in-shoe pressure measuring system. Clinical Biomechanics, 11(5), 301-3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