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사로 오르기와 내리기 동안 압력중심 이동경로와 족저압 비교
Comparison of Pathway of COP and Plantar Foot Pressures while Ascending and Descending a Slope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5, 2010년, pp.77 - 82  

한진태 (경성대학교 이과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pathway of COP and plantar foot pressure an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plantar regions dur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of a ramp. Methods: Fifteen healthy adults who had no musculoskeletal problems participated in our study. They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2-24 하지만 평지보행과 비교하여 최근 노인들과 계단을 사용할 수 없는 사람을 위해 많이 보급되고 있는 경사로 보행 시 족저압 변화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며 특히 경사로 오르고 내리는 동안 압력중심 이동경로의 변화와 최고 족저압 변화에 대한 연구는 없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평지보행과 비교하여 경사로를 오르고 내리는 동안 입각기 동안 압력중심 이동경로 변화와 족저압 차이를 알아보고 이를 통하여 일상생활에서 보행 환경이 발의 기능과 구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오름- 내림 경사로 보행 시 평지보행과 비교하여 압력중심 이동경로 변화와 영역별 최고 족저압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보행조건에 따른 압력중심이동경로는 오름경사로의 경우 전족부에서 내측으로 크게 이동하며 엄지발가락까지 이어졌으며 내림경사로의 경우 이동경로가 전체적으로 내측으로 이동하였다.
  • 본 연구는 정상인을 대상으로 경사를 오르고 내리는 동안 압력중심이동경로와 족저압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게 되는 계단이나 경사로와 같은 보행 환경이 평지 보행과는 다른 보행양상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평지보행과 오름- 내림 경사로를 보행 동안 압력중심 이동경로와 족저 영역의 최고 압력을 측정하여 보행 조건에 따른 압력중심이동경로 변화와 족저 영역별 최고 압력 차이에 대해 알아보았다. 따라서 Tekscan의 상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보행조건에 따라 나타나는 압력중심이동경로의 변화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고 보행 조건에 따른 족저 영역별 최고 압력에 대한 유의성을 알아보기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ment ANOVA)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경사로란 무엇인가? 경사로는 계단을 대신할 수 있는 수직이동의 수단이며 특히 계단을 이용할 수 없는 장애인이나 노인, 임산부들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이다.1 하지만 경사로 역시 계단과 같이 노인낙상의 원인이 되는 시설물이기도 하다.
힘 측정판의 장점은 무엇인가? 13 보행 시 발에 작용하는 압력은 여러 개의 센서로 구성된 압력 측정판을 통해, 지면과 닿아있는 부위의 센서에서 감지하는 힘으로 측정할 수 있다. 지면반발력은 힘 측정판(force platform)을 이용하여 측정하게 되는데, 힘 측정판은 앞・뒤, 좌・우, 아래・위, 세 가지 방향에서 작용하는 힘을 측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발의 국소부위에 작용하는 압력은 측정할 수 없다. 이에 비해 압력 측정판은 입각기 동안 발바닥에 가해지는 하중을 영역별로 측정할 수 있어서 발에 말초 신경학적 질환이나 류마티스성 관절염이 있는 환자에게 사용하기 적합하다.
발바닥의 부위별 압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발을 7개의 영역으로 나누었는데 각각 무엇인가? 발바닥의 부위별 압력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발을 7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정의하였다.26,27 두 개의 발가락 구역, 세 개의 전족부 영역, 그리고 하나의 중족부 영역과 하나의 후족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발가락 영역은 엄지발가락과 새끼발가락으로 구성된 두 개의 영역으로 나누었고 중족골두(metatarsal head) 아래에 위치한 전족영역은 3등분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Ryu NH. Walk ability on Ramps by Gait Analysis. J Kor Insti Lands Archi. 1995;23(2):157-66. 

  2. Menz HB, Morris ME. Clinical determinants of plantar forces and pressures during walking in older people. Gait Posture. 2006;24(2):229-36. 

  3. Han JT, Gong WT, Lee YS. Comparison of muscle activity with lower extremity during stairs and ramp climbing of old adults by EMG. J Kor Soc Phys Ther. 2009;21(1):35-40. 

  4. Kim SP, Yuan WX, Lee MH. Balance adjustments of gait pattern to prevent slip and fall. Kor J Phys Edu. 2001;40(2): 821-31. 

  5. Chung NS, Choi KH. Cause and prevention of falling in the elderly. J Kor Acad Univ Train Phys Ther. 2001;8(3): 107-17. 

  6. Redfern MS, DiPasquale J. Biomechanics of descending ramps. Gait Posture. 1997;6(2):119-25. 

  7. Kim HD. The effect of obstacle height on balance control while stepping over an obstacle from a position of quiet stance in older adults. J Kor Soc Phys Ther. 2009;21(3):75-80. 

  8. Kim K, Seo SK, Yoo HJ. Correlations between muscle strength of the ankle and balance and walking in the elderly. J Kor Soc Phys Ther. 2008;20(1):33-40. 

  9. Orlin MN, McPoil TG. Plantar pressure assessment. Phys Ther. 2000;80(4):399-409. 

  10. Rho JS, Kim TH. Reliability of plantar pressure measures using the parotec system. J Kor Acad Univ Train Phys Ther. 2001;8(3):35-41. 

  11. Cavanagh PR, Ulbrecht JS. Clinical plantar pressure measurement in diabetes: rationale and methodology. The Foot. 1994;4(3):123-35. 

  12. Lavery LA, Armstrong DG, Vela SA et al. Practical criteria for screening patients at high risk for diabetic foot ulceration. Arch Intern Med. 1998;158(2):157-62. 

  13. Alexander IJ, Campell KR. Dynamic assessment of foot mechanics as an adjunct to orthotic prescription. In: Donatalli RA, eds, Biomechanics of the foot and ankle, Philadelphia, FA Davis, 1990. 

  14. Orlin MN, McPoil TG. Plantar pressure assessment. Phys Ther. 2000;80(4):399-409. 

  15. Kim YJ, Chae WS. The plantar pressure comparison between the curved rear balance shoes and normal shoes. Kor J Spor Biom. 2007;17(3):173-80. 

  16. Han TR, Paik NJ, Im MS. Quantification of the path of center of pressure (COP) using an F-scan in-shoe transducer. Gait Posture. 1999;10(3):248-54. 

  17. Lee DK, Lee JS, Lee BJ et al. Plantar foot pressure analysis during golf swing motion using plantar foot pressure measurementsystem. Kor J Spor Biom. 2005;15(1):75-89. 

  18. Kim JH, Cynn HS. A study of characteristics of foot pressure distribution in trans-tibial amputee subjects. J Kor Acad Univ Train Phys Ther. 2001;8(3):1-10. 

  19. Kim YJ, Ji JG, Kim JT et al. A comparison study for mask plantar pressure measures to the difference of shoes in 20 female. Kor J Spor Biom. 2004;14(3):83-98. 

  20. Minns RJ, Craxford AD. Pressure under the forefoot in rheumatoid arthritis: A comparison of static and dynamic methods of assessment. Clin Orthop Relat Res. 1984;(187): 235-42. 

  21. Park KH, Kwon OY, Kim YH. Effects of walking speed on foot joint motion and peak plantar pressure in healthy subjects. J Kor Acad Univ Train Phys Ther. 2003;10(1): 77-96. 

  22. Otter SJ, Bowen CJ, Young AK. Forefoot plantar pressures in rheumatoid arthritis. J Am Podiatr Med Assoc. 2004; 94(3):255-60. 

  23. Woodburn J, Helliwell PS. Relation between heel position and the distribution of forefoot plantar pressures and skin callosities in rheumatoid arthritis. Ann Rheum Dis. 1996;55(11): 806-10. 

  24. Turner DE, Helliwel PS, Siegel KL et al. Biomechanics of the foot in rheumatoid arthritis: identifying abnormal function an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localised disease 'impact'. Clin Biomech (Bristol, Avon). 2008;23(1):93-100. 

  25. The National Assembly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complete collection of laws and regulations for convenience enhancement security of disabled person, the old person, pregnant women. 2004. 

  26. Kernozek TW, LaMott EE. Comparisons of plantar pressure between the elderly and young adults. Gait Posture. 1995; 3(3):143-8. 

  27. Menz HB, Morris ME. Clinical determinants of plantar forces and pressures during walking in older people. Gait Posture. 2006;24(2):229-36. 

  28. Cornwall MW, McPoil TG. Velocity of the center of pressure during walking. J Am Podiatr Med Assoc. 2000;90(7):334-8. 

  29. Miller DI. Ground reaction forces in distance running. In: Cavanagh PR, eds, Biomechanics of distance running, USA, Human Kinetics Pub, 1990. 

  30. Alexander IJ, Chao EYS, Johnson KA. The assessment of dynamic foot-to-ground contact forces and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a review of the evolution of current techniques and clinical applications. Foot Ankle. 1990;11(3):152-67. 

  31. Fuller EA. Center of pressure and its theoretical relationship to foot pathology. J Am Podiatr Med Assoc. 1999;89(6): 278-91. 

  32. Lee JS, Kim YJ, Park SB. A study of insole plantar pressure distribution in functional tennis shoes. Kor J Spor Biom. 2004;14(3):99-118. 

  33. Lee GH, Park SB, Lee SG et al. Analysis of the stance phase by measurement of plantar pressure. J Korean Acad Rehab Med. 1996:20(2):524-31. 

  34. Paik NJ, Im MS. The path of center of pressure (COP) of the foot during walking. J Korean Acad Rehab Med. 1997;21(4):762-71. 

  35. Nagel A, Frerick S, Rosenbaum D. Plantar pressure pattern in stairs climbing. Clin Biom. 2008;203(5):684. 

  36. Han JT, Lee MH, Kim K. The study of plantar foot pressure distribution during obstacle crossing with different height in normal young adults. Kor J Spor Biom. 2008;18(2):1-9. 

  37. Han JT, Kim K, Lim SG. Comparison of plantar foot pressure and shift of COP among level walking, stairs and slope climbing. Kor J Spor Biom. 2008;18(4):59-6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