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사로 오르기 동안 슬관절 굴곡각도와 족저압의 특성 비교
Characteristics of Knee Joint Flexion Angle and Foot Pressure according Slope Climbing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2, 2010년, pp.268 - 276  

오태영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송현주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슬기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정예지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임종수 (신라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경사로를 오르는 동안 슬관절 굴곡각도와 족저압의 차이를 각각 다른 경사도에 따라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24명의 건강한 성인 참가자들에게 각각의 경사도($0^{\circ},\;3^{\circ},\;6{\circ},\;9^{\circ}$)를 걷게 한 후, Parotec system을 이용하여 족저압을 측정하였으며, 걷는 모습을 캠코더로 녹화 한 후 Dartfish system을 이용하여 슬관절 각도를 분석하였으며, 수집된 데이터는 SPSS/PC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원배치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각 경사로에 따라 슬관절 굴곡 각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족저압은 좌측 하지의 발뒤꿈치 외측 부위(1번 감지기), 중족부 내측 부위(9번 감지기), 전족부 내측 부위(15번, 16번 감지기), 그리고 우측 하지에서는 발뒤꿈치 외측 부위(3번 감지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슬관절 각도가 $10{\sim}20^{\circ}$ 사이에서 발뒤꿈치 외측 부위 및 내측 부위의 족저압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knee joint flexion angle and the foot pressure during climbing with different slope. The 24 healthy subjects were participated. And foot pressure was investigated using Parotec system. The knee joint flexion angle were filmed to using a video camera on each sl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경사도 보행 시 지면의 경사 정도와 슬관절 각도에 따른 족저압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 본 연구는 정상 성인남녀 14명을 대상으로 경사도 보행 시 슬관절의 각도변화와 족저압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았다.
  • 기울기에 따라 눈금이 달라진다. 연구에서는 경사도의 각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 비교 . 분석해봄으로써 보행 형태의 특성을 규명하고 보다 효율적인 보행에 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14] 본 연구에서는 슬관절의 움직임을 운동형상학적으로 분석하여 경사도와 슬관절 운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으며, 경사도에 따른 슬관절의각도변화와 이에 따른 족저압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D. A. Winter, The biomechanics and motor 

  2. M. W. Whittle, Gait analysis: An introduction. 

  3. M. P. Wilson, Development of SATRA slip test 

  4. P. M. Gallery and A. L. Foster, “Functional 

  5. J. Perry, Gait Analysis: Normal and pathological 

  6. 성일훈. 족부의 생체역학과 당뇨발. In: 이경태. 당뇨병성 족부질환. 서울, 최신의학사, 2000. 

  7. G. G. Simoneau, Kinesiology of Walking. In: 

  8. J. Hamil, B. T. Bates, and H. G. Kinneth, 

  9. 윤남식, 이경옥, 김지연, “경사도에 따른 보행의 운동학적 비교”,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89-101, 1998. 

  10. 류남형. “보행자세분석에 의한 경사로의 보행성”. 한국조경학회지, 제23권, 제2호, pp.157-166, 1995. 

  11. E. N. Corlett, C. Hutcheson, M. A. DeLugan, 

  12. C. H. Irvine, S. H. Snook, and J. H. Sparshatt, 

  13. 한진태, 김석현, 배성수, “정상인의 내림 경사로 보행 시 경사각에 따른 하지 관절의 삼차원적 동작 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13권, 제2호, pp.16-25, 2006. 

  14. 조규권, 김유신, “트레드밀 보행시 경사도와 속도에 따른 보행형태의 운동학적 분석”, 한국운동역학회지, 제11권, 제2호, pp.175-191, 2001. 

  15. 한진태, 조정선, 배성수, “정상인의 경사로 보행시 경사각에 따른 시공간적 보행 특성 분석”,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8권, 제1호, pp.95-106, 2006. 

  16. J. A. Bauer, J. H. Cauraugh, and M. D. Tillman, 

  17. 노정석, 김택훈, "Parotec System을 이용한 족저압 측정의 신뢰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8권, 제3호, pp.35-41, 2001. 

  18. Parotec System instruction manual. Paromed 

  19. 한진태, 공원태, 이윤섭, “근전도를 이용한 노인의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시 하지 근활성도 비교”,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21권, 제1호, pp.35-40, 2009. 

  20. 윤남식, 이경옥, 김지연, “트레드밀 운동시 속도와 경사도에 따른 운동 역학적 변인의 특성 비교”,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제5권, 제1호, pp.49-68, 2001. 

  21. 이경옥, 김지연, “트레드밀 걷기시 경사도에 따른 무릎관절의 운동학적(kinematic) 변화 비교", 한국유산소운동과학회지, 제4권, 제1호, pp.41-51, 2000. 

  22. 임호남. “트레드밀 경사도에 따른 보행시 하지분절의 협응과 제어”, 한국여성체육학회지, 제14권, 제1호, pp.209-221, 2000. 

  23. H. Leblanc, L. Seifert, and D. Chollet, 

  24. L. Womersley and S. May, “Sitting posture of 

  25. 한진태, 김경, 임승건, “평지보행 그리고 계단과 경사로 오르기 동안 압력 중심 이동경로 및 족저압 비교”, 한국운동역학회지, 제18권, 제4호, pp.59-65, 2008. 

  26. 김장환, 신헌석, “하퇴 의지 사용자의 족저압 분포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제8권, 제3호, pp.1-10, 2001. 

  27. I. Dudkiewicz, R. Levi, and A. Blankstein, 

  28. V. Femery, P. Moretto, and H. Renaut, 

  29. S. G. McLean, K. Walker, K. R. Ford, G. D.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