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암석의 풍화과정 및 도자기 제조과정에 따른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변화: 토양화학 및 고고학적 응용을 위한 기초연구
Variation of Rare Earth Element Patterns during Rock Weathering and Ceramic Processes: A Preliminary Study for Application in Soil Chemistry and Archaeology 원문보기

암석학회지 = The journal of the petrological society of korea, v.17 no.3 = no.53, 2008년, pp.133 - 143  

이승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하수지열연구부) ,  김건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  김진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환경재해연구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표지질의 지구화학적 변화 추적과 고고학 유물의 원료(점토질 토양)의 기원지를 밝혀내기 위한 도구로서의 희토류원소의 역할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실험용 지질시료로는 화강암과 편마암 그리고 이들로부터의 화학적 풍화과정을 거친 풍화암과 풍화토양을 선택하여 이들의 화학조성변화를 비교하였고, 고고학적 응용을 위한 시료로는 점토질 토양과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토기 및 도기를 채취하여 이들의 화학조성변화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인 화학조성간의 상대적인 비교로는 암석-풍화암-토양 혹은 점토질 토양-토기-도기로의 변화에 따른 지구화학적 특성변화의 상관성이 없는 반면에 PAAS(Post Archean Australian Shale)로 규격화한 희토류원소 분포도는 거의 동일한 양상을 띄었다. 이는 희토류원소의 분포도가 다른 지구화학적 연구기법에 기법에 비해 퇴적물의 기원물질 혹은 고고학적 유물의 재료를 밝혀내는데 더 유용함을 지시해준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n the basis of chemical composition of granite, gneiss and their weathering products, in this paper, rare earth elements (REEs) was estimated as tracer for clarifying a geochemical variance of earth surface material during weathering proces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clay, clay ware and potter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연구 결과는 아직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암석으로부터 토양으로 변해가는 각 단계에서의 희토류원소 분포도의 변화를 검토하고, 아울러 점토질 토양과 이를 이용하여 만든 토기 그리고 유약을 바른 후가 마에서 구워낸 완성된 도자기에서의 희토류원소 분포도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향후 희토류원소 지구화학의 연구방법이 국내의 지질학 연구 분야 뿐만 아니라 토양학 및 농학 그리고 고고학의 영역에 까지 넓힐 수 있는 근거를 확보하고자 한다.
  • 맨틀의 분화과정 혹은 지각과 이를 구성하는 암석들의 분화과정을 설명하는데 주로 사용되어온 희토류원소의 분포도 특성을 지표지질물질의 지구화학적 풍화 과정에 따른 퇴적물의 근원암 규명 혹은 도자기의 원재료 즉 토양생성지를 밝혀내는 고고학적 응용에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화강암과 편마암 시료의 풍화과정에 따른 풍화 암과 토양에서의 주성분 변화와 희토류원소를 포함하는 미량원소 조성변화를 살펴보았다.
  • 변성암은 강원도 임원 주변의 우백질 화강편마암 내에 포획되어 있는 흑운모 편마암과 이로부터 풍화되어 토양화된 시료를 택하였다(IWGn). 연구에서의 시료지역 선택은 화강암, 편마암 모두 현재 도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 풍화의 진행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의 시료를 택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편마암의 경우, 풍화도가 너무 빨리 진행된 관계로 신선한 암석과 토양화된 편마암토양시료와의 중간인 풍화암석을 수집하지 못하였다.

가설 설정

  • 금번 연구에 사용된 도자기의 생산지는 경기도 이천지역이다. 따라서, 토기, 도자기 그리고 이들을 구운 점토토양이 이천지역에 분포하는 암석들로부터 유래되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이천지역의 대표적인 화강암(ICH11)과 편마암 시료 (ICH7)을 각각 기준으로 설정한 후 규격화하여 Fig. 7 및 8과 같이 도시하였다. 이 중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권영인, 이승구, 유강민, 신재봉, 김건한, 2004a. 지화학 특 성으로 살펴본 풍성퇴적물의 근원지와 특징: 중국 오도 스 및 알라샨 사막 표층시료의 경우. 지질학회지. 40/2, 119-132 

  2. 권영인, 이승구, 김건한, 신재봉, 유강민, 2004b, 중국 타클 라마칸 사막 중동부 지역 표층시료의 지화학 특성. 지질학회지. 40/4, 383-393 

  3. 김건한, 음철헌, 2004. 유도결합 플라즈마 질량분광법에 (ICP-MS)에 의한 암석표준물질 중의 Lanthanides, Y, Th, U 분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논문집, 8, 43-53 

  4. 김주용, 이헌동, 양동윤, 2002, 남한의 구석기 유적의 제4 기지층, 형성환경 및 형성시기연구. 한국구석기학보, 6, 164-180 

  5. 김주용, 최승엽, 양동윤, 오근창, 김진관, 2007, 동해안 망 상동 기곡 구석기 유적의 제4기 지질연구. 한국구석기학보, 16, 1-22 

  6. 송석환, 민일식, 유선균, 2006, 금산인삼과 토양의 희토류 원소 함량관계. 고려인삼학회지 30, 31-40 

  7. 양동윤, 김주용, 한창균, 이승구, 2001, 자연과학적 방법을 통한 앙덕리 토기의 원료산지분석. 고문화 58. 3-24 

  8. 이승구, 염승준, 2008, 대전지역 황사(아시아 먼지)내 희토 류원소 분포도의 지구화학적 특성-근원지 규명을 위한 초기연구. 암석학회지, 17, 44-50 

  9. Aubert, D., Stilile, P., Probst, A., 2001. REE fractiotion during granite weathering and removal bt waters and suspended loads: Sr and Nd isotope evidence. Geochim. Cosmochim. Acta 65, 387-406 

  10. Benson, L.V., Taylor, H.E., Peterson, K.A., Shatuck, B.D., Ramotinil, C.A., Stein, J.R., 200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geochemical methods for the sourcing of archaelogical maize. J. Archaeolo. Sci. 35, 912-921 

  11. Carcaillet, J., Manighetti, I., Chauvel, C., Schlagenhauf, A., Nicole, J-M., 2008. Identifying past earthquakes on an active normal fault(Magnola, Italy) from the chemical analysis of tits exhumed carbonate fault plane. Earth Planet. Sci. Lett. 271, 145-158 

  12. Dia, A., Gruau, G., Olivie-Lauquet, G., Riou, C., Molenat J. and Curmi, P., 2000. The distribu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groundwaters: Assessing the role of source-rock composition, redox changes and colloidal particles. Geochim. Cosmochim. Acta, 64, 4131-4151 

  13. Ding, S-M., Liang, T., Zhang, C-S., Wang, L-J., Sun, Q. 2006. Accumulation and Fractio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un a Soil-Wheat System. Pedosphere 16, 82-90 

  14. Johannesson, K.H., Stetzenbach, K.J. and Hodge, V.F., 1997. Rare earth elements as geochemical tracers of regional groundwater mixing. Geochim. Cosmochim. Acta, 61, 3605-3618 

  15. Kimoto, A., Nearing, M.A., Zhang, X.C. Powell, D.M., 2006. Applicaility of rare earth element oxides as a sediment tracer for coarse-textured soils. Catena 2006, 214-221 

  16. Lee, S-G., Kim, J-K., Yang, D-Y., Kim, J-Y., 2008. Rare earth element geochemistry and Nd isotope composition of stream sediments, south Han River drainage basin, Korea. Quat. Inter. 176-177, 121-134 

  17. Liang, T., Ding, S., Song, W., Chong, Z., Zhang, C., Li, H., 2008. A review of fractionation of rare earth elements in plants. J. Rare Earth 26, 7-15 

  18. Lipin, B.R. and McKay, G.A., 1989. Geochemistry and Mineralogy of Rare Earth Elements. The Mineralogical Society of America, 348 p 

  19. Masuda, A., Nakamura, N. and Tanaka, T., 1973. Fine Structure of mutually normalized rare-earth patterns of chondrites. Geochim. Cosmochim. Acta, 37, 239-248 

  20. Merten, D., Geletneky, J., Bergmann, H., Haferburg, G., Kothe, E., Buchel, G., 2005. Rare earth element patterns: A tool for understanding processes in remediation of acid mine drainage. Chime Erde Geochem. 65, 97-114 

  21. Minarik L., Zigova, Bendl, J., Skrvan, P., St'astny M., 1998. The behaviour of rare-earth elements and Y during the rock weathering and soil formation in the Ricany granite massif, Central Bohemia. Sci. Tot. Environ. 215, 101-111 

  22. Monecke, T., Dulski, P. and Kempe, U., 2007. Origin of convex tetrads in rare earth element distribution patterns of hydrothermally altered siliceous igneous rocks from the Zinnwald Sn-W deposit, Zermany. Geochim. Cosmochim. Acta, 71, 335-353 

  23. Otero, N., Vit?ria, L., Spler, A., Canals, A., 2005. Fertiliser characterization: Major, trace and rare earth elements. Appl. Geochem. 20, 1473-1488 

  24. Song, Z., Liu, C., Gulin, H., Wang, Z., Zhu, Z., Yang, C., 2006. Enrichemnt and Release of Rare Earth Elements during Weathering of Sedimentary Rocks in Wujiang Catchments, Southwest China. J. Rare Earth. 24, 491-496 

  25. Taylor, S.R. and McLennan, S.M., 1985. The continental crust: Its composition and evolution. Geoscience Texts, Blackwell, Oxford, 312 p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