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영양기준안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Guideline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in Processed Foods Met to Children's Taste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1 no.6, 2008년, pp.561 - 572  

최영선 (대구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장남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조성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혜경 (식품의약품안전청)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우리나라는 어린이를 중심으로 급격한 식생활 변화(nutrition transition)를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나트륨, 당류, 지방 및 포화지방산의 섭취 증가로 인한 질병 발생 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린이 기호식품과 가공식품 중의 영양위해성분을 선정하고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 근거를 마련하였다. 또한 서울지역 11개 중학교와 10개 고등학교 내 판매식품 가공식품에 대한 현황 조사와 1,812명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섭취실태 조사를 통해 다소비가공식품을 선정하였으며, 145개의 대표 가공식품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영양기준안에 따라 분류하였다. 그 중 85개가 고지방식품으로 분류된 반면에 11개만이 고나트륨식품으로 분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영양기준안과 분량의 기준단위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더 많은 식품들에 대해 시뮬레이션 등의 검토가 필요하며, 산업체 등 이해당사자들의 의견 수렴 과정을 거쳐 현실적인 영양기준안으로 다듬어져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Korea is facing dramatic nutrition transition among children, which may increase risk of degenerative diseases due to excessive intakes of fats, sugars and sodium. Promotion of eating healthier foods among children is difficult because the present nutrition label is not easily understo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어린이 기호식품의 당, 나트륨 및 지방의 영양기준안 설정을 목적으로 제외국의 가공식품의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고, 어린이 영양을 저해하는 위해 영양성분에 대해 영양기준을 설정하고, 학교 내 판매 식품 및 가공식품의 영양성분 함량에 적용하여 이들 기준치를 평가하였다.
  • 현재의 영양표시가 어린이들이 이해하기에 어려운 측면이 있어 건강에 좋은 식품의 섭취를 진작시키기 어려운 상황이다. 본 연구는 어린이들이 보다 건강에 좋은 식품을 선택하는 정보를 쉽게 제공하기 위하여 어린이 기호식품의 영양위해성분 (당, 나트륨 및 지방류)의 함량에 따라 고, 중, 저로 표시하는 영양기준(안)을 설정하는데 목표를 두었다. 국내는 물론 제외국의 영양섭취기준, 영양표시를 위한 일일 영양소 기준치, 영양소함량강조 표시, 영국의 GDA (guideline daily amounts)와 신호등표시제, 식사지침 및 영양소섭취량 자료들을 검토 및 비교하였고, 제외국 어린이의 기호 식품과 가공식품의 영양위해성분 영양기준 자료를 수집 및 평가하였다.

가설 설정

  • 12) 남아프리카는 성인은 45 g/day 미만, 6세 이상 어린이의 경우는 비불소화 지역에서는 40 g/day 미만, 불소화지역은 55 g/day 이하로 달리 제시하는데 그 이유는 기준 지표가 충치이기 때문이다.14) 우리나라는 현재 총당류에 대한 영양섭취기준이 에너지의 10~20%로 설정되어 있으나, 15) 영양표시 목적의 총당류 또는 첨가당에 대한기준치 설정은 되어 있지 않다. 당류는 총당류보다는 어린이 영양과 관련하여 첨가당 함량이 더 중요하나 식품 분석 시 총당류와 첨가당 함량을 구분하기 어려운 기술적 문제 등으로 총당류를 영양표시에 주로 사용한다.
  • 영국은 신호등 표시제를 위해 고 (high), 중 (medium), 저 (low)에 해당하는 기준치 제정에 있어 "고”의 기준은 DRV (Dietary reference value)의 1/4 (25%) 수준으로 설정하였고, “저” 의 기준은 유럽연합 (EU)의 영양소함량강조표시의 저 (low) 의 기준을 채택하였다.9) 본 연구 결과의“고” 기준치는 영국 신호등표시제의 기준치에 비해 지방과 포화지방의 “고” 기준이 특히 낮은 데, 이것은 우리나라의 식생활을 반영하여 지방 및 포화지방의 영양소기준치가 낮기 때문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World Heath Organization.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WHO Technical Report Series 916, WHO, Geneva; 2003 

  2. Ernst ND, Obarzanek E. Child health and nutrition: Obesity and high blood cholesterol. Prev Med 1994; 23: 427-436 

  3. Boulton TJ, Magarey AM, Cockkinton RA. Tracking of serum lipids and dietary energy, fat and calcium intake from 1 to 15 years. Acta Paediatr 1995; 84: 1050-1055 

  4. Azais-Braesco V, Goffi C, Labouze E. Nutrient profiling: comparison and critical analysis of existing systems. Public Health Nutr 2006; 9(5): 613-622 

  5. Son JE, Ku HJ, Lee J, Lee MC, Lee DT. Changes of physique, physical fitness, and obesity indices in Korean adolescents: From 1956-2004.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6; 6(4): 213-221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 - Nutrition Survey -; 2006 

  7.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1998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 1999 

  8.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Report on 2001 National Health & Nutrition Survey - Nutrition Survey -; 2002 

  9. Food Standards Agency. Front-of-pack Traffic Light Signpost Labelling Technical Guidance. Issue 2, November 2007 

  10. COI Communications & The Food Standards Agency. Investigation of consumer understanding of sugars labelling on front of pack nutritional signposts, with specific reference to breakfast cereals. Final Report, May 2007 

  11.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labeling; 2007 

  12. Working Group Report. Report of the IGD/PIC Industry Nutrition Strategy Group Technical Working Group on Guideline Daily Amounts (GDAs). Watford, UK. IGD; 2005 

  13. Institute of Medicine,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energy, carbohydrate, fiber, fat, fatty acids, cholesterol, protein, and amino acid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2002 

  14. Steyn NP, Myburgh NG, Nel JH. Evidence to support a foodbased dietary guideline on sugar consumption in South Africa. Bull World Health Organ 2002; 81(8): 599-608 

  15. Cho SH, Chung CE, Kim SH, Chung HK. Establishment of total sugar reference value for Koreans. Koreans J Nutr 2007; 40 (Suppl): 3-8 

  16. Kim SH, Chung HK. Sugar supply and intake of Koreans. Korean J Nutr 2007; 40(Suppl): 22-28 

  17. Frary CD, Johnson RK, Wang MQ. Children and adolescents' choices of foods and beverages high in added sugars are associated with intakes of key nutrients and food groups. J Adolesc Health 2004; 34: 56-63 

  18. Overby NC, Lillegaard IT, Hohansson L, Anderson LF. High intakes of added sugar among Norwegian children and adolescents. Public Health Nutr 2003; 7(2): 285-293 

  19. Shim JE, Kim JH, Nam GY, Paik HY, Moon HK, Kim YO. Comparative analysis and evaluation of dietary intakes of Koreans by age groups: (3) Risk Factors for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Korean J Nutr 2002; 35(1): 78-89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Third Korea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I), 2005-Health Examination-; 2006 

  21. Davis MM, Gance-Cleveland B, Hassink S, Johnson R, Paradis G, Resnicow K. Recommendations for prevention of childhood obesity. Pediatrics 2007; 120(Suppl 4): S229-S253 

  22. CFSAN Office of Nutritional Products, Labeling and Dietary Supplements. Questions and Answers about Trans Fat Nutrition Labeling. Jan. 1, 2006 

  23. Health Canada. http://www.hs-sc.ca/fn-an/nutrition/gras-trans-fats/ 

  24. Park HK, Kim MC. Policy for reducing trans fat contents in processed foods. Food Science and Industry 2007; 40(1): 2-5 

  25.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Dietary References Intakes for Koreans; 2005 

  26. US FDA. Food Labeling, Code of Federal Regulations. Chapter 1, Part 101; 2004 

  27. Rayner M, Scarborough P, Williams C. The Origin of guideline daily amounts and the food standards agency's guidance on what counts as 'a lot' and 'a little'. Public Health Nutr 2003; 7 (4): 549-556 

  28. Codex Alimentarius Commission (CAC). Guidelines for Use of Nutrition Claims. CAC/GL 23-1997, Rome, CAC; 1997 

  29. Hyon SM, Kim JW. Improvement of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tudents by nutrition labeling education.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2):168-177 

  30. Rayner M, Scarborough P, Stockley L. Nutrient profiles: Options for definitions for use in relation to food promotion and children's diets. Department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Oxford, October 2004 

  31. Food Standard Australia New Zealand. Preliminary Final Assessment Report P293 Nutrition, Health and Related Claims. Draft Standard 1.2.7. April 2007 

  32. Rayner M, Scarborough P, Boxer A, Stockley L. Nutrient profiles: Development of final model. Department of Public Health, University of Oxford, December 2005 

  33. Kwon KI, Park SH, Lee JH, Kim JY, Yoo KS, Lee JS, Kim SY, Sung H, Nam HS, Lee HY, Park HK, Kim MC.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2): 206-213 

  34. Park SS, Kim NY, Han MJ. Processed food preferences and food and nutrition labeling perceptions of middle school students. Korean J Food Cookery Sci 2008; 24(2): 164-173 

  35. Cho SH, Yu HH.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5): 519-533 

  36.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Study on Determination of Reference Amounts of Food and Serving Size;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