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화지정(Viola mandshurica)의 아미노산과 유용성분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the Amino Acids and Effective Components from Viola mandshurica 원문보기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preservation, v.15 no.5, 2008년, pp.699 - 705  

이양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화지정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기원식물인 제비꽃과 한방재료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화지정 꽃의 환원당유리당이 각각 10,485.11 mg%와 118.85 mg%로 가장 많았으며, 수용성 단백질과 폴리페놀의 함량도 각각 1,259.26 mg%와 2366.67 mg%로 함량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중국산 잎에서 2,370.75 mg%이었으며, 잎은 1,844.43 mg%을 함유하였다. 유리아미노산은 잎(5,345.21 mg%) > 뿌리(4,692.24 mg%) > 꽃(3,807.87 mg%) > 중국산 잎 (3,613.81 mg%)의 순으로 특히 뿌리에는 arginine의 함량이 전체의 55 %이상 차지하였으며 모든 부위에서 val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alanine, arginine 등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유도체는 잎에서 9,058.80 mg%로 가장 많이 함유하였으며 $\alpha$-aminoadipic acid는 모든 부위에서 50% 이상을 함유하였으며 특히 잎에서는 아미노산 유도체(7,124.23 mg%) 중 약 80%를 차지하였다. 무기질 함량은 중국산 잎이 5,917.57 mg%로 가장 높았으며, 모든 부위에서 K, Ca와 Mg의 함량이 매우 높았으며, 특히 잎과 꽃의 95% 이상을 차지하였다. 이상의 결과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잎이 중국산 잎보다는 환원당과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무기질의 함량은 낮았으나 수용성 단백질과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였으며,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뿌리와 꽃에서도 유용한 유용성분들을 다량 함유하므로 음료나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 개발에 이용될 수 있는 한방약용자원인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d amino acids and effective components of Viola mandshurica produced in Korea with those of Chinese plants, as part of a study on nutritional andfunctional materials,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a valuable food. The contents of reducing sugar, free sugar, polyphenols, and solu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자화지정의 식품학적 가치와 식품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국내에서 채집된 자화지정의 기원식물인 제비꽃과 한방 재료로 유통, 판매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자화지정 꽃의 환원당과 유리당이 각각 10,485.
  • 이에 본 연구는 기능성 식품 재료로서 자화지정의 유용 가능성을 탐색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이의 원료 식물로 알려져 있는 제비꽃(국내산)과, 한약재로 유통되고 있는 중국산 자화지정의 아미노산 및 무기질을 포함한 유용성분을 비교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효능 및 안정성이 검증된 한약재를 이용하여 어떤 제품이 만들어지고 있는가? 최근 오랜 기간에 걸쳐 효능 및 안정성이 검증된 한약재(한방재료)를 기능성 식품의 개발 재료로 이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고, 기호식품이나 음료 이외에도 신선편의 및 건강보조식품 등 다양한 기능성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1,2).
자화지정이란 무엇인가? 자화지정(紫花地丁)은 제비꽃과(Violace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aker) 및 동속근연식물의 뿌리를 포함한 전초를 건조한 한방생약재이다(3-5). 우리나라 전역에서 쉽게 관찰 할 수 있고, 주로 4~5월에 자주색 꽃을 피우는 제비꽃(Viola mandshurica Baker)과 호제비꽃(Viola yedoensis Makino) 모두를 자화지정이라 하나, 주로 제비꽃을 약재로 사용한다(6).
자화지정은 한방에서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어떻게 쓰이는가? 자지정(紫地丁), 지정초(地丁草), 근근채(蓳蓳菜), 동북근채(東北蓳菜), 전두초(箭頭草), 독행호(獨行虎) 등의 이명으로도 불리우는 자화지정은 본초강목에서 약성은 차고(寒) 독이 없으며(無毒),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열을 내리고 해독작용(淸熱淸熱)이 있으며, 종기나 부은 상처(消腫)의 치료제로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3,7-9). 또한 한방에서는 화농성 염증 질환에 매우 좋은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지혈, 부스럼, 종기, 난치성 종양, 임파선 결핵, 피부 염증 등 살균, 해열, 소염 등의 치료제로 사용하며 소화기 질환인 장염, 설사, 이질, 복통 및 눈다래끼, 독사 등에 의한 교상 등에도 이용한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Chang, K.M. (2007) A study cookery utilization of Pimpinella brachycarpa N. for developing as functional food. Korean J. Food Culture, 22, 274-282 

  2. Kim, K.S. (2007) Functional ingredient compositions of soybean curds(Tufu) made with black soybeans(Huktae) and white soybeans(Baktae). Korean J. Food and Nutr., 20, 158-163 

  3. 이시진. (1983) 본초강목. 서울, 고문사, p647 

  4. 신민교. (1986) 원색임상본초학. 서울, 남산당, p340 

  5. 江蘇新醫學院. (1999) 中藥大辭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p800-802 

  6. KHP. (2007)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KFDA, p294 

  7. 河南省衛生廳編. (1974) 河南省中藥村?制規範. 河南省, 河南科學技術出版社, p365 

  8. 中醫大辭典編輯委員會編. (1982) 中醫大辭典 (中象分冊).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p362 

  9. 成都中醫學院主編. (1982) 中象學, 上海, 上海科學技術出版社, p78 

  10. Yook, C.S., Lee, W.C. and Moon, C.K. (1989) Studies on flavonoid glycoside of the leaves of Viola diamantica. Yakhak Hoeji, 33, 124-128 

  11. 문관심. (1984) 약초의 성분과 이용. 일월서각. pp481-482 

  12. 6박성규, 안덕균. (1991) 자화지정 종류의 효능에 관한 비교 연구. 본초분과학회지, 6, 77-83 

  13. Ko, W.C. and Shin, M.K. (1987) Experimental studies on the analgesic and antiphlogistic effects of Violae herba. Kor. J. Pharmacogn., 18, 210-215 

  14. Lee, B.W. and Kim, D.H. (2003) Inhibitory effect of Violae herba extract on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by IL-1 $\beta$ and TNF- $\alpha$ in cultured human synovial cells. Kor. J. Herbology, 18, 89-96 

  15. Yun, J.S., Chung, B.H., Kim, N.Y., Seong, N.S., Lee, H.Y., Lee, J.H. and Kim, J.D. (2003) Screening of 94 plant species showing ACE inhibitory activity.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1, 246-251 

  16. Witkowska-Banaszczak, E., Bylka, W., Matlawska, I., Goslinska, O. and Muszynski, Z. (2005) Antimicrobial activity of Viola tricolor herb. Fitoterapia., 76, 458-461 

  17. Moon, H.I., Lee, J., Zee, O.P. and Chung, J.H. (2005) The effect of flavonol glycoside on the express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ultraviolet-irradiated cultured human skin fibroblasts. J. Ethnopharmacol., 101, 176-179 

  18. Moon, H.I., Jung, J.C. and Lee, J. (2006) Aldose reductase inhibitory effect by tectorigenin derivatives from Viola hondoensis. Bioorg. Med. Chem., 14, 7592-7594 

  19. Moon, C.K. and Yook, C.S. (1981) Ein flavonol- triglykosid aus herba Viola japonica. Kor. J. Pharmacogn., 12, 146 

  20.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45, 21-22 

  21. Nelson, N. (1944) A photometric adaption of the somogyi method for determination of glucose. J. Biol. Chem., 153, 375-381 

  22. Shim, K.H., Sung, N.K., Choi, J.S. and Kang, K.S. (1989) Changes in major components of japanese apricot during ripening. J. Korean Soc. Food Nutr., 18, 101-108 

  23. Lowry, O.H., Roserbrough, N.J., Farr, A.L. and Randall, RJ. (1951) Protein measurement with the folin phenol reagent. J. Biol. Chem., 193, 265 

  24. Swain, T., Hillis, W.E. and Or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c., 10, 83-88 

  25.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and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6. Yun, S.I., Choi, W.J., Choi, Y.D., Lee, S.H., Yoo, S.H., Lee, E.H. and Ro, H.M. (2003) Distribution of heavy metals in soils of Shihwa tidal freshwater marshes. Korean J. Ecol., 26, 65-70 

  27. Hwang, J.B., Yang, M.O. and Shin, H.K. (1997) Survey for approximate composition and mineral content of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671-679 

  28. Joo, E.Y. and Kang, W.J. (2005) Analysis on the components of the Angelica dahurica root. Korean J. Food Preserv., 12, 476-481 

  29. Lee, Y.S. (2007) Antioxidative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Angelica dahurica leaves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4, 74-86 

  30. Yang, H.C., Heo, N.C., Choi, K.C. and Ahn, Y.J. (2007) Nutritional composition of white-flowered and pink- flowered lotus in different par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4-19 

  31. Shin, S.R. (1999) Studies on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dandelion (Taraxacum officinale).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6, 495-499 

  32.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and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3. Lee, S.O., Lee, H.J., Yu, M.H., Im, H.G. and Lee, I.S. (2005) Total polyphenol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produced in Ullung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7, 233-240 

  34. Lee, J.H. and Lee, S.R. (1994) Analysis of phenolic substances content on Korea plant foods. Korea J. Food Sci. Technol., 26, 310-316 

  35. Solms, J. (1969) The taste of amino acids, peptides, and proteins. J. Agric. Food Chem., 17, 686-688 

  36. Mau, J.L., Chyau, C.C., Li, J.Y. and Tseng, Y.H. (1997) Flavor components in straw mushrooms Volariella volvacea harvested at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J. Agric. Food Chem., 45, 4726-4729 

  37. Kang, M.H., Seo, Y.H., Kim, J.B., Shin, S.R. and Kim, K.W. (2000)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araxacum officinale consumed in Korea. Korean J. Soc. Food Sci., 16, 182-187 

  38. Kim, O.K., Kung, S.S., Park, W.B., Lee, M.W. and Ham, S.S. (1992) The nutritional components of aerial whole plant and juice of Angelica keiskei Koidz. Korean J. Food Sci. Technol., 24, 592-596 

  39. Lee, S.T., Park, J.M., Lee, H.K., Kim, M.B., Cho, J.S. and Heo, J.S. (2000) Component comparison in different growth stages and organs of Saururus chinensis Baill. Korean J. Med. Crop Sci., 8, 312-31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