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화지정 추출물이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염증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Violae Herba Water Extract on the Proinflammatory Factors of LPS-Induced Macrophag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309 - 316  

한효상 (중부대학교 보건행정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지질다당류에 의해 유도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에서 자화지정 추출물이 염증 매개체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자화지정 추출물이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의 세포 생존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또한, Bio-Plex 사이토카인 분석(cytokine assay)을 통하여 NO, 인터루킨 $(IL)-1{\beta}$, 종양 괴사 인자($TNF-{\alpha}$) 및 IL-6와 같은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의 농도에 의한 자화지정 추출물의 항염증 효과를 조사 하였다. 자화지정 추출물은 LPS로 유도 된 대식세포에서 NO, $IL-1{\beta}$, $TNF-{\alpha}$ 및 IL-6의 농도를 $25{\mu}g/mL$ 이상으로 유의하게 저해하였으며 세포 생존율에는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화지정 추출물이 LPS로 유도된 대식세포에서 $IL-1{\beta}$, $TNF-{\alpha}$ 및 IL-6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cytokine)의 억제와 관련된 항염증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앞으로 자화지정을 이용한 염증질환에 관련된 치료제개발에 새로운 연구가 더 필요한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olae Herba Water Extract (VH) on the proinflammatory factors of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on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RAW 264.7 mouse macrophages cells. We examined effect of Violae Herba Water Extract on the c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 세포에 유의한 세포독성을 유발하지 않으면서도 LPS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NO, IL-1β, TNF-α, IL-6의 생성증가를 25, 50, 100 및 200 ㎍/mL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성있게 억제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자화지정 추출물 이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와 관련된 염증반응을 과도하게 줄이는 항염증효능이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화지정을 물추출하여 얻은 시료(VH)를 대상으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의 세포생존율과 LPS로 유발된 NO, IL-1β, TNF-α, IL-6의 다양한 사이토카인(cytokine)의 생성증가에 대한 영향을 측정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화지정의 항염효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자화지정을 물추출하여 제조한 시료 (VH = Violae Herba)를 대상으로 대식세포주인 RAW 264.7 세포의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과 LPS(lipopolysaccharide)로 유발된 NO(nitric oxide) 그리고 IL(interleukin)-1α, TNF-α(tumor necrosis factor α), IL-3 등의 사이토카인 (cytokine) 생성증가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화지정의 사용 목적은? 자화지정는『본초강목』에 처음 기록된 이래 淸熱解 毒, 涼血消腫의 효능이 있어, 疔瘡腫毒, 癰疽發背, 丹毒, 毒蛇咬傷 등을 치료하는 약물로 사용되어 왔다[1]. 자화지정의 기원은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2]에 “제비꽃 Viola mandshurica Baker 또는 호제비꽃 Viola yedoensis Makino (제비꽃과 Violaceae)의 전초”라고 수재되어 있다.
자화지정의 효과에는 무엇이 있는가? 9%, 탄화수소 약 47%가 포함되어 있다[1]. 약리작용으로는 항산화 효능[3], 뇌세포 보호 효과[4], 항천식 효과[5], 아토피성 피부염에 대 한 항염증 효과[6], 항비만 효과[7],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효과[8] 등이 보고되어 있다. 
자화지정의 전초에는 어떤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가? 자화지정의 성분으로 전초에는 배당체(glycoside), 플 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꽃에는 랍 (wax)이 함유되어 있고, 그 속에는 불포화 지방산 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I. R. Kim et al. Boncho-Hak. Seoul : Young-Lim Press. 

  2.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Seoul :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3. J. S. Ko. (2012). A Study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Viola Mandshuric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smetology, 18(5), 1082-1086. 

  4. D. S. DS et al. (2011). Neuronal Cytoprotective Effect of Violae Herba Origin Plants. Kor J Oral Maxillofac Patho, 35(4), 209-214. 

  5. M. Y. Lee et al. (2010). Anti-inflammatory and anti-asthmatic effects of Viola mandshurica W. Becker(VM) ethanolic (EtOH) extract on airway inflammation in a mouse model of allergic asthma.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127, 159-164. 

  6. M. J. Rang. (2013). Anti-inflammatory and Anti-allergic Effects of Herbal Extracts on Atopic Dermatitis ( Part II ). J of Korean Oil Chemists' Soc, 30(1), 173-182. 

  7. Y. Y. Sung, D. S. Kim & H. K. Kim. (2014). Viola mandshurica ethanolic extract prevents high-fat-diet-induced obesity in mice by activating AMP-activated protein kinase. Environ Toxicol Pharmacol, 38(1), 41-50. 

  8. B. W. Lee & D. H. Kim. (2003). Inhibitory effect of Violae herba extract on inflammatory cytokine production induced by IL- $1{\beta}$ and TNF- ${\alpha}$ in culured human synovial cells. Kor J Herbology, 18(3), 89-96. 

  9. S. S. No. (2006). Wonsaek Pibugaw-Hak. Seoul : IBC Gihoek Press. 

  10. J. B. Jeong, S. C. Hong, H. J. Jeong & J. S. Koo. (2012). Anti-inflammatory effects of ethyl acetate fraction from Cnidium officinale Makino on LPS-stimulated RAW 264.7 and THP-1 cells. Korean J Plant Res, 25(3), 299-307. 

  11. H. Matsuda, T. Morikawa, S. Ando, I. Toguchida & M. Yoshikawa. (2003). Structural requirements of flavonoids for nitric oxide production inhibitory activity and mechanism of action. Bioorg Med Chem, 11(9), 1995-2000. 

  12. J. B. Calixto, M. M. Campos, M. F. Otuki & A. R. Santos. (2004). Anti-inflammatory compounds of plant origin. Part II. modulat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mokines and adhesion melecules. Planta Med, 70(2), 93-103. 

  13. W. P. Arend & J. M. Daye. (2005). Cytokines and cytokine inhibitors or antagonists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and Rheumatism, 33(3), 305-15. 

  14. Y. B Lee et al. (2013). The Effect of Mulberry Leaf Extract on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in White Rats Exposed to 2,3,7,8-tetrachlorodibenzo-pdioxin(TCDD).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1(1), 299-308. 

  15. J. Kim. (2014). Antibacter ial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Platycodon grandiflorum extrac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3), 359-366. 

  16. A. Y Jang, Y. C. Sueng & J. G. Ji. (2016). The comparative study on physiological activity of White ginseng, Red ginseng and Black ginseng extrac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5), 459-471. 

  17. M. S. Kim, S, H. Park & H. R. Park. (2016). Convergence Studies Vascular Relaxation and Safty Evaluation in Viscum Coloratumma, Chrysantheum Morifolium, Citri Percarpium, and Ophiopoginis Radix Mixtur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9), 479-484. 

  18. S. H. Park, B. J. Park & H. R. Park. (2016). Studies on Nutritional Analysi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Oriental Medicines with Bloodstream Improvemen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0), 563-570. 

  19. T. Mosmann. (198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s, 65(1-2), 55-63. 

  20. J. A. Politch, L. Tucker, F. P. Bowman & D. J. Anderson. (2007). Concentrations and significance of cytokines and other immunologic factors in semen of healthy fertile men. Hum Reprod, 22(11), 2928-2935. 

  21. B, B Lee et al. (2008).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ion Activity against ${\alpha}$ -Amylase and ${\alpha}$ -Glucosidase of Viola mandshurica Extrac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4), 405-409. 

  22. K. S. Ko. (2012). A study on Antioxidant Effect of Methanol Extract from Viola Mandshurica. Journal of the korean socity of Cosmetology, 18(5), 1082-1086. 

  23. M. R. Lee, J. H. Hwang, J. H. Park, H. J. Kim, E. J. Park & H. R. Park. (2010).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9-hydroxy- ${\alpha}$ -tocopherone from Viola mandshurica Extracts. Kor J Pharmacogn, 41(3), 166-173. 

  24. J. M. Mccord, K. Wong, S. H. Stokes, W. F. Petrone & D. English. (1980). Superoxide and inflammation: a mechanism for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superoxide dismutase. Acta Physiol Scand Supp, 492, 25-30. 

  25. J. N. Sharma, A. Al-Omran & S. S. Parvathy. (2007). Role of nitric oxide in inflammatory diseases. Inflammopharmacol, 15(6), 252-259. 

  26. R. Korhonen, A. Lahti, H. Kankaanranta & E. Moilanen. (2005). Nitric oxide production and signaling in inflammation. Curr Drug Targets Inflamm Allergy, 4(4), 471-479. 

  27. C. A. Dinarello. (2000). Proinflammatory cytokines. Chest, 118(2), 503-508. 

  28. W. P. Arend & J. M. Dayer. (1995). Inhibition of the production and effects of interleukin-1 and tumor necrosis factor ${\alpha}$ in rheumatoid arthritis. Arthritis Rheum, 38(2), 151-160. 

  29. F. R. Balkwill, M. S. Maylor & S. Malik. (1990). Tumor necrosis factor as an anti-cancer agent. European Journal of Cancer and Clinical Oncology, 26(5), 641-644. 

  30. G. E. Nedwin, L. P. Svedersky, T. S. Bringman, M. A. Jr. Palladino & D. V. Goeddel. (1985). Effect of interleukin 2, interferon-gamma and mitogens on the production of tumor necrosis factors alpha and beta. J Immunol, 135(4), 2492-2497. 

  31. M. Liu, J. Li, F. Kong, J. Lin & Y. Gao. (1998). Induction of immunomodulating cytokines by a new polysaccharide-peptide complex from culture mycelia of Lentinus edodes. Immunopharmacology, 40(3), 187-198. 

  32. C. A. Dinarello, S. Endres, S. N. Meydani, M. Meydani & M. K. Hellerstein. (1990). Interleukin-1, anorexia, and dietary fatty acids. Ann N Y Acad Sci, 587, 332-3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