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on Employees'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원문보기

한국가정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v.26 no.5 = no.95, 2008년, pp.27 - 37  

유계숙 (경희대학교 생활과학대학 가족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in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friendly culture in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private sectors on employee self-reported work-family balance and qualities of lives. It also attempted to clarify whether employee perceived work-family culture would vary accord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의 설문조사에서 측정한 척도들은 근로자의 자기보고식 응답에 기초한 자료이기 때문에 소속 기업의 가족친화제도별 이용률과 같이 조직문화를 객관적으로 측정한 자료와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도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그러나 국내 민간기업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관련된 실증연구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일과 가족의 조화에 대한 요구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기혼 근로자를 표집하여 기업의 규모와 업종, 근로자의 성별 및 맞벌이 여부 등을 통제하고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고자 한다. 추후 연구에서는 전국규모의 대표성 있는 표집을 통하여 노사 양측을 모두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며,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보다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가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할 것이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보다 다양한 업종과 중소기업 및 대기업을 포함한 국내 민간기업의 기혼남녀 근로자를 대상으로 소속직장의 근로시간 요구, 상관의 지원, 가족친화제도 이용의 자유로움 등 다각적 측면에서 자사의 조직문화를 어느 정도 가족친화적으로 지각하는지 살펴보고, 소속기업의 규모와 업종, 근로자의 성별 및 맞벌이 여부, 지각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근로자가 소속한 기업의 규모와 업종, 근로자의 성별 및 맞벌이 여부에 따라 소속기업의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어떻게 지각하는지 살펴보고, 기업과 근로자 개인의 특성 및 근로자가 지각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일-가족 조화나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봄으로써 가족친화적 직장문화 조성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 민간기업에 종사하는 전일제 정규직 기혼남녀근로자 365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지각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와 일-가족 조화 및 삶의 질의 전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지각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근로자들의 일-가족 조화와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요약하고, 이들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앞서 고찰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토대로 근로자가 지각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의 세 가지 개념을 측정하기 위하여 근로자의 주당 평균 초과근로시간,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에 대한 상관의 지원 정도, 그리고 근로자가 소속한 기업의 가족친화제도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정도를 질문하였다.

가설 설정

  • 주: 각 변인에 대한 사례 수는 무응답에 따라 차이가 있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란?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란, 기업의 구성원들이 공유하는 직장문화로서, 자사가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를 지원하고 중시한다는 가정이나 신념, 가치관, 기대 등을 의미한다. 학자들마다 차이는 있지만, 일반적으로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는 다음과 같은 3가지 요인으로 구성된다(Thompson et al.
근로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는데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요소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구성하는 두 번째 요인은 근로자에 대한 상관의 지원, 즉 근로자의 일-가족 조화에 대한 상관의 지지와 민감성이다. 근로자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가족친화적 조직문화를 조성하는데 있어서 상관의 지원은 우선적으로 필요한 요소이다. 가족친화 기업정책이 효과적으로 운영되기 위해서는 근로자가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의사결정에 근로자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며, 구성원의 일-가족 조화욕구를 존중하고 배려하는 조직문화의 조성이 전제되어야 한다.
국내 기업의 조직문화에서 근로자가 갈등하는 현상이 심각해질 우려가 있는 이유는? 국내 기업의 조직문화는 전통적으로 일이 가정에 우선해야 한다는 통념이 지배적이며, 공식적인 근무시간 이외의 활동도 일의 연장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들어 일-가정 양립과 가족친화제도가 국내에 소개되면서 기업이 자사 근로자의 가족생활 욕구에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지만, 국내외적으로 불안정한 경제적 상황은 비공식적인 시간과 노력까지도 업무에 보다 투자하기를 기대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에 가정에 대한 책임과 일의 요구 사이에서 근로자가 갈등하는 현상은 보다 심각해질 우려가 있다(방묘진,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노동부(2006). 매월 노동 통계조사 보고서 

  2. 뉴시스(2008). 직장인 59.1% "회사일 때문에 가정사 피해"... 잦은 야근이 1위. 2008. 4. 8 

  3. 대한상공회의소(2002). 장시간 근로의 원인과 대책 

  4. 동아일보(2008). 한국인의 삶, 일은 가장 많이 하고 삶의 질은 바닥권. 2008. 4. 9 

  5. 동아일보(2008). 직장인 15.9%가 '우울증', '오락문화업' 가장 위험. 2008. 3. 31 

  6. 박보람.김효선.구자숙.박찬희(2007). 부서의 업무과정특성과 가족친화분위기가 듀얼아젠다에 미치는 영향. 인사.조직연구, 15(2), 71-101 

  7. 방묘진(2004). 가족친화적 조직문화가 직장 -가정갈등과 직장 및 가정생활에 미치는 경로효과 검증.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연합뉴스(2008). 산전후 휴가뒤 동일업무. 임금 보장. 2008. 3. 28 

  9. 연합뉴스 (2008). 노동자 절반 '기업이 '삶의 질' 안 챙겨'. 2008. 2. 18 

  10. 이세인.이숙현.권영인(2007). 가족의 지원 및 가족친화적 조직 문화가 사무직 취업모의 일-가족 갈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2(3), 29-57 

  11. 이주희(2003). 일과 가족의 양립은 어떻게 가능한가: 기업의 조직문화와 여성관리직 모성보호. 가족과 문화, 15(3), 37-61 

  12. 프레시안(2008). 2008년 신종 '성차별'...여성은 '노예'? 2008. 4. 16 

  13. 황인경(2002). 일과 삶의 균형을 위한 복리 후생. LG주간경제 

  14. Allen, T. D.(2001). Family-supportive work environments: The role of organizational perception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3), 413-435 

  15. Allen, T., Herst, D., Bruck, C., & Sutton, M.(2000).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work to family conflict: A review and agenda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5, 278-308 

  16. Bailyn, L.(1993). Breaking the mold: Women, men, and time in the new corporate world. N.Y.: The Free Press 

  17. Bond, J. T., Galinsky, E., & Hill, E. J.(2004). Summary of family and work institute research findings. When work works. Families and Work Institute 

  18. Campbell Clark, S.(2001). Work cultures and work/family balance.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8, 348-365 

  19. Christensen, K. E. & Staines, G. L.(1990). Flextime: A viable solution to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Family Issues, 11, 455-476 

  20. Erickson, R., Nichols, L., & Ritter, C.(2000). Family influences on absenteeism: Testing an expanded process model.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7, 246-272 

  21. Goff, S. J., Mount, K., & Jamison, R. L.(1990). Employer supported child care, work/family conflict, and absenteeism: A field study. Personnel Psychology, 43, 793-809 

  22. Grzywacz, J. G. & Bass, B. L.(2003). Work, family, and mental health: Testing different models of work-family fit.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65, 248-261 

  23. Kinnunen, U. & Mauno, S.(1998). Antecedents and outcomes of work-family conflict among employed women and men in Finland. Human Relations, 51, 157-177 

  24. Levering, R.(2000). A greate place to work. Great Place to Work Institute 

  25. Lyness, K.S., Thompson, C., Francesco, A. M., & Judiesch, M. K.(1999). Work and pregnancy: Individual and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ing organizational commitment, time of maternity leave and return to work. Sex Roles, 41, 485-508 

  26. Mauno, S. & Kunnunen, U.(1999). The effects of job stressors on marital satisfaction among Finnish dual-earner coupl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 879-895 

  27. Mauno, S., Kinnunen, U., & Piitulainen, S.(2005). Work-family culture in four organizations in Finland: Examining antecedents and outcomes. Community, Work, and Family, 8(2), 115-140 

  28. Olson, D. H. & Barnes, H. L.(1985). Quality of life. In D. H. Olson, H. I. McCubbin, H. L. Barnes, A. S. Larsen, M. Muxen, & M. Wilson(Eds.) Family inventories (revised ed.). St. Paul, MN: Family Social Science, University of Minnnesota 

  29. Shinn, M., Wong, N. W., Simko, P. A., & Oritz-Torres, B.(1989). Promoting the well-Being of working parents: Coping, social support, and flexible job schedule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7, 31-55 

  30. Starrels, M. E.(1992). The evolution of workplace family policy research. Journal of Family Issues, 13, 259-278 

  31. Thomas, L. T. & Ganster, D. C.(1995). Impact of family-supportive work variables on work-family conflict and strain: A control perspectiv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80, 6-15 

  32. Thompson, C. A., Beauvais, L. L., & Lyness, K.(1999). When work-family benefits are not enough: The influence of work-family culture on benefit utilization, organizational attachment, and work-family conflict.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54, 392-415 

  33. Warren, J. A. & Johnson, P. J.(1995). The impact of workplace support on work-family role strain. Family Relations, 44, 163-16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