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한 개모시풀의 자생지 환경특성과 혼생식물종 분포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Species Composition of Boehmeria platanifolia Habitat in South Korea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6 no.5, 2008년, pp.371 - 375  

김성민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신동일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송홍선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조용구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반도 개모시풀의 자생지 환경조건에 따른 분포특성, 토양성분, 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모시풀의 상대밀도와 상대피도는 7.0%와 25.6%이었다. 해발고도별로는 200 m 이하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분포지역이 적었다. 경사도별로는 $20^{\circ}$ 이하에서 80% 이상이 자생하였고, 사면별로는 남사면보다 햇빛이 적은 서사면과 북사면에서 집중되었다. 광량에 따른 분포는 90% 정도가 중광이나 약광이었고, 습윤 정도에 따른 분포는 69.1%가 습윤지역이었다. 자생지의 토성은 식양토이었으며, 평균 pH는 6.2로서 약산성 토양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24\;g\;kg^{?1}$이었으며, 유효인산은 $31\;mg\;kg^{?1}$이었다. 혼생하는 식물은 60과 125속에 총 171분류군이었으며, 상대밀도와 상대피도가 가장 높은 혼생식물은 사위질빵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geographical distribution patterns of natural habitats, soil properties, and plant species grown with native Boehmeria platanifolia in South Korea. The relative density and coverage of Boehmeria platanifolia were 7.0% and 25.6% respectively. Most Boehmeria plat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조사는 개모시풀을 대상으로 남한의 분포 현황을 파악함과 아울러 자생지의 생육환경에 따른 식물종간의 분포 및 생육양상을 비교함으로써 이 식물의 우량유전자원 확보 및 실증재배를 위한 기초자료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보여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반도 개모시풀의 자생지 환경조건에 따른 분포특성, 토양 성분, 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는? 한반도 개모시풀의 자생지 환경조건에 따른 분포특성, 토양 성분, 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모시풀의 상대밀도와 상대피도는 7.0%와 25.6%이었다. 해발고도별로는 200 m 이하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분포지역이 적었다. 경사도별로는 20o 이하에서 80% 이상이 자생하였고, 사면별로는 남사면보다 햇빛이 적은 서사면과 북사면에서 집중되었다. 광량에 따른 분포는 90% 정도가 중광이나 약광이었고, 습윤 정도에 따른 분포는 69.1%가 습윤 지역이었다. 자생지의 토성은 식양토이었으며, 평균 pH는 6.2로서 약산성 토양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24 g ㎏−1 이었으며, 유 효인산은 31 ㎎ ㎏−1 이었다. 혼생하는 식물은 60과 125속에 총 171분류군이었으며, 상대밀도와 상대피도가 가장 높은 혼생식물은 사위질빵이었다.
모시풀속 식물의 용도는? 쐐기풀과 (Urticaceae)의 모시풀속 (Boehmeria)에 속하는 식물은 다년초 또는 초본성 관목으로 한반도에는 10여 종이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ong, 1998; Lee, 2003, 2006). 모시풀속 식물은 섬유용 이외에도 뿌리를 청열, 지혈, 해독, 토혈 및 종창 등의 약용 (Bae, 2000)으로 쓰거나 어린잎을 식용하고 있다. 그러나 한반도에서는 현재 재배종의 모시풀을 제외하면 약용이나 섬유작물로 이용하는 야생종이 많지 않고 식용 또한 미미하다.
다년초의 개모시풀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이다. 다년초의 개모시풀은 한약재명으로 야저마 (野苧麻)라고 하여 잎과 껍질을 당뇨, 하혈, 이뇨 등에 이용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어린 순은 나물로 식용하는 유용자원식물이다. 그러나 개모시풀은 생약적인 연구 이외에는 자생지의 분포실태를 비롯해 토양특성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 KH (2000) The Medicinal Plants of Korea. Kyohaksa. p. 74-75 

  2. Daubenmire RF (1974) Plants and environment. John willey and Sons, Ins. 420 

  3. Kim SG, Chung DH, Kwon BS, Lim JT (1993) Effect of different fertilizers on growth and fiber yield in ramie plant. Kor. J. of Crop Sci. 38(3):235-239 

  4. Kim SM, Shin DI, Song HS, Kim SK, Yoon ST (2006) 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s of Genus Boehmeria in South Korea. Korean J. of Medicinal Crop Sci. 14(1):14-18 

  5. Kwon BS, Kim SG, Chung DH, Lim JT (1993) Effect of winter mulching on growth and fiber yield of ramie plant. Kor. J. Crop Sci. 38(3):208-212 

  6. Lee SP, Kim SK, Chung SH, Choi BS and Lee SC (1998) Effects of soil pH on crude components and essential oil contents of Codonopsis lanceolata Trautv. Korean J. of Medicinal Crop Sci. 6(4):239-244 

  7. Lee C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p. 236-239 

  8.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p. 255-257 

  9. Park BJ, Choi SY, Chang KJ Cho DH, Heo K, Park CH (1997) Vegetation and environment in natural habitats of Aster scaber and Epimedium koreanum around Chunchon. Kor. J. of Plant Resource. 10(4):422-428 

  10. Park HJ, Kim SK, Sung BR, Jang YS, Jeong DH (1992) Comparison of Agronomic Traits between Improved and Local Varieties in Ramie (Beohmeria nivia Hooker et Arnot). Kor. J. of Breeding Sci. 23(4):269-276 

  11. Schollen, berger CJ (1927) A rapid approximation method for determining soil organic matter. Soil Science 24:65-68 

  12. Song HS (1998) Korea crop Encyclopedia. Pulgotnamu.p.209-212 

  13. Song HS, Shin DI, Yoon ST, Kim SM (2006) Conservation strategy and collection of wild crop allied species in Korea. Symposium of Korea academy of native species (KANS). 59-7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