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유기농 녹차잎을 이용한 녹차음료의 개발
Development of Green Tea Beverage with Organic Tea Leave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485 - 490  

안미경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  안준배 (서원대학교 식품과학부) ,  이광근 (동국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기농 녹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유기농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엽은 일체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 기법으로 재배한 시료를 사용하였고 채취시기가 다른 4월, 5월, 6월차와 반발효차를 수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정량 정성 분석하였으며 녹차추출물의 색도와 pH를 측정하였다. 0.5%의 4월, 5월, 6월, 반발효차의 카테킨류는 각각 66.24, 29.19, 57.11, 5.27 ${\mu}g/mL$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카테킨류 중에서 EGCg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EGC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녹차 음료의 생산을 위해 카테킨류의 함량, 다엽의 가격, 수확량을 고려하여 6월차를 선택하였다. 6월차를 0.05, 0.1, 0.2, 0.5%로 추출하여 카테킨류를 정량한 결과, 0.1, 0.2, 0.5%는 0.05%에 비해 각각 1.50, 11.78, 41.09배 증가하였다. 6월차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밝기가 증가하였고, 가장 밝고 녹색과 황색의 색이 짙었다. 반발효차의 pH는 5.83이었으며 나머지는 6.33-6.38의 범위를 가졌다. 6월차의 기호도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색상 기호도는 0.1%, 향기호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는 0.2%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단맛, 신맛, 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0.2%가 음용하기에 가장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음료 제작 후, 저장 기간에 따른 녹차의 색 변화를 줄이기 위해 저장성 실험 결과 탄산수소나트륨을 0.03%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organic tea leaves were characterized with the aim of developing an organic beverage process. The green tea leaves grown using organic farming techniques were collected in Haenam, Korea. Catechins in green tea leaves were extracted by chloroform and ethyl acetate and these were the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유기농 녹차가 아닌 유기농법을 이용한 딸기, 토마토를 비롯한 과일/채소류에서는 전통 방식으로 재배한 산물에 비해 높은 농도의 페놀성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그리고 비타민 C가 검출되었다는 보고가 있다(19,20). 본 논문에서는 유기농법으로 재배한 다엽의 품질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다엽의 채취시기가 다른 유기농 녹차와 유기농 반 발효차의 카테킨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유기농 녹차음료 개발을 위한 추출 조건을 설정하고, 관능평가를 포함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규명하였다.
  • 본 연구는 유기농 녹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유기농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엽은 일체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 기법으로 재배한 시료를 사용하였고 채취시기가 다른 4월, 5월, 6월차와 반발효차를 수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카테킨은 무엇을 기본으로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가? 녹차(Camellia sinensis)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소비되는 기호음료로서 건강에 좋은 영향을 주어 많은 사람들에게 각광 받고 있다(1,2). 녹차의 기능성 성분인 카테킨은 폴리페놀계 성분으로서 flavan-3-ol을 기본으로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녹차 한 잔에는 약 100 mg의 카테킨류가 함유되어 있는데 Fig.
유기농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유기농 녹차 음료를 개발하기 위해 유기농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비롯한 물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다엽은 일체의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농 기법으로 재배한 시료를 사용하였고 채취시기가 다른 4월, 5월, 6월차와 반발효차를 수매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HPLC를 이용하여 다엽의 카테킨류 함량을 정량·정성 분석하였으며 녹차추출물의 색도와 pH를 측정하였다. 0.5%의 4월, 5월, 6월, 반발효차의 카테킨류는 각각 66.24, 29.19, 57.11, 5.27 µg/mL을 함유하고 있었으며, 카테킨류 중에서 EGCg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EGC는 검출되지 않았다. 유기농 녹차 음료의 생산을 위해 카테킨류의 함량, 다엽의 가격, 수확량을 고려하여 6월차를 선택하였다. 6월차를 0.05, 0.1, 0.2, 0.5%로 추출하여 카테킨류를 정량한 결과, 0.1, 0.2, 0.5%는 0.05%에 비해 각각 1.50, 11.78, 41.09배 증가하였다. 6월차는 농도가 증가할수록 밝기가 증가하였고, 가장 밝고 녹색과 황색의 색이 짙었다. 반발효차의 pH는 5.83이었으며 나머지는 6.33-6.38의 범위를 가졌다. 6월차의 기호도 및 관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색상 기호도는 0.1%, 향기호도와 전체적인 기호도는 0.2% 추출물이 가장 우수한 평가를 받았고 단맛, 신맛, 떫은 맛의 정도를 평가한 결과 0.2%가 음용하기에 가장 적절하리라 사료된다. 또한 음료 제작 후, 저장 기간에 따른 녹차의 색 변화를 줄이기 위해 저장성 실험 결과 탄산수소나트륨을 0.03%를 첨가할 필요가 있다.
녹차의 EGCg의 효능은 무엇인가? 카테킨의 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현재까지도 활발히 진행 중이며 이미 많은 연구를 통해 확인되 었다. 녹차의 EGCg는 항암작용에 영향을 주며, 비타민 E와 같은 천연 항산화제보다 높은 항산화 작용을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7-9). 또한 Kim 등(10) 은 햄스터에게 동맥경화 유발식이와 녹차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결과, 혈중 cholesterol 수치를 감소시켜 동맥경화가 녹차 추출물에 의해 예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Ferruzzi MG, Green GJ. Analysis of catechins from milk-tea beverages by enzyme assisted extraction followed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Food Chem. 99: 484-491 (2006) 

  2. Baptista JAB, Tavares JFDP, Carvalho RCB. Comparison of catechins and aromas among different green teas using HPLC/SPMEGC. Food Res. Int. 31: 729-736 (1998) 

  3. Woo HS, Choi HJ, Han HS, Park JH, Son JH, An BJ, Son GM, ChoiC. Park GS, Jeon JR, Lee SJ. Isolation of polyphenol from green tea by HPLC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1199-1203 (2003) 

  4. Wee JH, Moon JH, Park KH.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ea leaves at different plucking time.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20-23 (1999) 

  5. Graham HN.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 Med. 21: 334-350 (1992) 

  6. Khokhar S, Magnusdottir SGM. Total phenol, catechin, and caffeine, contents of teas commonly consumed in the United Kingdom. J. Agr. Food Chem. 50: 565-570 (2002) 

  7. Chen ZY, Zhu QY, Wong FY, Zhang Z, Chung HY. Stabilizing effect of ascorbic acid on green-tea catechins. J. Agr. Food Chem. 46: 2512- 2516 (1998) 

  8. Hara Y, Matsuzaki S, Nakamura K. Anti-tumor activity of tea catechins. Nippon Eiyo Shokuryo Gak. 42: 39-45 (1989) 

  9. Kartiyar SK, Agarwal R Mukhtar H. Green-tea in chemoprevention of cancer. Compr. Ther. 18: 3 (1992) 

  10. Kim YE, Kwon EK, Han DS, Kim IH, Lee CH. Effects of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O. Kuntze] extract on lipid metabolism in F1B Syrian hamsters fed with the atherogenic diet.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181-188 (2007) 

  11. Hara Y, Ishigami T. Antibacterial activity of tea polyphenols against foodbome pathogenic bacteria. J. Jpn. Soc. Food Sci. Tech. 36: 996- 999 (1989) 

  12. Byun JO, Han JS. A study on perception and actual status of utilization for green tea. Korean J. Food Culture 19: 184-192 (2004) 

  13. Lee EH, Lee JK, Hong JT, Jung KM, Kim YK, Lee SH, Chung SY, Lee YW. Protective effect of green tea extract, catechin on UVBinduced skin damage. J. Food. Hyg. Saf. 16: 117-124 (2001) 

  14. Miura Y, Chiba T, Tomita I, Koizumi H, Miura S, Umegaki K, Hara Y, Ikeda M, Tomita T. Tea catechins prevent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in apoprotein E-deficient mice. J. Nutr. 131: 27-32 (2001) 

  15. Mok CK. Process for production of brown rice/green tea beverage. Food Eng. Progr. 10: 214-220 (2006) 

  16. Lee GS. Organic agriculture. Food Preserv. Process. Ind. 3: 1-9 (2004) 

  17. Organic Agriculture Information Center. The type and standard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vailable from: http:// www.enviagro.go.kr. Accessed Feb. 29, 2008 

  18. Minou Y. Sohn SM. Worldwide organic agriculture and market development. Food Sci. Ind. 39: 52-72 (2006) 

  19. Asami DK, Hong YJ, Barrett DM, Mitchell AE. Comparison of the total phenolic and ascorbic acid content of freeze-dried and air-dried marionberry, strawberry, and corn grown using conventional, organic, and sustainable agricultural practices. J. Agr. Food Chem. 51: 1237- 1241 (2003) 

  20. Mitchell AE, Hong YJ, Koh EM, Barrett DM, Bryant DE, Denison, Kaffka S. Ten-year comparison of the influence of organic and conventional crop management practices on the content of flavonoids in tomatoes. J. Agr. Food Chem. 55: 6154-6159 

  21. Dalluge JJ, Nelson BC, Thomas JB, Sander LC. Selection of column and gradient elution system for the separation of catechins in green tea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Chromatogr. A 793: 265-274 (1998) 

  22. You TJ. Tea and Health. Dungji Press, Seoul, Korea. p. 57 (1988) 

  23. Rah HH, Baik SO, Han SB, Bock JY. Improvement of analytical method for catechins in green tea. J. Korean Agr. Chem. Soc. 35: 276- 280 (1992) 

  24. Yushioka H, Sugiura K, Kawahara R, Hujita T, Makino M, Kamiya M, Tsuyumu S. Formation of radicals and chemiluminescence during the autoxidation of the catechins. Agr. Biol. Chem. Tokyo 55: 2717- 2723 (1991) 

  25. Suematsu S, Hisanobu Y, Saigo H, Matsuda R, Komatsu Y. A new extraction procedure for determination of caffeine and catechins in green tea. J. Jpn. Soc. Food Sci. Tech. 42: 419 (1995) 

  26. Park GS, Jeon JR, Lee SJ.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green tea produced by Kujeungkupo's method. Korean J. Soc. Food Sci. 15: 475-48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