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녹차음료 PET제품의 고온저장중의 품질 특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of Green Tea Beverage PET during High Temperature Storag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 2009년, pp.98 - 104  

이경훤 (롯데중앙연구소) ,  라임정 (롯데제과주식회사) ,  조혁준 (롯데중앙연구소) ,  여명재 (롯데중앙연구소) ,  김승배 (롯데제과주식회사) ,  박지용 (연세대학교생명공학과) ,  김성호 (경북과학대학 바이오식품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0^{\circ}C$ 고온저장 조건에서 4주 동안 PET 포장된 녹차음료의 품질 변화 특성과 품질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PET 포장용기의 산소투과성 및 cap의 밀봉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고온저장 조건에서 MXD6 blend PET는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였으며 4주 동안 TEN cap의 removal torque 변화도 적게 나타났다. 4주 동안 고온저장 중 녹차음료의 pH, 색도 및 비타민 C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으로 변화하였고 카페인과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고온저장 중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Hexanol, linalool, menthol 및 ${\alpha}$-terpineol 4종의 alcohol류 향기성분은 고온저장 3주차까지 급격한 함량 증가를 보였고 d-limonene은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떫은맛과 향, 전체적인 맛은 기호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haracterize quality changes of PET-packaged green tea beverage during 4-week storage at $60^{\circ}C$. Changes in oxygen transmission of the PET bottle package and cap removal torque were also examined. MXD6 blend PET bottle showed stability in the ga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60℃ 고온저장 조건에서 4주 동안 PET 포장된 녹차음료의 품질 변화 특성과 품질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PET 포장용기의 산소투과성 및 cap의 밀봉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녹차음료 산업화 제품의 성분변화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겨울철 음료 비수기의 틈새시장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는 온장고용 녹차 음료 PET제품의 품질 안정성 확립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특히 60℃의 고온저장조건에서 품 질열화의 주요인이 될 수 있는 PET 포장용기 자체의 산소투 과성 및 cap의 밀봉 안정성 연구를 통해 품질열화를 최소화 할 수 있는 포장 근거를 마련하고, 고온저장 조건에서 일어나는 관능특성 변화를 성분변화와 연계하여 저장수명 지표 물질의 설정과 온장고 내에서 안정적인 품질이 유지될 수 있는 적절한 유통기간 내의 품질지표를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녹차의 음용 형태는 어떠한가? 녹차(Camellia sinensis)는 오랜 세월 동안 전 세계적으로 물 다음으로 가장 널리 애용되고 있는 기호음료로서(1), 음용 인구가 점차 늘어감에 따라 녹차의 성분과 효능에 대한 연구(2,3)가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녹차의 음용 형태도 다양화되어 잎차 형태로 가정에서 직접 차를 우려 마시 는 전통적인 차 문화와 더불어 최근에는 산업 제품화된 티 백, 캔 및 PET 포장 제품의 녹차음료가 등장하는 등 현대인의 생활 문화에 가장 근접된 기호음료로 대중화되어가고 있다(4).
고온저장 조건에서 4주 동안 PET 포장된 녹차음료의 품질 특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어떻게 나타났는가? 본 연구는 60℃ 고온저장 조건에서 4주 동안 PET 포장된 녹차음료의 품질 변화 특성과 품질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포장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PET 포장용기의 산소투과성 및 cap의 밀봉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고온저장 조건에서 MXD6 blend PET는 가스 차단성이 우수하였으며 4주 동안 TEN cap의 removal torque 변화도 적게 나타났다. 4주 동안 고온저장 중 녹차음료의 pH, 색도 및 비타민 C 및 카테킨 함량은 유의적으로 변화하였고 카페인과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고온저장 중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Hexanol, linalool, menthol 및 α-terpineol 4종의 alcohol류 향기성분은 고온저장 3주차까지 급격한 함량 증가를 보였고 d-limonene은 큰 변화가 없었다. 관능평가 결과는 떫은맛과 향, 전체적인 맛은 기호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보였다.
녹차는 다른 기호음료에 비하여 어떤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는가? 녹차는 다른 기호음료에 비하여 질소, 폴리페놀, 당, 유기산, 비타민 및 무기질 등의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녹차는 차엽의 숙성도 및 품종, 재배 조건 등에 따라 수용성 성분이 변화하며 탄닌 성분에 의한 떫은맛과 당류의 단맛, 아미 노산류의 부드러운 맛, 유기산의 신맛, 카페인의 쓴맛 등이 향기성분과 조화를 이루어 독특한 풍미를 가진다(9,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Graham HN. 1992.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entive Med 21: 334-350 

  2. Lee YJ, Ahn MS, Oh WT. 1998. A study on the cathechins contents and antioxidative effect of various solvent extracts of green, oolong and black tea. J Food Hyg Safety 13: 370-376 

  3. Oh MJ, Hong BH. 1995. Variation in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green tea resulted from developing stages and processing recipe. Kor J Crop Sci 40: 518-524 

  4. Jong DH, Kim JT. 2003. Science of tea. Daekwangsa, Seoul. p 15-87 

  5. Kim JT. 1996. Science and culture of tea. Borimsa, Seoul. p 15-22 

  6. Wee JH, Moon JH, Park KH. 1999. Catechin content and composition of domestic tea leaves at different packing time. Kor J Food Sci Technol 31: 20-23 

  7. Park JH, Kim SW, Choi HK, Kim KS, Kim SC. 1997. Chemical components of Korean native tea plants. Kor J Med Crop Sci 5: 217-224 

  8. Shin MK. 1994. Science of green tea. Kor J Diet Cult 9: 433-445 

  9. Anan T, Iwasa K. 1997. The differences of flavor and chemical constituents characteristics between spring and summer green teas. Study of Tea 53: 74-81 

  10. Nakagawa M, Amano I. 1974. Evaluation method of green tea grade by nitrogen analysis. J Food Sci Technol 21: 57-63 

  11. Kim SH, Han DS, Park JD. 2004. Changes of chemical compounds of Korean green tea according to harvest periods. Kor J Food Sci Technol 36: 542-546 

  12. Suzuki M, Tabuchi M, Ikeda M, Umegaki K, Tomita T. 2004. Protective effects of green tea catechins on cerebral ischemic damage. Med Sci Monit 10: 166-174 

  13. Park JH, Choi HK, Park KH. 1998. Chemical components of various green teas on market. Kor J Tea Soc 4: 83-92 

  14. Sin MG, Nam CW. 1979. Analytical method of L-ascorbic acid content in green tea. Kor J Food Sci Technol 11: 77-80 

  15. Park YH, Won EK, Son DJ. 2002. Effect of pH on the stability of green tea catechins. J Food Hyg Safety 17: 117-123 

  16. Park JH, Kim YO, Nam SH, Kim JK. 2008. Effect of plucking season and days on main component content of green tea. J Kor Tea Soc 14: 167-174 

  17. Lin YL, Juan IM, Chen YI, Liang YC, Lin JK. 1996. Composition of polyphenols in fresh tea leaves and associations of their oxygen radical absorbing capacity with antiproliferative actions in fibro blast cells. J Agri Food Chem 44: 1387-1394 

  18. Ahmad N, Feyes DK, Nieminen AL, Agarwal RH, Mukhtar H. 1997. Green tea constituent epigallocathechin-3-gallate and induction of apoptosis and cell cycle arrest in human carcinoma cells. J Nat Cancer Inst 89: 1881-1886 

  19. Seo YJ, Noh SK. 2008. Effects of green tea extract on intestinal mucosal esterification of 14C-oleic acid in rats. Kor J Food Preserv 15: 450-455 

  20. Kim BS, Yang WM, Choi J. 2002. Comparison of caffeine, free amino acid, vitamin C and catechins content of commercial green tea in Bosung, Sunchon, Kwangyang, Hadong. Kor J Tea Soc 8: 55-62 

  21. Choi SH, Lee BH, Choi HD. 1992. Analysis of catechin contents in commercial green tea by HPLC. Kor J Soc Food Nutr 21: 386-389 

  22. Koksal T, Dikbas I. 2008. Color stability of different denture teeth materials against various staining agents. Dent Mater J 27: 139-144 

  23. Stone H, Sidel JL, Oliver S, Woolsey A, Singleton RC. 1974 Sensory evaluation by quantitative descriptive analysis. Food Technol 28: 24-34 

  24. Kai S, Morofuji A, Yoshikawa M, Otsuki C. 2003. Enhanced gas barrier PET bottles. JPI Journal 41: 674-680 

  25. Prattipati V, Hu YS, Bandi S, Schiraldi DA, Hiltner A, Baer E, Mehta S. 2005. Effect of compatibilization on the oxygen-barrier properti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m-xylylene adipamide) blends. J Appl Polymer Sci 97: 1361-1370 

  26. Lim DC, Shim KH, Hur JH, Choi JS, Suh JS. 1990. Changes of major component during thee manufacture of green tea. Inst J Agr Res Util Gyeongsang Natl Univ 24: 123-130 

  27. Chu DC, Juneja LR. 1997. General chemical composition of green tea and its infusion. In Chemistry and applications of green tea. CRC Press, Boca Raton, NY, USA. p 13-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