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도씨 카테킨류의 마이크로웨이브 추출특성
Characteristics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Catechins from Grape Seed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510 - 515  

이은진 (대구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  최상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현구 (한국식품연구원) ,  권중호 (경북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포도씨에 함유된 기능성 카테킨류를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해서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하였다. 에탄올의 마이크로웨이브 가열특성을 확인하였을 때 100W에서 3분 이내에 끓는점에 도달하였다.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microwave power 0-120W, 에탄올 농도 0-100%, 추출시간 1-5분)을 설계하고, 조건별 추출물의 카테킨류 함량을 회귀분석함으로써 최적 추출조건을 예측하였다. (+)-Catechin의 최적 추출조건은 microwave power 104.10W, 에탄올 농도 45.35%, 추출시간 4.89분으로, 예측된 정상점은 최대점을 보이면서 최대 추출 값이 137.99 mg%였다. Procyanidin $B_2$의 최적 추출조건은 133.16W, 46.16%, 4.49분이며, 최대 추출 값은 72.78 mg%으로 예측되었다. 또한 (-)-epicatechin은 136.00W, 41.37%, 4.39분에서 최대 222.38 mg%를 추출할 수 있으며, (-)-epicatechin gallate는 143.20W, 37.51% 및 1.88min에서 9.59mg%를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이때 (+)-catechin, procyanidin $B_2$ 및 (-)-epicatechin은 microwave power, 에탄올 농도, 추출시간 등 3가지 독립변수에 모두 유사하게 영향을 받았지만, (-)-epicatechin gallate는 microwave power에만 주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icrowave energy was applied to the extraction of functional catechins from grape seed. The solvent, absolute ethanol, reached the boiling point when exposed for less than 3 min microwave treatment at 100 W.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in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MAE), including mic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기존의 추출법들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에너지의 소비가 적으며 단시간에 목적성분을 추출할 수있는 마이크로웨이브 추출공정(microwave-assisted extraction, MAE)이 개발되었으며(19), 현재까지 육류제품의 조지방 추출 (20,21), ergosterol과 지방산(22), essential oil(23), 포도주스와 포도로부터 향기성분 전구체의 추출(24), 인삼성분의 추출(25), 양념채소류 올레오레진의 추출(26) 등에 관하여 보고되면서 용매 및에너지 사용량이 경제적이며, 환경친화적인 추출방법인 측면에서 적용가능성이 인정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에서 발생되는 폐자원 포도씨로부터 주요 카테킨류의 효과적인 추출방법을 연구하고자, 선택적 가열특성이 알려진 마이크로웨이브 에너지를 이용하여 중심합성계획에 따라 추출조건을 설계하고 추출물의 품질특성을 반응표면 회귀 분석하여 카테킨 성분 별 추출특성을 확인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씨의 폴리페놀성분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열수, 에탄올 또는 아세톤을 용매로 한 포도종자추출물은 천연첨가물(3)로서 proanthocyanidin 함량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포도씨유 제품은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으로 등재되어 기능성 지방산 및 cathechin 함량(30 mg/100 g)을 기준규격으로 정하고 있다(4). 포도씨의 폴리페놀성분은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3-O-gallate 등의 단량체와 epicatechin-(4β→8)-epicatechin(B2) 및 epicatechin-3-O-gallate- (4β→8)-catechin(B1-3-O-gallate) 등의 이량체, flavan-3-ol 형태의 화합물이 C4-C8 혹은 C4-C6에 결합되어 있는 다량체 proanthocyanidin을 포함하고 있으며(5-9), 이들의 구조 및 분리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10,11). 특히 proanthocyanidin은 순환기 질환의 치료제로 의약품의 활성성분이 되며(12), 항산화작용(2,13), 항균 작용(14,15)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포도씨유 제품은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으로 등재되어 무엇을 기준규격으로 정하고 있는가? 특히, 포도 가공제품의 소비가 증가하면서 대량으로 발생되는 포도씨의 효과적인 활용방안이 요구되고 있다(2). 특히 열수, 에탄올 또는 아세톤을 용매로 한 포도종자추출물은 천연첨가물(3)로서 proanthocyanidin 함량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포도씨유 제품은 고시형 건강기능식품으로 등재되어 기능성 지방산 및 cathechin 함량(30 mg/100 g)을 기준규격으로 정하고 있다(4). 포도씨의 폴리페놀성분은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3-O-gallate 등의 단량체와 epicatechin-(4β→8)-epicatechin(B2) 및 epicatechin-3-O-gallate- (4β→8)-catechin(B1-3-O-gallate) 등의 이량체, flavan-3-ol 형태의 화합물이 C4-C8 혹은 C4-C6에 결합되어 있는 다량체 proanthocyanidin을 포함하고 있으며(5-9), 이들의 구조 및 분리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10,11).
포도씨의 폴리페놀성분 중에서 다량체인 proanthocyanidin의 특징은 무엇인가? 포도씨의 폴리페놀성분은 (+)-catechin, (-)-epicatechin, (-)-epicatechin-3-O-gallate 등의 단량체와 epicatechin-(4β→8)-epicatechin(B2) 및 epicatechin-3-O-gallate- (4β→8)-catechin(B1-3-O-gallate) 등의 이량체, flavan-3-ol 형태의 화합물이 C4-C8 혹은 C4-C6에 결합되어 있는 다량체 proanthocyanidin을 포함하고 있으며(5-9), 이들의 구조 및 분리에 대한 연구도 수행되고 있다(10,11). 특히 proanthocyanidin은 순환기 질환의 치료제로 의약품의 활성성분이 되며(12), 항산화작용(2,13), 항균 작용(14,15) 등의 여러 가지 생리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포도씨에 함유된 유용성분의 활용은 폐자원의 이용 및 기능성 소재의 확보 측면에서 바람직한 방안이라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Kwon JH, Park KH, Park YK, Lee KT, Chi SH, Hwang KT. Food Chemistry. Shinkwang Press, Seoul, Korea. pp. 275-278 (2008) 

  2. Chung HY, Yoon SJ.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893-898 (2002) 

  3. KFDA. Food Additives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992-993 (2003) 

  4. KFDA. Health Functional Food Cod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Seoul, Korea. pp. 100-101 (2006) 

  5. Prieur C, Rigaud J, Cheynier V, Moutounet M. Oligomeric and polymeric procyanidins from grapes. Phytochemistry. 36: 781-784 (1994) 

  6. Ricardo da Silva JM, Rigaud J, Cheynier V, Cheminat A, Moutounet M. Procyanidin dimers and trimers from grape seeds. Phytochemistry. 30: 1259-1264 (2002) 

  7. Pekic B, Kovac V, Alonso E, Revilla E. Study of the extrac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grape seeds. Food Chem. 61: 201-206 (1998) 

  8. Escribano-Bailon T, Gutierrez-Fernandez Y, Rivas-Gonzalo JC, Santos-Buelga C. Charaterization of procyanidins of vinifera variety Tinta del pais grape seeds. J. Agr. Food Chem. 40: 1794- 1799 (1992) 

  9. Gabetta B, Fuzzati N, Griffini A, Lolla E, Pace R, Ruffilli T, Peterlongo F. Characterization of proanthocyanidins from grape seeds. Fitoterapia 71: 162-175 (2000) 

  10. Saucier C, Mirabel M, Daviaud F, Longieras A, Glories Y. Rapid fraction of grape seed proanthocyanidins. J. Agr. Food Chem. 49: 5732-5735 (2001) 

  11. Peng Z, Hayasaka Y, Iland PG, Sefton M, Hoj P, Waters EJ. Quantitative analysis of polymeric procyanidins (tannins) from grape (Vitis venifera) seeds by reverse phase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J. Agr. Food Chem. 49: 26-31 (2001) 

  12. Tabib K, Bitri L, Besancon P, Rouanet J. Polymeric grape seed tannins prevent plasma-cholesterol changes in high-cholesterol-fed rats. Food Chem. 49: 403-406 (1994) 

  13. Jayaprakasha GK, Singh RP, Sakariah KK. Antioxidant activity of grape seed (Vitis vinifera) extracts on peroxidation models in vitro. Food Chem. 73: 285-290 (2001) 

  14. Jayaprakasha GK, Selvi T, Sakariah KK.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grape (Vitis vinifera) seed extracts. Food Res. Int. 36: 117-122 (2003) 

  15. Chung HY, Pack DK.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 seed extra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09-114 (2003) 

  16. Jang JK, Han JY. The antioxidant ability of grape seed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524-528 (2002) 

  17. Pack SJ, Lee HY, Oh DH. Free radical scavenging effect of seed and skin extracts from 'Campbell Early' grape (Vitis labruscana B.). J. Korean Soc. Food Sci. Nutr. 32: 115-118 (2003) 

  18. Lee WY, Chang KS, Choi YH. Extraction of phenolic compounds from grape seed using supercritical $ CO_2$ and ethanol as a co-solvent. Korean J. Posthar. Sci. Technol. 7: 177-183 (2000) 

  19. ParJRJ, Sigouin M, Lapointe J. Microwave-assisted natural products extraction. US Patent 5,002,784,26 (1991) 

  20. ParJRR, Matni G, Yaylayan V, Belanger JMR, Li K, Rule C, Thibert B, Mathe D, Racquqult P. Use of the Microwave-assisted process in extraction of fat from meat, dairy and egg product under atmosphere pressure conditions, J. Assoc. Off. Ama. Chem. 80: 928-933 (1997) 

  21. Lopez-Avila V, Young R, Tepitsky N. Microwave-assisted process as an alternative to soxhlet, sonication, and supercritical fluid process. J. Assoc. Off. Ama. Chem, 79: 142-156 (1996) 

  22. Young JC. Microwave-assisted process of the fungal metabolite ergosterol and total fatty acids. J. Agr. Food Chem. 43: 2904- 2910 (1995) 

  23. Chen SS, Spiro M. Study of microwave process of essential oil constituents from plant materials. J. Microwave Power EE 29: 231-241 (1994) 

  24. Bureau S, Razungles A, Baumes R, Bayonove C. Glycosylated flavor precursor extraction by microwave from grape juice and grapes. J. Food Sci. 61: 557-561 (1996) 

  25. Kwon JH, Blanger JMR, ParJRJ, Yaylayan VA. Application of microwave- assisted process (MAP) to the fast extraction of ginseng saponins. Food Res. Int. 36: 491-498 (2003) 

  26. Lee JE, Kwon JH, Kim HK. Pre-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conditions for oleoresins from dried red pepper. Korean J. Postharvest Sci. Technol. 7: 267-272 (2000) 

  27. AOAC. Official Method of Analysis of AOAC Intl. 15th ed. Method I. 976.06, 954.02, 942.05, 989.03.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1990) 

  28. Moon SO, Lee JY, Kim EJ, Choi SW. An improved method for determination of catechin and its derivatives in extract and oil of grape seeds.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576-585 (2003) 

  29. Kwon JH, Blanger JMR, ParJRJ. Optimization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MAP) for ginseng components by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Agr. Food Chem. 51: 1807-1810 (2003) 

  30. Kwon JH, Lee GD, Belanger JMR, Pare JRJ. Effect of ethanol concentration on the efficiency of extraction of ginseng saponins when using a microwave- assisted process (MAP). Int. J. Food Sci. Tech. 38: 615-622 (2003) 

  31. Lee GD, Lee JE, Kwon JH. Application of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in food industry. Food Sci. Ind. 33: 33-45 (2000) 

  32. Myers RH.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Allyn and Bacon Inc., Boston, MA, USA. pp. 61-28 (1971) 

  33. Gontard N, Guilbert S, Cuq JL. Edible wheat gluten films: Influence of the main process variables on film propertie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Sci. 57: 190-196 (1992) 

  34. SAS Institute Inc. SAS User's Guide. Statistical Analysis Systems Institute, Cary, NC, USA (2002) 

  35. Matha LA, James PB. The Mathematica Handbook, compatible with Mathematica Version 2.0. Academic Press, Inc., Harcourt Brace & Co., MA, USA (1992) 

  36. Kwon JH. High speed extraction of phytochemicals from food and natural products using microwave-assisted process. Food Sci. Ind. 31: 43-55 (1998) 

  37. Lee EJ, Kwon JH. Establishment of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for grape seed ingredients by extraction conditions. Korean J. Food Preserv. 13: 216-222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