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의 섭취가 BALB/c mice의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
Immunomodulatory Effects of Propolis and Fermented-propolis in BALB/c Mic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40 no.5 = no.201, 2008년, pp.574 - 579  

김윤희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 개발센터) ,  권혁세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 개발센터) ,  김대환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 개발센터) ,  박일환 (한국양봉프로폴리스) ,  박상재 (한국양봉프로폴리스) ,  신현경 (한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진경 (한림대학교 식의약품의 효능평가 및 기능성 소재 개발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체중 kg 당 50, 100, 200 mg/kg의 농도로 BALB/c 마우스에게 14일 동안 연속적으로 경구투여한 후, 이러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비장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증식능, 림프구의 아집단 비율의 변화 및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또한 비장 림프구로부터 NK 세포를 분리하여 YAC-1 세포를 살해하는 NK 세포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의 투여에 의해 비장 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T 림프구($CD3^+$) 비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CD4^+$$CD8^+$ T 림프구 비율의 증가에 기인하였다. 비장 및 창자간막 림프절로부터 분리한 림프구의 증식능도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투여에 의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Th-1/Th-2 사인토카인 분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한 결과 비장림프구에서는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이 프로폴리스 추출물에 비하여 IFN-$\gamma$, IL-2, IL-4의 분비를 증강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자간막 림프구의 Th-2 사이토카인 분비증강은 고농도(200 mg/kg)의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 투여군에서만 관찰되었다.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투여에 의해 YAC-1 세포를 살해하는 NK 세포의 활성도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프로폴리스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경구투여는 체내 면역기능을 증강 시킬 수 있는 면역조절제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ropolis is the generic term for the resinous substance collected by honey bees from a variety of plant sources. In this study, we have assessed the immunomodulatory properties of propolis (P) and fermented-propolis (FP) in BALB/c mice. Mice were subjected to gavage once a day (for 14 days) with 50,...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면역조절작용에 있어서 프로폴리스의 효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비하며, 프로폴리스에 효모를 접종하여 발효시킨 물질에 대한 면역조절능에 관한 연구는 보고된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실험동물에게 경구 투여함으로써 이들 추출물이 면역활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의 투여에 의한 면역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프로폴리스 추출물 및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을 체중 kg 당 50, 100, 200 mg/kg의 농도로 BALB/c 마우스에게 14일 동안 연속적으로 경구투여한 후, 이러한 시험물질 투여에 기인한 비장 림프구와 창자간막 림프구의 증식능, 림프구의 아집단 비율의 변화 및 사이토카인 분비능을 측정하였다.
  • 이렇듯 식품을 포함한 천연물유래의 추출물의 효능은 각 추출물 속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의 종류 및 양에 의해 결정된다고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프로폴리스를 발효한 추출물의 생리활성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이 상이할 것으로 유추하여, 각 추출물이 면역체계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발효 프로폴리스 추출물은 프로폴리스 추출물과 비교하여 비장세포의 사이토카인 분비능 및 NK 세포의 활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면역조절제의 효능은? 최근 천연 식물자원 중에 함유된 생리활성 성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들 생리활성 성분을 대상으로 면역체계의 활성을 유도하여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부작용이 적은 면역조절제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2). 이들 천연물 유래의 면역조절제는 대식세포, natural killer(NK) 세포 및 T 림프구의 활성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이들 세포로부터 분비되어 생리활성을 조절하는 interleukin(IL)-2 및 interferon(IFN)-γ 등과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 분비를 촉진시켜, 면역체계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5).
프로폴리스의 특징은 무엇인가? 프로폴리스는 꿀벌이 유해한 세균이나 바이러스로부터 벌집을 보호하기 위해서 수목에서 모은 수액에 타액을 혼합시켜 만든 수지성, 점착성, 고무상의 물질로 beeswax, resin, flavonoids, organic acids, caffeic acid 등의 다양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프로폴리스는 기원전 300년경부터 유럽이나 브라질 등에서 민간요법의 약제로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천연물 유래의 면역조절제인 프로폴리스는 최근 연구를 통해 어떤 활성을 보이는가? 일례로 기원전 1세기경에 Plink의 저서 ‘Historia naturalis’에서는 프로폴리스가 신경통 격감, 부종억제, 농양 치료제 등으로 사용하여 왔다고 보고하고 있다(6,7). 이처럼 고대로부터 생리활성 물질로 사용되어 오던 프로폴리스는 최근 다양한 연구에 의해 항암(8-10), 항균(11), 항박테리아(12), 항바이러스(13), 항염증(14,15) 및 항산화(16)등의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밝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alem ML. Immunomodulatory and therapeutic properties of the Nigella sativa L. Seed. Int. Immunopharmacol. 5: 1749-1770 (2005) 

  2. Ryu HS, Kim J, Kim HS. Enhancing effect of Sorghum bicolor L. Moench (Sorghum, su-su)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macrophage cell activation. J. Korean Food Nutr. 19: 176-182 (2006) 

  3. Agarwal BB, Traquna PR, Eessalu TE. Modulation of receptor and cytotoxic response of tumor necrosis factor-L by various lectins. J. Biol. Chem. 261: 13652-13656 (1986) 

  4. Belardelli F, Ferrantimi M. Cytokines as a link between innate and adaptive antitumor immunity. Trends Immunol. 23: 201-208 (2002) 

  5. Diefenbach A, Rauler DH. The innate immune response to tumors and its role in the induction of T-cell immunity. Immunol. Rev. 188: 9-21 (2002) 

  6. Kumazawa SH, Yoneda M, Shibata I, Kanaeda J, Hamasaka T, Nakayama TS. Direct evidence for the plant origin of Brazilian propolis by the observation of honeybee behavior and phytochemical analysis. Chem. Pharm. Bull. 51: 740-742 (2003) 

  7. Bankova V. Recent trends and important developments in propolis research.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 29-32 (2005) 

  8. Bazo AP, Rodrigues MAM, Sforcin JM, de Camargo JLV, Ribeiro LR, Salvadori DMF. Protective action of propolis on the rat colon carcinogenesis. Teratogen. Carcin. Mut. 22: 183-194 (2002) 

  9. El-khawaga O-AY, Salem TA, Elshal MF. Protective role of Egyptian propolis against tumor in mice. Clin. Chim. Acta 338: 11-16 (2003) 

  10. Orsolic N, Kosalec I, Ivan B. Synergistic antitumor effect of polyphenolic components of water soluble derivative of propolis against ehrlich ascites tumour. Biol. Pharm. Bull. 28: 694-700 (2005) 

  11. Ivanovska N, Neychev H, Stefanova Z, Bankova V, Popov S. Influence of cinnamic acid on lymphocyte proliferation, cytokine release, and Klebsiella infection in mice. Apidologie 26: 73-81 (1995) 

  12. Sforcin, JM, Fernandes JA, Lopes CAM, Bankova V, Funari SR. Seasonal effect on Brazilian propolis antibacterial activity. J. Ethnopharmacol. 73: 243-249 (2000) 

  13. Vynograd N, Vynograd I, Sosnowski Z. A comparative multi-centre study of the efficacy of propolis, acyclovir and placebo in the treatment of genital herpes (HSV). Phytomedicine 7: 1-6 (2000) 

  14. Khayyal MT, El-Ghazaly MA, El-Khatib AS. Mechanisms involved in the anti-inflammatory effect of propolis extract. Drug Exp. Clin. Res. 19: 197-203 (1993) 

  15. Ledon N, Casaco A, Gonzalez R, Merino N, Gonzalez A, Tolon Z. Antipsoriatic, anti-inflammatory, and analgesic effects of an extract of red propolis. Acta Pharmacol. Sin. 18: 274-276 (1997) 

  16. Jeong IY. Antioxidant activity and radioprotection of two flavonoids from propoli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62- 166 (2005) 

  17. Park JH, Lee JK, Kim HS, Chung ST, Eom JH, Kim KA, Chung SJ, Paik SY, Oh HY. Immunomodulatory effect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in BALB/c mice. Int. Immunopharmacol. 4: 429- 436 (2004) 

  18. Andreia PD, Bianca PO, Fatima HMG, Solange L, De Castro. Treatment of Trypanosoma cruzi-infected mice with propolis promotes changes in the immune response. J. Ethnopharmacol. 103: 187-193 (2006) 

  19. Combe CL, Curiel TJ, Moretto MM, Khan IA. NK cells help to induce $CD8^+$ T cell immunity against Toxoplasma gondii in the absence of $CD4^+$ T cells. Infect. Immun. 73: 4913-4921 (2005) 

  20. Takagi Y, Choi IS, Yamashita T, Nakamura T, Suzuki I, Hasegawa T, Oshima M, Gu YH. Immune activation and radioprotection by propolis. Am. J. Chin. Med. 33: 231-240 (2005) 

  21. Sa-Nunes A, Faccioli LH, Sforcin JM. Propolis: Lymphocyte proliferation and IFN-gamma production. J. Ethnopharmacol. 87: 93- 97 (2003) 

  22. Wu D, Pae M, Ren Z, Guo Z, Smith D, Meydani SN.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white button mushroom enhances natural killer cell activity in C57BL/6 mice. J. Nutr. 137: 1472-1477 (2007) 

  23. Song JJ, Gu Cho J, Hwang SJ, Gun Cho C, Park SW, Chae SW. Inhibitory effect of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on LPSinduced inflammation of human middle ear epithelial cells. Acta Otolaryngol. 8: 1-5 (2008) 

  24. Jung WK, Lee DY, Choi YH, Yea SS, Choi I, Park SG, Seo SK, Lee SW, Lee CM, Kim SK, Jeon YJ, Choi IW.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attenuates allergic airway inflammation and hyperresponsiveness in murine model of ovalbumin-induced asthma. Life Sci. 82: 797-805 (2008) 

  25. Ribeiro U Jr, Safatle-Ribeiro AV. Caffeic acid phenethyl ester (CAPE) may be a promising adjuvant treatment in gastric cancer. J. Clin. Gastroenterol. 41:871-873 (2007) 

  26. Hsu LY, Lin CF, Hsu WC, Hsu WL, Chang TC. Evaluation of polyphenolic acid esters as potential antioxidants. Biol. Pharm. Bull. 28: 1211-1215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