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Acetaminophen과 Acetaldehyde로 유발된 간세포독성에 대한 애엽 물추출물의 영향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e Argi Folium on Hepatotoxicity Caused by Acetaminophen and Acetaldehyde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22 no.5, 2008년, pp.1210 - 1214  

박완수 (경원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Artemisiae Argi Folium (WAAF) on hepatotoxicity caused by acetaminophen (AAP) and acetaldehyde which are regarded as hepatotoxin. Artemisiae Argi Folium was known to have the antibacterial, immune-enhancing, and anticoagula...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간경(肝經)으로 귀경(歸經)하는 약물 중의 하나인 애엽(艾葉)이 대표적 간독성물질로 알려진 Acetaminophen (AAP) 과 Acetaldehyde 에 의해서 유발되는 간조직세포의 병리적현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한 결과 독성완화의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그러므로 여러가지 산화적 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들로 인해 인간 간조직세포인 HepG2 에서 발생하는 hydrogen peroxide 의 수준을 dihydrorhodamine 123 assay 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험에서는 AAP, acetaldehiyde 등이유발하는 세포 내 H2O2 생성억제에 대한 시료의 영향을 측정하였다. 96 well plate 에 1x104 cells/well 의 농도로 분주되도록 1x105 cells/mL 의 cell 을 100 um씩 넣고 37C, 5% CO2 incubator 에서 24 시간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버리고 배양세포 표면을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용액으로 씻어주었다.
  • 본 연구에서는 간독성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AAP 와 acetaldehyde 에 의한 인간 간조직세포 HepG2 cell 의 세포 내 hydrogen peroxide 생성억제와 NO 생성감소에 대한 애엽 열수추출물 WAAF 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울, 영림사, pp 405-407, 1991 

  2. 김호철. 한약약리학. 서울, 집문당, pp 309-311, 2001 

  3. Chitturi, S., Farrell, G.C. Hepatotoxic slimming aids and other herbal hepatotoxins. J Gastroenterol Hepatol. 23(3):366-373, 2008 

  4. Zhou, S.F., Xue, C.C., Yu, X.Q., Wang, G. Metabolic activation of herbal and dietary constituents and its clinical and toxicological implications: an update. Curr Drug Metab. 8(6):526-553, 2007 

  5. Savvidou, S., Goulis, J., Giavazis, I., Patsiaoura, K., Hytiroglou, P., Arvanitakis, C. Herb-induced hepatitis by Teucrium polium L.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Eur J Gastroenterol Hepatol. 19(6):507-511, 2007 

  6. Saad, B., Azaizeh, H., Abu-Hijleh, G., Said, O. Safety of traditional arab herbal medicine.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3(4):433-439, 2006 

  7. Yuan, L.P., Chen, F.H., Ling, L., Dou, P.F., Bo, H., Zhong, M.M., Xia, L.J. Protective effects of total flavonoids of Bidens pilosa L. (TFB) on animal liver injury and liver fibrosis. J Ethnopharmacol. 116(3):539-546, 2008 

  8. Yen, F.L., Wu, T.H., Lin, L.T., Cham, T.M., Lin, C.C. Nanoparticles formulation of Cuscuta chinensis prevents acetaminophe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Food Chem Toxicol. 46(5):1771-1777, 2008 

  9. Lin, H,M., Tseng, H.C., Wang, C.J., Lin, J.J., Lo, C.W., Chou, F.P. Hepatoprotective effects of Solanum nigrum Linn extract against CCl(4)-induced oxidative damage in rats. Chem Biol Interact. 171(3):283-293, 2008 

  10. Balderas-Renteria, I., Camacho-Corona, Mdel. R., Carranza-Rosales, P., Lozano-Garza, H.G., Castillo-Nava, D., Alvarez-Mendoza, F.J., Tamez-Cantu, E.M. Hepatoprotective effect of Leucophyllum frutescens on Wistar albino rats intoxicated with carbon tetrachloride. Ann Hepatol. 6(4):251-254, 2007 

  11. Kim, E.Y., Kim, E.K., Lee, H.S., Sohn, Y., Soh, Y., Jung, H.S., Sohn, N.W. Protective effects of Cuscutae semen against dimethylnitrosamine-induced acute liver injury in Sprague-Dawley rats. Biol Pharm Bull. 30(8):1427-1431, 2007 

  12. Zhong, M.M., Chen, F.H., Yuan, L.P., Wang, X.H., Wu, F.R., Yuan, F.L., Cheng, W.M. Protective effect of total flavonoids from Bidens bipinnata L. against carbon tetrachloride-induced liver injury in mice. J Pharm Pharmacol. 59(7):1017-1025, 2007 

  13. Jirapongsananuruk, O., Malech, H.L., Kuhns, D.B., Niemela, J.E., Brown, M.R., Anderson-Cohen, M., Fleisher, T.A. Diagnostic paradigm for evaluation of male patients with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based on the dihydrorhodamine 123 assay. J Allergy Clin Immunol. 111(2):374-379, 2003 

  14. Richardson, M.P., Ayliffe, M.J., Helbert, M., Davies, E.G. A simple flow cytometry assay using dihydrorhodamine for the measurement of the neutrophil respiratory burst in whole blood: comparison with the quantitative nitrobluetetrazolium test. J Immunol Methods. 219(1-2):187-193, 1998 

  15. Crow, J.P. Dichlorodihydrofluorescein and dihydrorhodamine 123 are sensitive indicators of peroxynitrite in vitro: implications for intracellular measurement of reactive nitrogen and oxygen species. Nitric Oxide. 1(2):145-157, 1997 

  16. van Pelt, L.J., van Zwieten, R., Weening, R.S., Roos, D., Verhoeven, A.J., Bolscher, B.G. Limitations on the use of dihydrorhodamine 123 for flow cytometric analysis of the neutrophil respiratory burst. J Immunol Methods. 191(2):187-196, 1996 

  17. Roesler, J., Hecht, M., Freihorst, J., Lohmann-Matthes, M.L., Emmendorffer, A. Diagnosis of chronic granulomatous disease and of its mode of inheritance by dihydrorhodamine 123 and flow microcytofluorometry. Eur J Pediatr. 150(3):161-165, 1991 

  18. Kim, M.J., Kim, D.H., Lee, K.W., Yoon, D.Y., Surh, Y.J. Jaceosidin induces apoptosis in ras-transformed human breast epithelial cells through gener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Ann N Y Acad Sci. 1095: 483-495, 2007 

  19. Jeong, M.A., Lee, K.W., Yoon, D.Y., Lee, H.J. Jaceosidin, a pharmacologically active flavone derived from Artemisia argyi, inhibits phorbol-ester-induced upregulation of COX-2 and MMP-9 by blocking phosphorylation of ERK-1 and -2 in cultured human mammary epithelial cells. Ann N Y Acad Sci. 1095: 458-466, 2007 

  20. Lee, H.G., Yu, K.A., Oh, W.K., Baeg, T.W., Oh, H.C., Ahn, J.S., Jang, W.C., Kim, J.W., Lim, J.S., Choe, Y.K., Yoon, D.Y. Inhibitory effect of jaceosidin isolated from Artemisiaargyi on the function of E6 and E7 oncoproteins of HPV 16. J Ethnopharmacol. 98(3):339-343, 2005 

  21. Adams, M., Efferth, T., Bauer, R. Activity-guided isolation of scopoletin and isoscopoletin, the inhibitory active principles towards CCRF-CEM leukaemia cells and multi-drug resistant CEM/ADR5000 cells, from Artemisia argyi. Planta Med. 72(9):862-864, 2006 

  22. 정대영, 박시원. 황해쑥 물분획물의 L1210 세포에 대한 세포독성과 항산화효소 활성변화. 약학회지 46(1):39-46, 2002 

  23. 김경하, 정대영, 민태진, 박시원. 황해쑥(Artemisia argyi)의 열수 및 메탄올 추출액은 H9(ATCC HTB176)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및 항산화효소 활성. 약학회지 43(5):598-605, 1999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