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숙성기간에 따른 머루와인의 품질적 특성
Qualitative Proper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4, 2009년, pp.548 - 553  

강병태 (김천대학 호텔조리제빵과) ,  윤옥현 (김천대학 식품영양과) ,  이재우 (김천대학 식품영양과) ,  김순희 (김천대학 호텔조리제빵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오크통에서 숙성기간이 다른 머루와인의 페놀 화합물 함량과 색, 항산화 활성 등을 분석하였다. 페놀 화합물의 함량은 숙성기간이 긴 머루와인일수록 감소하였는데, 그 경향은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총 페놀, 안토시아닌, 탄닌은 숙성기간이 길수록 감소하였고 플라보노이드는 숙성 2년 와인에서 크게 낮았으나 그 이후에는 차이가 없었다. 특히, 총 페놀과 안토시아닌은 유의성 있는 함량 차이를 보였다. 탄닌의 중합도와 축합된 탄닌의 함량도 숙성기간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와인의 명도(L*)는 숙성기간이 길수록 높아져 점차 밝은 색으로 변화하였으나 색의 강도(CI)는 감소하였는데, 대조군인 포도와인의 강도보다는 높았다. 머루와인의 적색소(a)는 감소하였고, 노란색소(b)와 색상(hab)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숙성기간이 1년인 머루와인의 자유라디칼 포획효과가 87% 내외로 항산화제 BHA(90%)와 Quercetin(92%)만큼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활성은 장기 숙성와인에서도 80% 내외를 유지하였다. 페놀 화합물의 종류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의 상관관계를 회기 분석한 결과, 총 페놀, 플라보노이드, 안토시아닌, 탄닌의 상관계수($r^2$)가 각각 0.7625, 0.7005, 0.1136, 0.9189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Qualitative properties- polyphenol compounds(total phenolics, anthocyanin, flavonoids, tannins), color parameter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wild grape wine having different aging periods were studi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ics and anthocyanin decreased significantly in accordance with ag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숙성기간이 다른 머루와인의 품질적 특성을 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와인의 색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페놀 화합물의 종류와 항산화 활성과의 상관관계를 규명함으로써 머루와인의 품질에 미치는 숙성기간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3 ㎖를 차례로 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 대신 증류수 1 ㎖를 가하였다. 시작 시간으로부터 6분이 경과한 후 1 MNaOH 2 ㎖를 가하고 증류수를 추가로 가하여 10 ㎖로 만든 다음, 510 ㎚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와인의 품질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무엇인가? 폴리페놀 화합물과 와인의 색은 와인의 품질적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페놀 화합물은 식물이 갖고 있는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로 anthocyanin, flavonol, tannin 등의 종류가 다양한 생화학적, 약리학 기능-항산화, 항암, 항균, 항알러지, 혈관이완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azza & Miniati 1993; Girard & Mazza 1998).
머루란 무엇인가? 머루(wild grape, Vitis cognetiea)는 포도과의 속하는 넝쿨성 목본식물로 한국, 일본 등지에 야생으로 많이 자라고 있으며, 최근 머루 가공품 생산을 위해 이를 재배하는 농가가 늘고있다. 성숙한 머루 열매는 크기가 8 ㎜ 내외로 포도보다 작고, 짙은 흑자색을 띄며, 신맛이 강한 편이나, 다량의 무기질과 유기산, 비타민류가 풍부하여 머루즙이나 머루주 형태로 음용되고 있다(Hwang & Ahn 1975).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머루를 어떤 용도로 이용해 왔는가? 성숙한 머루 열매는 크기가 8 ㎜ 내외로 포도보다 작고, 짙은 흑자색을 띄며, 신맛이 강한 편이나, 다량의 무기질과 유기산, 비타민류가 풍부하여 머루즙이나 머루주 형태로 음용되고 있다(Hwang & Ahn 1975). 예로부터 민간에서는 설사, 두통, 괴혈병 치료나 이뇨제로 열매나 줄기, 뿌리 등을 이용하여 왔다(JNMC 1977). 최근 와인 소비 증가로 국내산 와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머루주 발효에 대한 관심도 더불어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rnous A, Makris DP, Kefalas P. 2001. Effect of principal polyphenolic components in relation to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aged red wines. J Agric Food Chem 49:5736-5742 

  2.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3. Boido E, Alcalde-Eon C, Carrau F, Dellacassa E, Rivas-Gonzalo C. 2006. Aging effect on the pigment composition and color of Vitis vinifera L. Cv. tannat wines. Contribution of the main pigment families to wine color. J Agric Food Chem 

  4. Cheynier V, Duenas-Paton M, Salas E, Maury C, Souquet JM, Sami-Manchado P, Fulcrand H. 2006. Structure and properties of wine pigments and tannins. Am J Enol Vitic 57:298-305 

  5. Choi SY, Cho HS, Kim HJ, Ryu CH, Lee JO, Sung NJ. 2006. Physiochemical analysis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wild grape(Vitis coignetiea) juice and its wine. Korean J Food & Nutr 19:311-317 

  6. Drinkine J, Lopes P, Kennedy JA, Teissedre P, Saucier C. 2007. Ethylidene-bridged flavan-3-ols in red wine and correlation with wine age. J Agri Food Chem 55:6292-6299 

  7. Girard B, Mazza G. 1998. Functional grape and citrus products. In Functional Foods: Biochemical and Processing Aspects. pp139-191. Technomic Publishing Co. Inc. Lancaster. PA 

  8. Glories Y. 1978. Recherches sur la matiere colorante des vins rouges. These de doctorates sciences, Universite de bordeaux II. France 

  9. He J, Santos-Buelga C, Silva AM, Mateus N, de Freitas V. 2006. Isola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zation of new anthocyaninderived yellow pigments in aged red wine. J Agric Food Chem 54:9598-9603 

  10. Hwang JK, Ahn SY. 1975. Studies on the anthocyanins in wild vines. J Korean Agric Chem Soc 18:183-193 

  11. Jiangsu New Medical College. 1977. Dictionary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Vol 2). pp2315 Shanghai 

  12. Kim SK. 1996. Deacidification of new wild grape wine. Korean J Food & Nutr 9:265-270 

  13. Kim SK. 2008. Optimal condition for deacidification fermentation of wild grape wine by mixed culture. J Korean Soc Appl Biol Chem 51:17-23 

  14. Markakis P. 1982. Stability of anthocyanins in foods. In Anthocyanins as Food Colors. pp163-180. Academic Press Inc. London. UK 

  15. Mazza G, Miniati E. 1993. In Anthocyanins in Fruits, Vegetables and Grains. pp149-199. CRC Press. Boca Raton 

  16. Miller GL. 1959. Use of dinitrosalicylic acid reagent for determination of reducing sugar. Anal Chem 31:426-428 

  17. National Tax Service Technical Insititute. 1999. Alcoholic Beverage Analysis rule. pp.196-197. Sejung Pub. Co. Seoul. Korea 

  18. Ribereau-Gayon P, Glories Y, Maujean A, Dubourdieu D. 2000. Handbook of Enology(2nd) Vol.2. pp.177. John Wiley & Sons Ltd. England 

  19. Ribereau-Gayon P, Stonestreet E. 1965. Determination of anthocyanins in red wine. Bull Soc Chim 9:2649-2652 

  20. Ribereau-Gayon P, Stonestreet E. 1966. Dosage des tanins du vin rouge et determination de leur structure. Chim Anal 48:188-196 

  21. Santos-Buelga C, Scalbert A. 2000. Proanthocyanidins and tanninlike compounds-Nature, occurrence, dietary intake and effects on nutrition and health. J Sci Food Agric 80:1094-1117 

  22. Simonetti P, Pietta P, Testolin G. 1997. Polyphenol content and total antioxidant potential of selected Italian wines. J Agric Food Chem 45:1152-1155 

  23. Singleton V, Rossi JA Jr.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144-158 

  24. Soleas GJ, Tomlinson G, Diamandis EP, Goldberg DM. 1997. Relative contributions of polyphenolic constituents to the antioxidant status of wines: Development of a predictive model. J Agric Food Chem 45:3995-4003 

  25. Vidal S, Francis L, Noble A, Kwiatkowski M, Cheynier V. 2004. Taste and mouth-feel properties of different types of tanninlike polyphenolic compounds and anthocyanins in wine. Anal Chim Acta 513:57-65 

  26. Zhishen J, Mengcheng T, Jianming W. 1999. The determiation of flavonoid contents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27. 윤옥현, 강병태, 이재우, 한만덕, 최영훈. 2005. 자두주 생성균 주 사카로마이세스속 케이씨에스 7 및 이를 이용한 자두주의 제조방법. 특허 제0483228호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