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aronia wine (Aronia melanocarpa (0~100%)). After 12 days of fermentation, the alcohol contents of aronia wines ranged between 9.0~12.0%. The pH level and total acidity of aronia wines were 3.20~3.68 and 0.57~0.76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아로니아의 가공품 중에 하나로 와인을 제조하면 특유의 진한 자줏빛 색소와 떫은 맛이 한국와인의 단점으로 여기던 바디감의 가벼움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며, 많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기능성이 향상된 고품질 와인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와 캠벨얼리의 혼합 비율에 따라 와인을 제조하여 와인의 품질 특성과 생리활성, 향기 성분을 분석하고, 관능 평가를 수행하여 아로니아를 한국 와인에 접목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로니아란? 아로니아(Aronia melanocarpa)는 블랙 초크베리(black chokeberry)로도 불리우며, 장미과(Rosaceae)에 속하는 베리류의 열매로 북부 아메리카지역에서 자생하는 식물이다(Wu 등 2008). 20세기 초반 러시아와 스칸디나비아를 거쳐 유럽 등지에서 재배되다가, 국내는 2007년경 도입되어 고소득 작물로 알려져 있다(Slimestad 등 2005).
아로니아 열매의 효능은? 열매는 검은 자줏빛으로 직경이 6.4 mm 정도로 작고 단단하며(Kähkönen 등 1999), 생리활성 물질인 안토시아닌, 폴리페놀 화합물, 플라보노이드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항산화 작용, 암예방 면역 증진 및 시력개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ekobek 등 2012; Kulling 등 2008; Valcheva-Kuzmanova & Belcheva 2006).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아로니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재배가 확대되고 있으나, 특유의 신맛과 떫은 맛 때문에 생과에 대한 기호도가 떨어져 다양한 가공품 개발이 요구된다.
국내 와인을 제조할 때 사용되는 포도 품종은? 와인의 품질은 1차적으로 원료의 영향을 가장 많이 받으며, 2차적으로 발효기술과 숙성기술도 영향을 준다(Lee 등 2004; Lee & Kim 2006). 국내는 주로 캠벨얼리(Campbell Early), MBA(Muscat Bailey A), 거봉(Kyoho) 등을 이용하여 와인을 제조하고 있으나, 양조용 포도 품종에 비해 당도가 낮고, 신맛이 강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Lee 등 2004), 수입산 와인과 비교하여 적색도나 탄닌 함량이 낮다고 한다(Chang 등 2008). 그 이유는 생식용 품종인 캠벨얼리와 거봉, MBA는 껍질의 색이 진하지만, 포도알이 크기 때문에 와인을 제조할 때 껍질로부터 용출되는 색소가 희석되어 와인의 색이 엷어지게 되고, 떫은맛을 내는 탄닌 함량이 비교적 적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Amerine MA, Ough CS. 1980. Methods for Analysis of Musts and Wine. Wiley & Sons, New York. pp.176-180 

  2. Bisson LF, Waterhouse AL, Ebeler SE, Walker MA, Lapsley JL. 2002. The present and future of the international wine industry. Nature 418:696-699 

  3. Blio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81:1199-1200 

  4. Boulton RB, Singleton VL, Bisson LF, Kunkee RE. 1996. Principles and Practices of Winemaking. Aspen Publishers, Inc., Gaithersburg. pp.1-12 

  5. Cha JY, Kim HJ, Chung CH, Cho YS. 1999.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contents of polyphenolic compound of Cudrania tricuspidata. J Korean Soc Food Sci Nutr 28:1310-1315 

  6. Chang EH, Jeong ST, Park KS, Yun HK, Roh JH, Fang HK, Choi JU. 2008. Characteristics of domestic and imported red wines. Korean J Food Preserv 15:203-208 

  7. Denev PN, Kratchanov CG, Ciz M, Lojek A, Kratchanova MG. 2012. Bioavailabi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lack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polyphenols: in vitro and in vivo evidences and possible mechanisms of action: A review.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1:471-489 

  8. Duval B, Shetty K. 2001. The stimulation of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in pea (Pisum sativum) elicited by genetically transformed anise root extract. J Food Biochem 25:361-377 

  9. Ebeler SE. 2001. Analytical chemistry: Unlocking the secrets of wine flavor. Food Rev Int 17:45-64 

  10. Giusti MM, Wrolstad RE. 2001. Characterization and Measurement of Anthocyanins by UV-visible Spectroscopy. Handbook of Food Analytical Chemistry. John Wiley & Sons. pp.19-31 

  11. Hwang ES, Ki KN. 2013. Stability of the anthocyanin pigment extracted from Aronia (Aronia melancocarpa). Korean J Food Sci Technol 45:416-421 

  12. Hwang ES, Lee YJ. 2013.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Yanggaeng with Aronia jui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1220-1226 

  13. Jekobek L, Drenjancevic M, Jukic V, Seruga M. 2012. Phenolic acids, flavonoids, anthocyanins and antiradical activity of "Nero", "Viking", "Galicianka" and wild chokeberries. Sci Hortic-Amsterdam 147:56-63 

  14. Kahkonen MP, Hopia AI, Vuorela HJ, Rauha JP, Pihlaja K, Kujala TS, Heinonen M. 1999.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J Agr Food Chem 47:3954-3962 

  15. Kim EJ, Choi JY, Yu MR, Kim MY, Lee SH, Lee BH. 2012. Total polyphenols, total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Korean natural and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44:337-342 

  16. Kim JS, Nam YJ, Kwon TW. 1996. Induction of quinine reductase by genistein, soybean isoflavone. Food Sci Biotechnol 5:70-75 

  17. Kim HA, Cho MH, Lee KH. 2009. Studies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Korean wine and imported wine.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9:593-602 

  18. Kulling SE, Rawel HM. 2008. Chokeberry (Aronia melanocarpa) -A review on the characteristic components and potential health effects. Planta Med 74:1625-1634 

  19. Lee AR, Oh EY, Jeong YJ, Noh JG, Yoon HS, Lee KY, Kim YG, Eom HJ. 2015.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ronia (Aronia melanocarpa) Makgeolli prepared with the additive methods. Korean J Food Nutr 28:602-611 

  20. Lee JE, Shin YS, Sim JK, Kim SS, Koh KH.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II). Korean J Food Sci Technol 34:164-169 

  21. Lee JK, Kim JS. 2006. Study on the deacidification of wine made from Campbell Early. Korean J Food Sci Technol 38:408-413 

  22. Lee SJ, Kim JH, Jung YW, Park SY, Shin WC, Park CS, Hong, SY, Kim GW. 2011. Composition of organic acids and physiogical functionality of commercial Makgeoll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206-212 

  23. Lee SJ, Lee JE, Kim SS. 2004. Development of Korean red wines using various grape varieties and preference measure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6:911-918 

  24. Losada MM, Lopez JF, Anon A, Andres J, Revilla E. 2012. Influence of some oenological practices on the aromatic and sensorial characteristics of white Verdejo wines. Int J Food Sci Technol 47:1826-1834 

  25. Lu Y, Foo LY. 2000. Antioxidant an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of polyphenols from apple pomace. Food Chem 68:81-85 

  26. McGovern PE, Glisker DL, Exner LJ, Voigt MM. 1996. Neolithic originated wine. Nature 381:480-481 

  27. Onda T, Komatsu M, Nakayama T. 2013. Results of sensory evaluation and chemical analysis of wines presented to Yamanashi wine exhibition 2012. Research Report of the Yamanashi Pref Ind Technol Center (in Japanese) 27:97-102 

  28. Oszmianski J, Wojdylo A. 2005. Aronia melanocarpa 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activity. Eur Food Res Technol 221:809-813 

  29. Park ER, Kim KS. 2002.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various varieties of grapes. Korean J Postharv Sci Technol 7:366-372 

  30. Rice-Evans CA, Miller NJ, Paganga G. 1997. Antioxidant properties of phenolic compounds. Trends Plant Sci 2:152-159 

  31. Slimestad R, Torskangerpoll K, Nateland HS, Johannessen T, Giske NH. 2005. Flavonoids from black chokeberries, Aronia melanocarpa. J Food Compos Anal 18:61-68 

  32. Son JH, Choung MG, Choi HJ, Jang UB, Son GM, Byun MW, Choi C. 2001. Physiological effect of Korean black soybean pigment. Korean J Food Sci Technol 33:746-768 

  33. Sueiro L, Yousef GG, Seigler D, De Mejia EG, Grace MH, Lila MA. 2006. Chemopreventive potential of flavonoid extracts from plantation-bred and wild Aronia melanocarpa (black chokeberry) fruits. J Food Sci 71:C480-C488 

  34. Urquiaga I, Leighton F. 2000. Plant polyphenol antioxidants and oxidative stress. Biol Res 33:55-64 

  35. Valcheva-Kuzmanova SV, Belcheva A. 2006. Current knowledge of Aronia melanocarpa as a medicianal plant. Folia Med 48:11-17 

  36. Wu X, Gu L, Prior RL, McKay S. 2004. Characterization of anthocyanins and proanthocyanidins in some cultivars of Ribes, Aronia, and Sambucu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J Agric Food Chem 52:7846-7856 

  37. Yoon HS, Park JM, Park HJ, Jeong CW, Choi WI, Park JH, Kim SD. 2016.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domestic commercial white wines. Korean J Food Nutr 29:538-546 

  38. Yoon HS, Yu R, Noh JG, Kim YG, Kim SH, Choi SU, Han NS, Eom HJ.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physiological activities of puffed snack using miscellaneous cereals and grain crops. Korean J Food Nutr 27:962-97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