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율무, 보리, 미강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능과 포도당 및 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
Extracts of Adlay, Barley and Rice Bran have Antioxidant Activity and Modulate Fatty Acid Metabolism in Adipocyt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2 no.3, 2009년, pp.456 - 462  

박태식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  이수연 (이길여 암당뇨연구원) ,  김현진 (한국식품연구원) ,  김경탁 (한국식품연구원) ,  김영준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인혜 (고려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도완녀 (강릉원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혜정 (가천의과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dlay, barley and rice bran were extracted using various concentrations of methanol(10% and 80%) and chloroform : methanol(2 : 1) to examine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these raw grains. Extraction with 80% methanol resulted in high Vitamin C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VCEAC), in the order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주식으로 소비되는 곡류와 그 부산물의 생리적 활성 연구로서 노화와 당뇨병의 저해에 대한 연관성을 탐색하였다. 다양한 농도의 메탄올과 클로르포름으로 보리, 미강, 율무를 추출하여 항산화능과 포도당/지방산 대사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율무, 보리, 미강을 유기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하고, 분화된 지방세포에서 세포 내포도당 및 지방산의 유입과 대사 조절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여 곡류 추출물이 포도당/지방산 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율무 종자에는 무엇이 함유되어 있는가? 이 중 율무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식품뿐 아니라 한약 재로 이용되어 왔으며 그 생리활성이 널리 알려져 왔다. 알려진 율무의 생리활성물질인 coixol은 진통작용을 가지고 있고 (Ukita & Tanimura 1961), 종자에 함유되어 있는 항암성분인 coixenolide(Numata 등 1994), 혈당 강하 성분인 coixans A, B, C가 널리 알려져 있다(Takahashi 등 1986). 또한, 율무는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 화의 발생을 저해하며(Chung 등 1988; Kim 등 2004), 염증 관련 cytokine의 증가를 일으켜 면역기능의 증강 가능성이 제시 되고 있다(Ryu & Kim 2006).
보리에 함유되어 있는 무엇이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있는가? 또한, 율무는 혈중 중성지방을 감소시키고 HDL-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동맥경 화의 발생을 저해하며(Chung 등 1988; Kim 등 2004), 염증 관련 cytokine의 증가를 일으켜 면역기능의 증강 가능성이 제시 되고 있다(Ryu & Kim 2006). 이 외에도 보리에 함유되어 있는 catechine과 proanthocyanidine이 항산화 및 항암효과가 있으며(Kim 등 2004), 보리 함유 식이는 LDL-콜레스테롤을 낮추어 관상동맥질환의 발병에 예방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Behall 등 2004; McIntosh 등 1991). 미강은 섬유소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함유 다당체인 SRBPS2a가항종양 효능을 가지고 있음이 알려져 있다(Renuka Devi & Arumughan 2007; Wang 등 2009).
비만에 의한 혈중 유리지방산의 증가는 인슐린 저항성을 유발하는 원인 중 하나인데 이에 대한 치료에는 무엇이 있는가? 이때 증가된 혈중 유리지방산을 기질로 이용하여 지방 독성(lipotoxicity)을 갖는 지질대사체가 세포 내에서 합성되고 인슐린 신호 전달계를 저해하여 혈중 포도당의 조직 내유입이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인슐린 저항성의 치료에는 1) 선택적인 섭식을 통한 지질 섭취의 감소나 지방산 산화를 증가시키는 약물의 섭취를 통해 지방 조직을 감소시킴으로 혈중 지방산 농도를 저하시키거나, 2) 혈중 지방산의 지방조직 유입을 증가시키는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항진제 치료와 같은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Lee 등 2003). 곡류 섭취에 의한 영양학적 효능의 예로 성인이 곡류 생식을 일정기간 섭취 시 BMI가 감소하며(Seo 등 2001), 율무 추출물이 뇌하수체의 neuropeptide Y와 leptin receptor를 감소시키고 혈중 중성지방의 감소와 leptin의 증가를 유발하여 결과적으로 지방조직의 성장을 저해한다는 연구결과가 보고 되었다(Kim 등 2004; Kim 등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ehall KM, Scholfield DJ, Hallfrisch J. 2004. Diets containing barley significantly reduce lipids in mildly hypercholesterolemic men and women. Am J Clin Nutr 80:1185-1193 

  2. Brand-Miller J, McMillan-Price J, Steinbeck K, Caterson I. 2008. Carbohydrates-the good, the bad and the whole grain. Asia Pac J Clin Nutr 17 Suppl 1:16-19 

  3. Brand-Williams W, Cuvelier ME, Berset C. 1995. Use of a free radical method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y. Lebensm- Wiss Technol 28:25-30 

  4. Chun HS, You JE, Kim IH. 1999. Comparative antimutagenic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rice with different milling fraction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1371-1377 

  5. Chung BS, Suzuki H, Hayakawa S, Kim JH, Nishizawa Y. 1988. Studies on the plasma cholesterol-lowering component in Coix.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35:618-623 

  6. Forman BM, Chen J, Evans RM. 1996. The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ligands and activators. Ann NY Acad Sci 804:266-275 

  7. Kim H, Kwak NJ, Lee JY, Choi BH, Lim Y, Ko YJ, Kim YH, Huh PW, Lee KH, Rha HK, Wang YP. 2004. Merlin neutralizes the inhibitory effect of Mdm2 on p53. J Biol Chem 279:7812-7818 

  8. Kim SO, Kwak SH, Lee BH, Lee DH, Lim H, Yoo SE, Chung HJ, Lee MG. 2004. Dose-dependent pharmacokinetics of KR-31378, a new neuroprotective agent for ischaemia-reperfusion damage in dogs. Biopharm Drug Dispos 25:143-148 

  9. Kim SO, Yun SJ, Jung B, Lee EH, Hahm DH, Shim I, Lee HJ. 2004. Hypolipidemic effects of crude extract of adlay see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in obesity rat fed high fat diet: relations of TNF-alpha and leptin mRNA expressions and serum lipid levels. Life Sci 75:1391-1404 

  10. Kim SO, Yun SJ, Lee EH. 2007. The water extract of adlay seed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exhibits anti-obesity effects through neuroendocrine modulation. Am J Chin Med 35: 297-308 

  11. Lee CH, Olson P, Evans RM. 2003. Minireview: lipid metabolism, metabolic diseases, and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s. Endocrinology 144:2201-2207 

  12. McIntosh GH, Whyte J, McArthur R, Nestel PJ. 1991. Barley and wheat foods: influence on plasma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men. Am J Clin Nutr 53:1205-1209 

  13. Must A, Spadano J, Coakley EH, Field AE, Colditz G, Dietz WH. 1999. The disease burden associated with overweight and obesity. JAMA 282:1523-1529 

  14. Numata M, Yamamoto A, Moribayashi A, Yamada H. 1994. Antitumor components isolated from the Chinese herbal medicine Coix lachryma-jobi. Planta Med 60:356-359 

  15. Park TS, Hu Y, Noh HL, Drosatos K, Okajima K, Buchanan J, Tuinei J, Homma S, Jiang XC, Abel ED, Goldberg IJ. 2008. Ceramide is a cardiotoxin in lipotoxic cardiomyopathy. J Lipid Res 49:2101-2112 

  16. Petersen KF, Shulman GI. 2006. Etiology of insulin resistance. Am J Med 119:S10-16 

  17. Renuka Devi R, Arumughan C. 2007. Antiradical efficacy of phytochemical extracts from defatted rice bran. Food Chem Toxicol 45:2014-2021 

  18. Ryu HS, Kim HS. 2006. Effect of Job's tear(Yul-moo) extracts on mouse spleen and IL-1beta, IL-6, and TNF-alpha cytokine production by peritoneal macrophage. Korean J Food Nutr 19:201-206 

  19. Seo JS, Bang BH, Yeo IB. 2001. Effect of inproved obesity with sprout raw grain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Nutr 14:150-160 

  20. Seog HM, Seo MS, Kim HM. 2002. Antioxidative activity of barley polyphenol extract(BPE) separated from pearling byprodu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4:889-892 

  21. Son BK, Kim JY, Lee SS. 2008. Effect of adlay, buckwheat and barley on lipid metabolism and aorta histopathology in rats fed an obesogenic diet. Ann Nutr Metab 52:181-187 

  22. Takahashi M, Konno C, Hikino H. 1986. Isolation and hypoglycemic activity of coixans A, B and C, glycans of Coix lachryma-jobi var. mayuen seeds. Planta Med 64-65 

  23. Tamakawa K, Iizuka S, Fukushima S, Endo Y. 1997. Antioxidant activity of polyphenol extracts from barley bran. Nippon Shokuhin Kagaku Kogaku Kaishi 44:512-515 

  24. Ukita T, Tanimura A. 1961. Studies on the anti-tumor component in the seeds of Coix lachrymal-jobi L. var. ma-yuen Stapf, II. Chem Phar Bul l9:47-52 

  25. van den Berg R, Haenen G, van den Berg H, Bast A. 1999. Applicability of an improved Trolox equivalent antioxidant capacity (TEAC) assay for evaluation of antioxidant capacity measurement of mixtures. Food Chem 66:511-517 

  26. Wang L, Huang H, Wei Y, Li X, Chen Z. 2009. Characterization and anti-tumor activities of sulfated polysaccharide SRBPS2a obtained from defatted rice bran. Int J Biol Macromol 45:427-431 

  27. Wolfe KL, Liu RH. 2007. Cellular antioxidant activity (CAA) assay for assessing antioxidants, foods, and dietary supplements. J Agric Food Chem 55:8896-8907 

  28. Woo KM, Lee YS, Kim YH. 2005. Antioxidant effects of tocotrienol in rice bran. Korean J Crop Sci 50: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