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판김치로부터 젖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from Commercial Kimch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6, 2009년, pp.732 - 741  

고정림 (제주바이오기업협회) ,  오창경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오명철 (제주산업정보대학 관광호텔조리과) ,  김수현 (제주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시판 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을 동정하였다. 제조 후 4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된 배추김치에서 12주, 2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총각김치에서 6주, 5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깍두기에서 15주, 그리고 4일 동안 배양한 파김치에서 23주의 젖산균이 분리되었다. 배추김치에서 분리된 12주의 젖산균 중 8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로, 1주는 Leuconostoc lactis로, 2주는 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으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sake로 동정되었다. 총각김치에서 분리된 6주의 젖산균 중 3주는 Leuconostoc paramesenteroides로, 2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로 동정되었다. 깍두기에서 분리된 15주 중 2주는 Leuconostoc lactis로, 3주는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dextricum로, 4주는 Lactobacillus casei subsp. pseudoplantarum로, 그리고 4주는 Lactobacillus coryniformis subsp. torquens로 동정되었다. 파김치에서 분리된 23주 중 22주는 L. plantarum으로 그리고 1주는 Lactobacillus sake로 동정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배추김치에서는 L. plantarum이, 총각김치에서는 L. paramesenteroides이, 깍두기에서는 L. casei subsp. pseudoplantarum과 L. coryniformis subsp. torquens이, 그리고 파김치에서는 L. plantarum이 가장 많이 동정되었다. 특히 파김치에서는 선발된 23주 중 1주를 제외하고는 모두 L. plantarum으로 동정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dentify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commercial Kimchi. Twelve lactic acid bacteria strains were isolated from Chinese cabbage kimchi (Baechu kimchi) that was fermented for 4 days at room temperature after making kimchi, 6 strains from pickled ponytail radish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시판김치를 상온에 저장하였을 때 관여하는 주된 젖산균들을 분리하고 이들의 분류학적 위치를 밝히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시판 김치로부터 분리된 젖산균을 동정하였다. 제조 후 4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된 배추김치에서 12주, 2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총각김치에서 6주, 5일 동안 실온에서 배양한 깍두기에서 15주, 그리고 4일 동안 배양한 파김치에서 23주의 젖산균이 분리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김치의 효과는? 우리나라 고유의 발효식품인 김치는 배추나 무를 주원료로 마늘, 생강, 파, 고춧가루, 젓갈 등 다양한 향신료를 첨가 하여 발효시킨 채소발효식품으로서 비타민과 무기질 공급원 및 식이섬유 공급원 그리고 발효과정에서 생성된 젖산균 및 유기산에 의하여 정장작용에도 중요하게 작용한다. 또한 김치는 젖산균뿐만이 아니라 여러 효소와 미생물들이 관여하는 복잡한 발효과정을 거치면서 여러 생리활성 물질들을 생성하기 때문에 한국은 물론 세계적인 식품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영양공급 및 건강유지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1,2).
호기성균이 작용하게 되면 어떻게 김치가 달라지는가? 김치숙성의 주 발효균은 젖산균들이지만, 초기에 번식하는 호기성균들도 어느 정도 김치숙성에 관여하며 또한 젖산균 종류에 따라 각각 그들의 작용이 다르다. 또한 이러한 균들이 작용하게 되면 재료가 분해되고 균들에 의해서 합성되는 성분들, 특히 향미성분들도 각각 다르게 된다(3). 김치는 sauerkraut와 마찬가지로 초기에는 Leuconostoc속이 우세하게 증식하여 초기의 산 생성을 주도하고 뒤이어 Streptococcus속과 Pediococcus속이 약간 증식한 후 발효후기에 Lactobacillus속이 왕성하게 증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4).
김치는 어떻게 발효가 되는가? 김치는 각종 재료에 부착되어 있는 다양한 미생물들이 그대로 혼입되고 이 미생물들이 연속적으로 작용하여 발효가 진행된다. 젖산균들만이 우세하게 증식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 젖산균에 의한 발효가 연속적으로 진행되는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Cheigh HS, Hwang JH. 2000. Antioxidative characteristic of Kimchi. Food Industry and Nutrition 5: 52-56 

  2. Park KY, Cheigh HS. 2000.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Bioindustry News 13: 11-17 

  3. Cho JS. 1991. Changes of microflora in commercial kimchi. Korean J Dietary Culture 6: 479-501 

  4. Stamer, JR, Stoyla BO, Dunckel BA. 1971. Growth rates and fermentation patterns of lactic acid bacteria associated with sauerkraut fermentation. Milk Food Technol 34: 521-525 

  5. Lee CW, Ko CY, Ha DM. 1992. Microfloral changes of the lactic acid bacteria during Kimchi ferment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isolates. Kor J Appl Microbiol Biotechnol 20: 102-109 

  6. Han HU, Lim CR, Park HK. 1990. Determin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s an indicator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26-32 

  7. Lim CR, Park HK, Han HU. 1989. Reevaluation of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Gram-positive bacteria in kimchi. Korean J Microbiol 27: 404-414 

  8. Hosono A, Wardojo R, Otani H. 1989. Microbial flora in 'Dadih', a traditional fermented milk in Indonesia. Lebensmittel-Wissenschaft und Technologie 22: 20-24 

  9. Oh CK, Oh MC, Hyon JS, Choi WJ, Lee SH, Kim SH. 1997. Depletion of nitrite by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I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6: 549-555 

  10. Garvie EI. 1986. The genus Leuconostoc.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Microbiology. Sneath PHA, Mair NS, Sharpe ME, Holt JG, eds. Willams and Wilkins, Baltimore. Vol 2, p 1043 

  11. Kandler O, Weiss N. 1986. Regular, nonsporulating Grampositive rods. In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Microbiology. Sneath PHA, Mair NS, Sharpe ME, Holt JG, eds. Willams and Wilkins, Baltimore. Vol 2, p 1208 

  12. Balows A, Truper HG, Dworkin M, Harder W, Schleifer KH. 1986. The Procaryotes. 2nd ed. Springer-Verlag, New York. Vol II, p 1421 

  13. Cappuccino JG, Sherman N. 1987. Biochemical activities of microorganisms. In A Laboratory Methods in Food and Dairy Microbiology. 2nd ed. The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mpany, Menlo Park, California. p 125 

  14. Rouff KL. 1992. The genus Streptococcus. In The Prokaryotes. 2nd ed. Balows A, Truper HG, Dworkin M, Harder W, Schleifer KH, eds. Springer-Verlag, New York. Vol II, p 1450 

  15. Jeanes A. 1965. Production from Leuconostoc mesenteroides NRRL B-523. In Method in Carbohydrate Chemistry. Academic Press, New York. Vol 5, p 124 

  16. Guthof O. 1981. Detection of dextrans and levans. In The Prokaryotes. Gehring FJ, ed. Springer-Verleg, New York. Vol II, p 1604 

  17. Boehringer Mannheim. 1989. Method of Biochemical Analysis and Food Analysis. Boehringer Mannheim GmbH, Mannnheim. p 46 

  18. Sharpe ME, Fryer TF. 1966. Identification of the lactic acid bacteria. In Identification Methods for Microbiologists. Part A, The Society for Applied Bacteriology, Technical series No 1. Gibbs BM, Skinner FA, eds. Academic Press, London. p 65 

  19. Park HK, Lim CR, Han HU. 1990. Microbial succession in kimchi fermentation at different temperature. Res Inst Basic Soc Inha Univ 11: 161-169 

  20. Mheen TI, Kwon TW. 1984. Effect of temperature and salt concentration of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16: 443-450 

  21. Shim ST, Kyung KH, Yoo YJ. 1990.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fermenting kimchi and their fermentation of Chinese cabbage juice. Korean J Food Technol 22: 373-37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