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김치와 각각의 부재료들의 향기 성분을 비교하기 위하여 GC/MS로 정성 분석한 결과, 김치의 향기 성분은 sulfide 계열의 황 화합물과 유기산, 알코올류 등으로 나타났고, 김치의 냄새를 구성하는 물질들은 김치의 냄새를 각각의 부재료에서 검출된 향기 성분들로부터 유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김치 특유의 이취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김치의 부재료인 마늘, 생강, 양파 및 파를 각각 5 mm의 길이와 0.3 mm의 두께로 세절하고 100$^{\circ}C$ 에서 2분간 데친 후, 정수된 물 4$^{\circ}C$ 에서 12시간 동안 침지처리 하였다. 부재료 침지처리가 김치의 군덕내(moldy odor)와 신내(sour odor)에 미치는 영향을 관능검사로 평가한 결과, 세절침지처리김치에서 일반김치에 비하여 신내와 군덕내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재료의 침지처리가 숙성 중 김치에서 pH, 산도, 유산균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imchi and its sub-ingredients were analyzed using GC/MS. The major volatile compounds of kimchi were identified as sulfide compounds, organic acids and alcohols. It was confirmed that the major volatile flavor compounds of kimchi originated from sub-ingredients su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김치 부재료의 전처리 방법 중 냄새저감 효과가 높은 침지처리방법에 관한 연구로서 김치의 발효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최적의 침지처리 조건을 확립하고, GC/MS 정성분석을 이용하여 부재료 침지처리에 의한 김치의 향기 성분 변화를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Lee S.H, Kim S.D. 2005. Effect of various ingredients of kimchi on the kimchi fermentation. Korean J Food Nut 17: 249-254 

  2. Cho J.S, Park K.Y. 1988. Standardization of kimchi and related products (2). Korean J Dietary Culture 3: 301-307 

  3. Lee S.H, Choi W.J. 1998. Effects of medicinal herbs' extract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fermentation of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624-629 

  4. Ku K.H, Kim Y.J, Koo Y.J, Choi I.U. 1999. Effects of pretreated subingredients and deodorization materials on the kimchi smell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1549-1556 

  5. Ha J.O. 1997. Studies on the developments of functional and low sodium kimchi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ts. 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6. Park K.Y. 1995. The nutritional evaluation, and antimutagenic and anticancer effects of kimchi. J Korean Soc Food Nutr 24: 169-182 

  7. Kim J.S, Koh M.S, Kim Y.H, Kim M.K, Hong J.S. 1991.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Korean J Food Sci Technol 23: 141-149 

  8. Yu J.H, Wu C.M, Ho C.T. 1993. Volatile compounds of deep-oil fried, microwave heated, and oven baked garlic slices. J Agric Food Chem 41: 800-805 

  9. Hawer W.D, Ha J.H, Seog H.M, Nam Y.J, Shin D.W. 1988. Changes in the taste and flavor compounds of kimchi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0: 511-517 

  10. Hawer W.D. 1994. Study of change in flavor components in Korean cabbage kimchi during fermentation. Proceeding of Symposium 'Science of Kimchi' of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Seoul. p 175-190 

  11. Ko Y.T, Baik I.H. 2002. Change in pH,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by heat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1123-1126 

  12. Ko Y.T, Kang J.H, Kim T.E. 2001. Quality of freeze-dried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100-106 

  13. Kim S.D. 1995. Effect of fermentation temperature on the taste and volatile compounds of kakdugi during fermentation. MS Thesis. Dankook University, Gyeonggi, Korea 

  14. Lee J.W, Lee J.G, Do G.H, Sung H.S. 1997. Volatile flavor components of fresh garlic and low odor garlic. Agric Chem Biotechnol 40: 451-454 

  15. Chun M.S, Lee T.S, Noh B.S. 1995. The changes in organic acid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25-29 

  16. Kim M.K, Kim S.Y, Woo C.J, Kim S.D. 1994. Effect of air controlled fermentation on kimchi quality. J Korean Soc Food Nutr 23: 268-273 

  17. Park W.P, Chang D.K. 2003. Kimchi quality affected by the addition of grapefruit seed extract powder. Korean J Food Pres 10: 288-292 

  18. Lee B.Y. 1999. Application of electronic nose for aroma analysis of persimmon vinegar concentrat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1: 314-321 

  19. Ko Y.T, Lee J.Y. 2003. Quality characteristics of kimchi prepared with Chinese radish and its quality change by freeze-dryi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 937-942 

  20. Lee J.G, Jang H.J, Kwag J.J, Lee D.W. 2000. Comparison of the volatile components of Korean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by different extraction methods. Korean J Food Nutr 13: 66-70 

  21. Lawson L.D, Wood S.G, Hughes B.D. 1991. HPLC analysis of allicin and other thiosulfinates in garlic clove homogenates. Planta Med 57: 263-270 

  22. Wang Z.Y.J, Lawson L.D, Hughes B.D. 1991. Gamma-glutamyl-s-alkyl-cysteins in garlic and other Allium spp. precursors of age-dependent trans-1-propenyl thiosulfinates. J Nat Prod 2: 436-444 

  23. Chung S.K, Choi J.U. 1990. The effects of dry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the garlic powder. Korean J Food Sci Technol 22: 44-49 

  24. Lee J.Y, Kang H.A, Chang K.S, Kim S.S. 1995. Drying of onion and ginger controlled by microcomputer drying system. Agric Chem Biotechnol 38: 78-82 

  25. Hong S.I, Park N.H, Koo Y.J. 1996. Effect of vacumizing conditions on quality changes of flexible package kimchi.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190-1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