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자(Torreya nucifera) 추출물의 생리활성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Torreya nucifera Seed Extract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8 no.1, 2009년, pp.1 - 8  

전호성 ((주)정문 한방생명자원연구소) ,  이양숙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  김남우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생약자원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용 및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T. nucifera) 종자인 비자(榧子)를 천연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WE)과 에탄올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tyrosinase 저해,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 항산화적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방법과 용매를 달리한 비자의 수율은 $100^{\circ}C$ 이상의 고온과 압력이 가해진 HWE가 7.08 g/100 g으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비자의 HWE는 35.47mg/g의 플라보노이드와 112.95 mg/g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함유하였다. 비자의 각 추출물에 대한 tyrosinase 저해율은 2.0 mg/mL의 농도에서 $5.62{\sim}28.71%$로 WE에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아질산염의 소거능을 측정한 결과에서는 pH 1.2의 2.0 mg/mL의 조건에서 HWE가 94.30 %로 가장 높은 소거효과를 보였으며, pH 1.2와 3.0에서 비자의 세 가지 추출물 모두 약 90% 이상의 아질산염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SOD 유사활성능은 HWE에서 33.58%로 WE (17.70%)와 EE(24.16%)보다 약 $1.4{\sim}2$배 높은 활성을 보였다. 전자공여능은 0.1 mg/mL의 농도에서 $66.46{\sim}89.72%$로 WE에서 높았으며,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전자공여능이 감소하였다(p<0.05). Xanthine oxidase 저해는 HWE에서 89.29%로 가장 높은 저해효과를 나타내었으며, 0.5 mg/mL의 농도에서도 WE와 HWE는 75%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비자는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다량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추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이나 제품의 첨가물 또는 의약품 재료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flavonoid and polyphenol compounds, and inhibitory activities of tyrosinase and antioxidation to measure physiological effect of reflux water extraction (WE), reflux ethanol extraction (EE) and hot water extract under high pressure (HWE) of Tor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식용 및 한방생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비자나무(T. nucifera) 종자인 비자(榧子)를 천연 항산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물 추출물(WE)과 에탄올 추출물(EE) 그리고 열수 추출물(HWE)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과 tyrosinase 저해, 아질산염 소거, 전자공여,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등 항산화적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추출방법과 용매를 달리한 비자의 수율은 100℃ 이상의 고온과 압력이 가해진 HWE가 7.
  • nucifera) 종자의 지방 성분 및 지질대사에 관한 연구는 보고되어 있으나 비자 추출물의 항산화적 생리활성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진 바 없다. 이에 물과 에탄올을 용매로 추출한 비자 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함량을 측정하고 tyrosinase 저해 및 아질산염 소거능 등 항산화적 생리활성을 측정하여 천연 항산화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2)All values are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 2)Flavonoid and polyphenol compounds are mean±SD of triplicate determinations.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비자란? 우리나라의 남부지방과 일본에 자생하는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Siebold et Zuccarini)는 주목과(Taxaceae)의 상록교목으로 비자나무의 성숙된 종자에서 종피(種皮)를 제거하고 건조한 것을 비자(榧子)라 하며, 식욕증진, 소화촉진, 변비 및 치질 치료 등의 약리작용을 나타내며, 십이지장충 및 구충제로 이용한다(9-11). 또한 비자에서 추출한 기름은 식용하며, 머릿기름이나 연료로도 사용되어 왔다(12).
비자 추출물의 생리활성에 대한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판단되는 기대효과는? 5 mg/mL의 농도에서도 WE와 HWE는 75% 이상의 저해율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 결과 비자는 물을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다량의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화합물 추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며 또한 우수한 생리활성 효과를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하여 기능성식품이나 제품의 첨가물 또는 의약품 재료로 개발,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한방생약자원인 것으로 판단된다.
비자나무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비자나무에 관한 선행연구로는 비자에 함유된 지방질(13)과 sterol 성분(10), desmethylsterol 조성(14) 및 비자유의 지질대사와 이와 관련된 효소발현(12) 등에 대하여 연구된 바 있으며, 비자의 살충효과(15) 및 항균성(16)에 대해 보고된 바 있다. 한편, 중의학에서 생약재로 사용되는 비자(榧子)는 Torreya grandis Fort.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Freeman BA, Grapo JD. 1982. Biology of disease; free radicals and tissue injury. Lab Invest 47: 412-426 

  2. McCord JM. 1987. Oxygen-derived radicals; a link between repercussion injury and inflammation. Fed Proc 46: 2402-2406 

  3. Barene AL. 1975. Toxicological and biochemistry of butylated hydroxyanisole and butylated hydroxytolune. J Am Oil Chem Soc 52: 59-63 

  4. Choe SY, Yang KH. 1982. Toxicological studies of antioxidants,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and butylated hydroxyanisole (BHA). Korean J Food Sci Technol 14: 283-288 

  5. Thomas MJ. 1995. The role of free radicals and antioxidants: How do you know that they are working? Crit Rev Food Sci 35: 21-39 

  6. Hara C, Kumazawa Y, Inagki K, Kaneko M, Kiho T, Ukai S. 1986. Mitogenic and colony-stimulating factor-inducing activity of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the fruit bodies of Dictyohora indusiata. Fisch Chem Pharm Bull 39: 1615-1616 

  7. Nam HY, Cho JS. 2006. Quality characteristics of white pan bread with ingredients of Sagoonja-Tang.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458-467 

  8. Hong SP, Jeong HS, Jeong EJ, Shin DH. 2006. Quality characteristic of beverage with Gastrodia elata Blume extract. J Fd Hyg Safety 21: 31-35 

  9. Lee SJ. 1966. Korean folk medicine. Seoul National Univ, Seoul, Korea. p 6 

  10. Chung BS, Ko YS. 1978. Studies on the sterol components of Torreya nut of Korea. Yakhak Hoeji 22: 87-90 

  11. Lee TB. 1993. Illustrated flora of Korea. 5th ed. Hyangmoonsa, Seoul, Korea. p 56 

  12. Endo Y, Osada Y, Kimura F, Fujimoto K. 2006. Effects of Japanese torreya (Torreya nucifera) seed oil on lipid metabolism in rats. Nutrition 22: 553-558 

  13. Im HS, Yoon KR, Chung DH. 1980.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Torreya nucifera seed. Korean J Food Sic Technol 12: 324-327 

  14. Joh YG, Kim KJ, Bark KS, Jeong TM. 1981.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chemical structure of desmethylsterols from Torreya nucifera seeds. Korean J Food Sci Technol 13: 127-132 

  15. Kim ND. 1996. Study on the anthelmintic principle of Torreya nucifera. J Pharmaceu Soc Kor 10: 30-32 

  16. Oh HJ, Ann HM, So KH, Kim SS, Yun PY, Jeon GL, Riu KZ. 2007. Chemical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essential oils from three coniferous trees Abies koreana, Cryptomeria japonica, and Torreya nucifera. J Appl Biol Chem 50: 164-169 

  17. 國家中??管理局編委?. 1999. 中華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上海. Vol 2, p 364-348 

  18. 南京?學院???. 1978. 中草?學(中?). 江?人民出版社, 南京. Vol 1, p 86 

  19. Chen BQ, Cui XY, Zhao X, Zhang YH, Piao HS, Kim JH, Lee BC, Pyo HB, Yun YP. 2006. Antioxidative and acut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orreya grandis. Fitoterapia 77: 262-267 

  20. Lui ZL, Goh SH, Ho SH. 2007. Screening of chinese medicinal herbs for bioactivity against Sitophilus zeamais Motschulsky and Tribolium castaneum (Herbst). J Sto Pro Res 43: 290-296 

  21. Nieva Moreno MI, Isla MI, Sampietro AR, Vattuone MA. 2000. Comparison of the free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propolis from several regions of Argentina. J Ethnopharmacol 71: 109-114 

  22. AOAC. 2005. Official Method of Analysis. 18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Vol 45, p 21-22 

  23. Yagi A, Kanbara T, Morinobu N. 1987. Inhibition of mushroom-tyrosinase by aloe extract. Planta Medica 53: 517-519 

  24. Kato H, Lee IE, Chuyen NV, Kim SB, Hayase F. 1987. Inhibition of nitrosamine formation by nondialyzable melanoidins. Agric Biol Chem 51: 1333-1338 

  25. Marklund S, Marklund G.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 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6.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27. Stirpe F, Corte ED. 1969. The regulation of rat liver xanthine oxidase. J Biol Chem 244: 3855-3861 

  28. Woo KS, Jang KI, Kim KY, Lee HB, Jeong HS. 2006. Antioxidative activity of heat treated licorice (Glycyrrhiza uralensis Fisch) extrac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355-360 

  29. Turkmen N, Sari F, Velioglu YS. 2005. The effect of cooking methods total phenol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elected green vegetables. Food Chem 93: 713-718 

  30. Choi Y, Lee SM, Chun J, Lee HB, Lee J. 2006. Influence of heat treatment on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and polyphenolic compounds of Shiitake (Lentinus edodes) mushroom. Food Chem 99: 381-387 

  31. Kim EY, Baik IH, Kim JH, Kim SR, Rhyu MR. 2004. Screening of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ome medicinal plan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6: 333-338 

  32.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Y, Park JW, Park IB, Kim SW, Kang WG, Park YK, Jung ST. 2004. Antimicrobial effect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and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Preserv 11: 207-213 

  33. Bors W, Saran M. 1987. Radical scavenging by flavonoid antioxidants. Free Radic Res Comm 2: 289-294 

  34. Choi BW, Lee BH, Kang KJ, Lee ES, Lee NH. 1998. Screening of the tyrosinase inhibitors from marine algae and medicinal plants. Kor J Pharmacogn 29: 237-242 

  35. Kim JK, Cha WS, Park JH, Oh SL, Cho YJ, Chum SS, Choi C. 1997. Inhibition effect against tyrosinase of condensed tannins from Korean green tea. Korean J Food Sci Technol 29: 173-177 

  36. Lee SJ, Park DW, Jang HG, Kim CY, Park YS, Kim TC, Heo BG. 2006. Total phenol content, electron donating abil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pear cut branch extract. Korean J Hort Sci Technol 24: 338-341 

  37. Lee YS, Joo EY, Kim NW. 2006. Polyphenol contents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the Lespedeza bicolor extracts. Korean J Food Preserv 13: 616-622 

  38. Son JY, Heuing BJ, Takeda Y, Ando K. 2007. Functional properties of nutmeg. Korean J Food Cookery Sci 23: 33-40 

  39. Moon JS, Kim SJ, Park YM, Hwang IS, Kim EH, Park JW. 2004. Activities of antioxidation and alcohol dehydrogenase inhibition of methanol extracts from some medicinal herbs. Korean J Food Preserv 11: 201-206 

  40. Kytopoulos SA. 1987. Ascorbic acid and formation of N-nitroso compounds; possible role of ascorbic acid in cancer prevention. Am J Clin Nutr 45: 1344-1350 

  41. Shenoy NR, Choughuley ASU. 1989. Effect of certain phenolic on nitrosamine formation. J Agric Food Chem 37: 721-726 

  42. Kuenzing W, Chau J, Norkus E, Conney AH. 1984. Caffeic and ferulic acid as blokers of nitrosamine formation. Carcinogenesis 5: 309-312 

  43. Lim JD, Yu CY, Kim MJ, Yun SJ, Lee SJ, Kim NY, Chung IM. 2004. Comparison of SOD activity and phenolic compound contents in various Korean medicinal plants. Korean J Medicinal Crop Sci 12: 191-202 

  44. Sato M, Ramarathnam N, Suzuki Y, Ohkubo T, Takeuchi M, Ochi H. 1996. Varietal differences in the phenolic content and superoxide radical scavenging potential of wines from different sources. J Agric Food Chem 44: 37-41 

  45. Hayashi T, Sawa K, Kawasaki M, Arisawa M, Shimizu M, Morita N. 1988. Inhibition of cow's milk xanthine oxidase by flavonoids. J Nat Prod 51: 345-348 

  46. Kim SA, Oh SI, Lee MS. 2007. Antioxidative and cytotoxic effects of solvent fractions from Elaeagnus multiflora. Korean J Food and Nutr 20: 134-142 

  47. Kang YH, Park YK, Lee GD. 1996. The nitrite scavenging and electron donating ability of phenolic compounds. Korean J Food Sci Technol 28: 232-239 

  48. Jung SJ, Lee JH, Song HN, Seong NS, Lee SE, Baek NI. 2004. Screening for antioxidant activity of plant medicinal extracts. J Korean Soc Appl Biol Chem 47: 135-140 

  49. Wyngaarden JB, Holmes EW Jr. 1977. Molecular nature of enzyme regulation in purine biosynthsis. Ciba Found Symp 48: 43-64 

  50. Hyun SH, Jung SK, Jwa MK, Song CK, Kim JH, Lim SB. 2007. Screen of antioxidants and cosmeceuticals from natural plant resources in Jeju island. Korean J Food Sci Technol 39: 200-20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