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 인식 및 필요성 분석 - 서울시를 중심으로 -
The Recognition and Requirement of Nutrition Labeling in Fast-Food Restaurant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2 no.1, 2009년, pp.68 - 77  

정혜정 (우송대학교 외식조리유학과) ,  천희숙 (서정대학 호텔조리과) ,  권광일 (식품의약품안전청) ,  김지영 (식품의약품안전청) ,  유광수 (식품의약품안전청) ,  이준형 (식품의약품안전청) ,  김종욱 (식품의약품안전청) ,  박혜경 (식품의약품안전청) ,  김소희 (식품의약품안전청) ,  홍순명 (울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국민들에게 올바른 영양정보를 제공하여 외식시 균형잡힌 영양섭취와 올바른 메뉴선택을 위한 영양표시제의 방안과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에 관한 소비자 인식과 필요성 그리고 건강한 식생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설문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양표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기존에 영양표시 제가 실시되고 있는 가공식품과 향후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현재 가공식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영양표시의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반면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의 도입 필요성은 인지하는 있었으며 이는 메뉴선정에 도움을 주고 건강한 식생활에 영향을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영양성분표시를 실시한 외식업체에 대한 재방문의사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패스트푸드업체의 메뉴에 대한 영양성분의 표시기준은 100 g(또는 100 mL)의 단위기준보다 1인 제공량으로 표시되기를 바라고 있었으며, 패스트푸드업체가 표기해야할 영양성분으로는 성인병과 체중증가와 관련있는 열량과 지방 그리고 콜레스테롤함량이 우선적으로 표기되기를 바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리고 메뉴에서 우선적으로 표기되어야 하는 항목으로는 열량, 1인분량, 지방함량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영양성분을 표시할 장소는 소비자가 주문을 하기 전 쉽게 확인하고 참고할 수 있는 매장내 포스단말기와 계산대 위에 설치된 메뉴보드로서, 이는 패스트푸드업체의 셀프서비스 주문방식을 반영된 결과로 분석되었다. 넷째,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할 영양표시제의 필요성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많은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주부와 초등학생들이 비교적 낮은 필요성을 보이고 있어 주부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영양표시제에 관한교육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학력에 있어서는 고학력자일수록 그리고 월소득이 높을수록 영양표시제에 대한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영양교육을 통한 식생활의 중요성을 인지할 기회가 많았고 생활의 여유 속에서 끼니를 떼우기 위한 식사가 아닌 선택을 통한 식사를 즐기는 고소득자들에게는 영양표시제의 실시가 더욱더 필요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7번 이상의 다이어트 경험자들도 영양표시제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는데 이는 체중감량을 위한 칼로리 제한을 외식을 하면서도 가능하게 하기 위함이라고 사료된다. 다섯번째, 패스트푸드업체에서 실시될 영양표시제가 건강한 식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남자보다는 여자가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연령에서는 10대 20대 30대가 더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 전문대학졸업자와 대학원졸업자가 비교적 많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되었다. 이는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성과 젊은층 그리고 식생활에 대한 교육기회가 많았던 조사대상자들이 영양표시제가 건강한 식생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그러나 가족의 식생활을 담당하는 주부들의 영양표시제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낮아 주부들을 대상으로 한 건강한 식생활 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researched to provide the accurate nutrition information and the menu. We questionnaired an recognition and necessity of the nutrition labeling to 684 customers in fast-food restaurants. After data cleaning, we used spss package 14.0 and analyzed about the nutrition contents and plac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영양표시제에 관한 인식과 관련한 선행연구는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일찍이 진행되어 왔으며 다양한 연구대상13-19)과 다양한 연구지역20-23)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는데, 본 연구에서 패스트푸드업체의 고객을 대상으로 향후 실시될 영양표시제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현재 가공식품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영양표시의 중요성 (1.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민들이 균형잡힌 영양섭취를 위한 올바른 메뉴의 선택을 유도할 수 있는 표시방안을 모색하고 실시될 외식업체에서의 영양표시에 관한 소비자 인식과 필요성을 분석하기 위해 패스트푸드업체를 방문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을 참고하여 인구통계학적인 특성 7가지, 가공식품 영양표시제에 대한 중요성 및 외식업체에서의 영양표시제의 필요성, 9가지 영양성분 (칼로리, 당류,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나트륨, 칼슘, 비타민 C, 콜레스테롤)에 관한 중요성, 영양표시제가 건강한 식생활에 도움을 주는 정도와 영향력, 메뉴의 영양성분 표시기준 및 표기해야 할 영양성분, 영양성분 표시장소별 중요성에 관한 문항으로 명목척도와 등간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등간척도의 경우 ‘1) 매우 중요하다, 2) 중요하다, 3) 중요하지 않다, 4) 매우 중요하지 않다’의 4점 리커트척도를 사용하였다. 이는 아직 시행되지 않아 고객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패스트푸드업체의 영양표시제에 대한 중심경향적인 답변을 최소화하여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4첨 리커트척도를 사용하게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공식품 영양성분 표시제 의무화는 언제 시작되었는가? 1996년부터 시작된 가공식품 영양성분 표시제가 의무화되어 소비자들이 영양성분과 함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수식품의 영양표시방법2)과 가공식품의 영양표시 실태3)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었고, 2005년 3월에는 적용대상이 확대되어 식빵, 케이크류, 빵, 도넛, 건과류, 과자류, 캔디류, 초코렛류, 쨈류, 그리고 면류와 음료류에도 표시하도록 강화되었다.4) 제외국의 경우에도 미국, 일본, 유럽연합 등의 사례에서도 영양성분 표시제는 세계적으로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2004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신체질량지수 (BMI)가 25.0 이상인 과체중과 30.0 이상인 고도비만인 국민의 비율은 각각 얼마인가? 0 이상인 과체중과 30.0 이상인 고도비만인 국민의 비율은 27.5%와 3.3%로서 199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 나타났던 23.9%와 2.
외국의 영양표시제도는 어떠한가? 미국의 경우, 생채소, 과일, 생선을 제외한 모든 포장 식품에 영양표시를 반드시 하도록 요구하고 그 내용을 법제화 하고 있으며,7) 우리나라 영양표시제도는 식품위생법 제10조에 의하여 1996년 보건복지부의 고시로‘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영양표시를 위한 기준이 규정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되어, 포장 및 일반식품에 대한 법적인 근거가 마련되었으나, 외식업체 및 패스트푸드 판매식품에 대한 실태 파악과 권고안은 요원한 상태이다. 외국의 경우 ALMANZA8)와 Brandt9)는 FDA에서 통제하는 식품영양표시와 관련한 현행법에 관한 고찰을 통해 채소, 과일, 생선의 임의적인 영양표시제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 Wootan10)은 300개 체인레스토랑을 중심으로 과거 10여년 전 보다 많은 수의 레스토랑에서 영양표시제를 실시하고 있으며 이를 인터넷 홈페이지에도 게시하고 있다. Crutchfield 외11)는 신선육과 가금류의 지방섭취억제가 뇌졸중, 심장병, 각종 암 등의 유발을 방지할 수 있다는 근거로 연간 6200만 달러에서 1억 2,500만 달러의 경제적 가치가 있다는 것을 추정하기도 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oi.MH, Kimm JH, Lee JH, Kim CI, Song KH, Chang KJ, Min HS, Limm KS, Byun KH, Song US, Yeo IJ, Lee HM, Kim KW, Kim HS, Kim CI, Yoon UY, Kim HA. 21C Nutrition 3th. Kyomoonsa; 2006. p.6 

  2. Song KH, Park HR, Hong JY. A Study of Health Professionals Awareness, Satisfaction and Desirable Nutrition Labeling of Foods for Special Dietary Use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1; 6(3): 361-370 

  3. Lee HJ, Chung HR, Chang YO.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ling Practices for Processed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2; 7(4): 585-594 

  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notice 2005-12; 2005 

  5. Kwak HS. Current Regulatory Status of Nutritional Labeling in Advanced Countries. The Korean Dairy Technol 1996; 14(1): 17-31 

  6. Yamada Kazuhiko. Current Status of Nutrition Labeling and Regulation of Health hoods in Japan, 04 Annual Meeting and International Symposium; 2004 

  7. The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1990 

  8. Almanza BA, Nelson D, Chai S. Obstacles to Nutrition Labeling in Restaurants. J Am Diet Assoc 1997; 97(2): 157-161 

  9. Brandt MB, LeGault LA. What's new on nutrition labeling at the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Journal of food composition and analysis: an official publication of the United Nations University, International Network of Food Data Systems 2003; 16(3): 383-393 

  10. Wootan MG, Osborn M. Availability of Nutrition Information from Chain Restaurants in the United States. Am J Prev Med 2006; 30(3): 266-268 

  11. Stephen C, Fred K, Jayachandian N, Variyam. The Economic Benefits of Nutrition Labeling: A Case Study for Fresh Meat and Poultry Products. J Consumer Policy 2001; 24 (2): 185-207 

  12.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Question items about food & life style. Question items about food & life style; 2000 

  13. Chang SO. A Study on the Perception Use and Demand of Housewif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2000; 33(7): 763-773 

  14. Ju NM, Yoon JY, Kim OS, Park SH, Ko YJ, Kim JY. A Study on the Awareness of Female-Consumers for Nutrition Labeling System. Korean J Food Culture 2006; 21(2): 209-215 

  15. Choi BS, Yoo DR, Park YM, Lee IS. College Students Characteristics and Utilization of the Nutrition Labels on Food Package. Korean J Dietary Culture 2002; 7(3): 299-308 

  16. Cho SH, Yoo HH.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Dietary Habits and Awareness of Food-Nutrition Labelling by Girl's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5(5): 519-533 

  17. Lee KJ, Cho YH. Consumer's Recognition and Using State about Food-Nutrition Labeling System among Twentie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4; 14(1): 54-63 

  18. Chung JY, Kim MJ. Using and Understanding of Nutrition Labels and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Adults in the Seoul Area.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4): 417-425 

  19. Sullivan A,Torisky DM, Pearson JM.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Commercial Restaurant Patrons Who Use Nutrition Labeling on Menus. J Am Diet Assoc 1997; 97(9): 114 

  20. Ashley M, Patricia B, Nayga R, Pierre C, Robert L, Gloeckner J. French consumers’ use of nutrition labels. Nutrition & Food Science 2006; 36(3): 159-168 

  21. Choi JH, Chung YJ. Consumer Preferred Formats of Nutrition Labels-Housewives of Daejon Cit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3; 8(2): 220-230 

  22. Kwon KI, Park SH, Lee JH. Prevalence of Nutrition Labeling and Claims on Processed and Packaged Food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007; 12(2): 206-213 

  23. Cha YS, Yang HS, Ahn UM, Noh JO. A Study on the Current Nutrition Labeling Practices for the Processed Foods in Jeonju and Daegu Area.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5; 15(4): 483-492 

  24. Victor L, Fulgoni I, Miller G.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food labeling. Am J Clin Nutr 2006; 83(5): 1215-1216 

  25. Tarasuk V. Use of population-weighted Estimated Average Requirements as a basis for Daily Values on food labels. Am J Clin Nutr 2006; 83(5): 1217-1222 

  26. Kwak HS. Current Reguratory Status of Nutritional Labeling in Advanced Countries. Korean Dietary Techno 1996; 14(1): 25 

  27. Chang SO. A Study of the Comprehension and Preference of Consumers to Four Different Formats of Nutrition Label. Korean J Nutr 1997; 30(6): 679-689 

  28. The Federal Food, Drug, and Cosmetic Act, The Nutrition Labeling and Education Act; 1990 

  29. Chang SO, Chung HR, Kang MH. Decision of nutrition standard for food nutrition labeling, Proceeding of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0. p.104-108 

  30. Lee KJ, Lee YH.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l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4; 14(2): 161-174 

  31. Lee KJ, Lee YH. A Study on the Dietary Life of Housewives and Their Usage Practices of Food-Nutrition Labelling.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004; 14(2): 161-17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