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혼 여성들의 첫 출산시기와 간격 조절: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
Analysis of How Married Women Adjust Timing of First Birth and Birth Interval : Focusing on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v.20 no.4, 2009년, pp.579 - 588  

송유진 (동아대학교 사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birth timing and the birth interval for married women, focusing on their employment status. Relying on 2005 National Survey of Marriage and Fertility, three different groups were selected: those who have no child until five years after marriage; those who gave birth for the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기혼여성들의 취업이 늘어나고 이들이 취업상태를 유지 하기 위하여 출산을 선택하거나 조절하는 경향이 늘어나는 현실을 감안할 때 여성의 취업 관련 요인을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닐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제한된 자료의 형태를 이용하여 출산시기와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며, 여성의 취업 여부 뿐 아니라 취업상태를 포함한 사회경제적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 개인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출산 행위의 차이를 파악하는 것은 주요 정책대상 집단(target group)을 파악하는 데에 필수적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한국사회의 초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고 정책 제언을 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그동안 많이 연구되지 않았던 출산시기와 간격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출산시기와 간격의 조절이 결과적으로 여성의 가임 기간과 전반적인 출산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면, 출산시기와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사회의 초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이 논문은 출산시기와 출산간격은 여성의 가임기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결혼연령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생각에서 출발하였다. 또한 사회경제적 특성의 차이가 출산시기와 간격 조절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봄으로써 출산 장려 정책에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 출산시기와 간격의 조절이 결과적으로 여성의 가임 기간과 전반적인 출산수준에 영향을 미친다면, 출산시기와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는 것은 한국사회의 초저출산 현상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대처 방안을 모색하는 데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여성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출산시기와 간격 조절, 그 중에서도 여성의 취업 상태에 따른 출산시기와 간격조절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되는 원인은 무엇이 있는가? 2명으로 조사대상 156개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경향신문 2008). 이러한 초저출산 현상을 설명하기 위하여 가치관 변화, 노동시장의 불안정성과 높은 사교육비, 일-가정양립의 어려움 등 다양한 원인이 제시되고 있다(김두섭 2005). 더불어 인구학적 시각에서는 결혼 연령의 증가가 출산력 저하를 야기하는 직접적인 원인이라고 지적된다.
한국사회의 초저출산 현상을 알 수 있는 자료는 무엇인가? 한국사회의 초저출산(lowest-low fertility) 현상은 이미 주지된 바 있다. 유엔인구기금에서 발간한 “2008 세계인구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1.2명으로 조사대상 156개국 중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경향신문 2008).
결혼코호트별 첫 출산시기를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출산력 수준을 결정짓는 두 가지 요소-출산의 양(quantum)과 속도(tempo)-중 양 못지않게 속도가 중요함은 이미 강조된 바 있다(은기수 2001). 은기수(2001)는 전국 규모의 조사를 활용하여 결혼코호트별 첫 출산시기를 비교한 결과, 최근 코호트로 올수록 첫째 자녀의 출산을 연기하는 경향이 나타남을 밝혀냈다. 즉 첫 출산시기의 연기(속도)가 출산수준을 낮추는 데에 기여하였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강유진(2007) 둘째자녀 출산계획에 영향을 미치는 자녀가치관 및 가족관계 요인.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8(4), 639-653. 

  2. 경향신문(2008) 한국합계출산율 1.2명 세계 꼴찌. 

  3. 김두섭(2005) 한국의 제2차 출산력변천과 그 인과구조. 인구와 사회 1(1), 23-53. 

  4. 김두섭(2007) IMF 경제위기와 한국 출산력의 변화. 서울: 집문당. 

  5. 김정석(2007) 기혼여성의 출산아수별 추가출산계획. 한국인구학 30(2), 97-116. 

  6. 류기철, 박영화(2009) 한국여성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간격 영향요인. 한국인구학 32(1), 1-23. 

  7. 민현주(2007) 엄마의 취업과 자녀터울에 관한 동태적 분석. 한국사회학 41(3), 106-126. 

  8. 박경숙, 김영혜(2003) 한국여성의 생애유형: 저출산과 M자형 취업곡선에의 함의. 한국인구학 26(2), 63-90. 

  9. 박수미(2002) 한국여성들의 첫 취업 진입 퇴장에 미치는 생애사건의 역동적 영향. 한국사회학 36(2), 145-174. 

  10. 박수미(2008) 둘째 출산계획의 결정요인과 가족내 성 형평성. 한국인구학 31(1), 55-73. 

  11. 은기수(2001) 결혼연령 및 결혼코호트와 첫 출산간격의 관계: 최근의 낮은 출산력 수준에 미치는 함의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35(6), 105-139. 

  12. 이성용(2006) 경제위기와 저출산. 한국인구학 29(3), 111-137. 

  13. 이재경, 조영미, 이은아, 유정미(2005) 저출산의 젠더분석 및 정책대안 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14. 전광희(1997) 출산력 변화의 메카니즘. 한국출산력 변천의 이해. 권태환 외(편) 서울: 일신사. 57-98. 

  15. 전광희(2006) 무자녀에서 첫째 자녀로의 이행과정. 인구와 사회 2(1), 1-33. 

  16. 정혜은, 진미정(2008) 취업여부에 따른 기혼여성의 둘째자녀 출산의도. 한국인구학 31(1), 147-164. 

  17. 차승은(2008) 부모역할의 보상/비용과 둘째 자녀 출산계획: 사회경제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33, 111-134. 

  18. 황정미(2005) '저출산'과 한국 모성의 젠더정치. 한국여성학 21(3), 99-130. 

  19. Bhrolchain MN(1986a) Women's Paid Work and the Timing of Births: Longitudinal Evidence.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 43-70. 

  20. Bhrolchain MN(1986b) The interpretation and Role of Work-Associated Accelerated Childbearing in Post-War Britain. European Journal of Population 2, 135-154. 

  21. Brewster KL, Rindfuss RR(2000) Fertility and Women's Employment in Industrialized Nations. Annual Review of Sociology 26, 271- 296. 

  22. Cramer JC(1980) Fertility and Female Employment: Problems of Causal Dire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5, 167-190. 

  23. Desai S, Waite LJ(1991) Women's Employment During Pregnancy and After the First Birth: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and Work Commitment.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56, 551-566. 

  24. Sleebos JE(2003) Fertility Rates in OECD Countries: Facts and Policy Responses OECD Working Pape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