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 새순 에탄올 추출물의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및 nitrix oxide synthase 활성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s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19 no.11 = no.115, 2009년, pp.1629 - 1636  

조은경 (신라대학교, 바이오식품소재학과) ,  송효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조혜은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김미향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인순 (신라대학교, 생물과학과) ,  최영주 (신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로 여러 가지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법을 통해 측정한 솔순의 항산화력은 1 mg/ml에서 88.9%의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동량의 BHA와 비교했을 때 유사한 항산화력이 측정되었다. 이것은 솔잎보다 항산화 활성이 높은 것으로 솔순의 항산화력에 관한 높은 이용가치를 의미한다. SOD 유사활성은 10 mg/ml 농도에서 47.9%로 비교적 높은 SOD 유사활성을 나타내었다.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실험에서는 1 mg/ml에서 71.9%의 높은 xanthine oxidase 저해 활성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 효과는 시료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전체적인 활성은 4 mg/ml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에서 15.2%로 나타났다. 솔순 추출물에 대한 항균력을 조사하기 위해 식중독균주인 S. aureus, E. coli, V. paraheamolyticus에 대한 성장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E. coli와 V. paraheamolyticus에 대해 높은 항균력을 나타냈다. 항고혈압 측정실험에서는 시판되는 항고혈압제와 동일한 농도($1{\mu}g/ml$)에서 captopril은 93.0%, 솔순은 50.6%의 저해률을 나타냈으며, $100{\mu}g/ml$에서는 60.8%의 저해률을 나타내어 ACE 저해 활성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에 의하여 유도된 NO 합성은 $200{\mu}g/ml$ 농도의 솔순 에탄올 추출물을 처리함으로서 NO 합성률이 54.0% 정도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솔순 에탄올 추출물이 면역기능과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솔순 에탄올 추출물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증명하고 있고, 또한 솔잎 추출물에 비해 항산화력, 자유레디칼 소거활성능, 미백효과, 면역활성 및 항고혈압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기능성식품의 소재로서 그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ine trees (Pinus densiflora Sieb. et Zacc.) have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alth-promoting medicinal food in Korea. This research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antioxidative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tyrosinase, nitric oxide synthesis,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 and xanthine oxid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우리주변에서 손쉽게 얻을 수 있는 솔 순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생리활성을 조사하였다. 솔 순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은 DPPH를 이용한 radical 소거작용과 SOD 유사활성 측정 및 xanthine oxidase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항염증 작용은 RAW264.
  • 본 연구에서는 melanin 색소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ase에 대한 솔순 추출물의 농도별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Fig. 4). 전자공여능이나 SOD 유사활성과 마찬가지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증가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솔순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에탄올 추출물로 여러가지 생리활성과 아질산염 소거작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우선, 솔순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DPPH, SOD 유사활성, XO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 Polyphenol 화합물은 식물계 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2차 대사산물로서 일반적으로 항산화작용이 강한 것으로 밝혀져 있다. 이에 본 실험에서는 솔순 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을 tannic acid 표준곡선으로 하여 측정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Table 1과 같이 151 mg/g이 함유되어 있었으며, 솔잎에탄올 추출물의 총 polyphenol 함량 13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Blois, M. 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26, 1198-1200 

  2. Boo, Y. C., C. O. Jeon, and J. Y. Oh. 1994. Isolation of 4-hydroxy-5-methyl-3[2H]-furanone from pine needles as an antioxidative. Agric. Chem. Biotechnol. 37, 310-314 

  3. Choi, E.-M. 2007.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ine (Pinus dens flora) pollen extract. Phytotherapy Research 21, 471-475 

  4. Choi, H-D., Y.-J. Koh, I.-W. Choi, Y.-S. Kim, and Y.-K. Park. 2007. Anticariogenic activity and glucosyltransferase inhibitory effects of extracts from pine needle and twig. Kor. J. Food Technol. 39, 336-341 

  5. Choi, H. S., D. Hang, S. C. Kang, E. S. Sohn, S. P. Lee, S. K. Pyo, and E. W. Son. 2006. Immunomodulatory activity of pine needle (Pinus dens flora) extracts in macrophages. J. Food Sci. Nutr. 11, 105-109 

  6. Choi, J. H., D. L Kim, S. H. Park, S. J. Back, N. J. Kim, W. K. Cho, K. J. Kim, and H. S. Kim. 2004. Effects of pine needle ethyl acetate fraction on acetylcholine (ACh) and its related enzymes in brain of rats. Kor. J. Nutr. 37, 95-99 

  7. Cushman, D. W. and H. S. Cheung. 1971. Spectrophotometric assay and properties of th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of rabbit lung. Biochem. Pharmacol. 20, 1637-1648 

  8. Farias-Eisner, R., M. P. Sherman, E. Aeberhard, and G. Chaudhuri. 1994. Nitric oxide is an important mediator for tumoricidal activity in vivo. Proc. Natl. Acad. Sci. 91, 9407-9411 

  9. Hong, H.-D., N. Kang, and S.-S. Kim. 1998.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f apple juice mixed with some fruits and vegetables.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1484-1487 

  10. Hong, T.-G., Y.-R. Lee, M.-H. Yim, and C.-N. Hyun. 2004. Physiological fuctional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fermentation extracts from pine needles. Korean J. Food Preserv. 11, 94-99 

  11. Ignarro, L. J., J. M. Fukutto, J. M. Griscavage, N. E. Rogers, and R. E. Byrns. 1993. Oxidation of nitric oxide in aqueous solution to nitrite but not nitrite: Comparison with enzymatically formed nitric oxide form L-arginine. Proc. Natl. Acad. Sci. 90, 8103-8107 

  12. Jang, M.-J., B.-J. An, C.-E. Lee, J.-T. Lee, B.-G. Lee, and D.-H Lee. 2008.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J. Kor. For. Soc. 97, 88-94 

  13. Jang, M.-J., Y.-H. Kim, B.-J. An, C.-E. Lee, J.-T. Lee, S.-H. Kim, B.-G. Lee, and D.-H. Lee. 2008.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as a cosmetic material. J. Kor. For. Soc. 97, 215-220 

  14. Jeon, J. R., J. Y. Kim, K. M. Lee, and D. H. Cho.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 Soc. Appl. BioI. Chem. 48, 375-381 

  15. Kang, Y. H., Y. K. Park, S. R. Oh, and K. D. Moon. 1995. Studies on the physiological functionality of pine needle and mugwort extracts. Kor. J. Food Sci. Technol. 27, 978-984 

  16. Kim, J. D., T. H. Yoon, M. Choi, K. J. Lim, J. S. Ju, and S. Y. Lee. 1990.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pine leaf on lipid parameters in rat. Kor. J. Gerontol. 1, 47-50 

  17. Kim, J.-W., D.-K. Kim, J.-S. Park, Y.-K Lee, K-Y. Beik and S.-D. Kim. 2009.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shark collagens, and inhibitory actions on elastase and tyrosinase. Korean. J. Food Preserv. 16, 419-426 

  18. Kim, Y. S. and D. H. Shin. 2004.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pine needle (Pinus dens flora S. et Z.) extracts. Food Microbiol. 22, 37-45 

  19. Kim, S. M., Y. S. Cho, S. K. Sung, I. G. Lee, S. H. Lee, and D. G. Kim. 2002. Antioxidative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of pine needle and green tea extracts. Kor. J. Food Sci.Anim. Resour. 22, 13-19 

  20. Kuk, J. H., S. J. Ma, and K. H. Park. 1997.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benzoic acid with antimicr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 flora. Kor. J. Food Sci. Technol. 29, 204-210 

  21. Kwak, C. S., S. C. Moon, and M. S. Lee. 2006. Antioxidant, antimutagenic, and antitumor effects of pine needles (Pine densiflora). Nutrition Cancer 56, 162-171 

  22. Lee, O. H., K. Y. Kim, M.-K. Jang, K. H. Yu, S. G. Kim, M H. Kim, and S. -H. Lee. 2008. Evaluation of proanthocyanidin contents in total polyphenolic compounds of pine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s and their antioxidative activities. J. Life Sci. 18, 213-219 

  23. Lim, Y.-S., M.-J. Bae, and S.-H. Lee. 2002. Antimicrobial effects of Pinus densiflora Sieb. et Zucco ethanol extract on Listeria monocytogen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 333-337 

  24. Lim, Y.-S., K.-N. Park, M.-J. Bae, and S.-H. Lee. 2001. Antimicrobial effects of Pinus densflora Sieb. et Zucco extract on pathogenic microorganism. Kor. J. Postharvest Sci. Technol. 8, 462-468 

  25. Marklund, S. and G. Marklund. 1975. Involvement of superoxide aminoradical in the oxidation of pyrogallol and a convenient assay for superoxide dismutase. Eur. J. Biochem. 47, 468-474 

  26. Mosmann, T. 1993. Rapid colorimetric assay for cellular growth and survival: application to proliferation and cytotoxicity assays J. Immunol. Method. 65, 55-63 

  27. Murakami, A., G. Gao, O. K. Kim, M. Omura, M. Yano, I. Ito, H. Furukawa, S. Jiwajinda, K. Koshimizu, and H. Ohigashi. 1999. Identification of courmarins from the fruit of Citrus hystrix DC as inhibitor of nitric oxide generation in mouse macrophage Raw 264.7 cells J. Agr. Food Chem. 47, 333-330 

  28. Nice, D. J., D. S. Robinson, and M. A. Jolden. 1995. Characterization of a heat-stable antioxidant co-purified with the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from dried peas. Food Chem. 52, 393-397 

  29. Parejo, I., F. Viladomat, J. Bastida, A. Rosas-Romero, N. Flerlage, J. Burillo, and C. Conida. 2002. Comparision betwee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ix distilled and nondistilled Mediterranean herbs and aromatic plants. J. Agric. Food Chem. 50, 6882-6890 

  30. Park, Y.-E., H.-M. Cho, H.-J. Lee, Y.-S. Hwang, S.-S.-N. Choi, S.-J. Lee, E.-S. Park, J.-D. Lim, and M.-G. Choung. 2007. Antioxidant and inhibition on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tivity of colored potato extracts. Korean J. Crop Sci. 52, 447-452 

  31. Ruidavets, J., P. Teissedre, J. Ferrieres, S. Carando, G. Bougard, and J. Cabanis. 2000. Catechin in the Mediterranean diet: vegetable, fruit or wine? Atherosclerosis 153, 107 - 117 

  32. Singleton, V. L., R. Orthofer, and R. M. Lamuela-Raventos. 1999. Analysis of total phenols and other oxidation substrates and antioxidants by means of Folin-Ciocalteau reagent. Methods Enzymol. 299, 152-178 

  33. van der Veen, R. C. 2001. Nitric oxide and T cell immunity. Int. Immunophamacol. 1, 1491-1500 

  34. Yen, G.-C., P.-D. Duh, D.-W. Huang, C.-L. Hsu, and T. Y-.C. Fu. 2008. Protective effect of pine (Pinus morrisonicola Hay.) needle on LDL oxidation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on by modulation of iNOS and COX-2 express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Food. Chemical Toxicol. 46, 175-185 

  35. Yoo, J.-H., J.-Y. Cha, Y.-K. Jeong. K.-T. Chung, and Y.-S. Cho.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 flora) needle extracts. J. Life Sci. 14, 863-8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