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나무 부위별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the Pine Tree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0 no.6, 2017년, pp.1133 - 1139  

유범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희은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최원석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  이난희 (대구한의대학교 한방식품조리영양학부) ,  최웅규 (한국교통대학교 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various parts of the pine tree, which is known as a good source of functional food material. While ethanol extraction yields of pine bud and cone were higher than water extraction yields of pine bud and cone, water 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자생하는 소나무의 새순과 솔방울의 성분특성과 항산화효과를 알아보고 솔잎뿐만 아니라, 소나무 순과 솔방울을 식의약용 원료로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종합적으로 소나무의 잎, 새순, 솔방울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가장 높은 활성을 보인 것은 무엇인가? ABTS 라디칼 소거활성과 FRAP value도 추출용매에 상관없이 솔방울에서 가장 높았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라디칼 소거활성, Reducing power, ABTS를 이용한 총 항산화력 및 FRAP를 이용한 총 항산화력 등 모든 항산화 활성 측정에서 솔방울이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이 물 추출물에 비해 약간 더 높은 활성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총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항산화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는 모두 1%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소나무의 피톤치드 성분의 기능엔 어떤 것이 있는가? 소나무의 정유성분으로는 terpenoid, phenol, tannin, alkaloid, flavonoid 등이 존재하며(Koukos 등 2000), 특히 이들 중 피톤치드 성분은 항균 및 방충효과가 뛰어나, 양상추의 저장연장 효과(Kim 등 2013), 집먼지 진드기 기피효과(Hong & Jee 2009), 구강병원균에 대한 항균작용(Kim 등 2007) 등의 효과가 있고, 인체의 생리대사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었다(Lee & Lee 2012).
소나무의 잎, 새순, 솔방울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 비교 결과는? 솔순과 솔방울은 에탄올 추출이 물 추출보다 수율면에서 유리하였으며, 솔잎의 경우, 물 추출물이 에탄올 추출물에 비해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솔방울 에탄올 추출물이 솔잎과 솔순추출물에 비해 5배 정도 높았으며, 솔방울 물 추출물, 솔잎 물 추출물의 순으로 확인되었다. 플라보노이드 함량도 총 폴리페놀 함량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lois MS. 1958. Antioxidant determination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1199-1200 

  2. Cho EK, Jeong BR, Choi YJ. 2010. Physiological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 from pine bud (Pinus densiflor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1573-1579 

  3. Cho EK, Song HJ, Cho HE, Kim MH, Choi IS, Choi YJ. 2009.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pine bud (Pinus densiflora) on angiotensin converting exzyme, xanthine oxidase and nitric oxide synthesis. J Life Sci 19:1629-1636 

  4. Cho EM. 2007. Antinocicep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pine (Pinus densflora) polen extract. Phytotherapy Res 21: 471-475 

  5. Erkan N, Ayranci G, Ayranci E. Antioxidant activities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extract, blackseed (Nigella sativa L.) essential oil, carnosic acid, rosmarinic acid and sesamol. Food Chem 110:76-82 

  6. Gutfinger T. 1981. Polyphenols in olive olis. J Am Oil Chem Soc 58:966-968 

  7. Hong MS, Jee CH. 2009. Repellent effect of essential oils from coniferous trees against the house dust mites (Dermatophagoides farinae and D. pteronyssinus). Korean J Vet Serv 32: 87-92 

  8. Jang MJ, An BJ, Lee CE, Lee JT, Lee BG, Lee DH. 2008.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of Pinus rigida Mill. inner bark extracts. J Korean For Soc 97:88-94 

  9. Jeon JR, Kim JY, Lee KM, Cho DH. 2005. Anti-obese effects of mixture contained pine needle, black tea, and green tea extracts. J Kor Soc Appl Biol Chem 48:375-381 

  10. Jeong KH, Hwang IS, Kim JE, Lee YJ, Kwak MH, Lee YH, Lee JH, Hwang DY, Jung YJ. 2014. Anti-bacterial effects of aqueous extract purified from the immature cone of red pine (Pinus densiflora). J Korean Soc Dye Finish 26:45-52 

  11. Jia Z, Tang M, Wu J. 1999. The determination of flavonoid content in mulberry and their scavenging effects on superoxide radicals. Food Chem 64:555-559 

  12. Kim DH, Kim HB, Moon KD. 2013. Effects of phytoncide treatment on the physicochemical,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fresh-cut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20:166-172 

  13. Kim IH, Ko YJ, Choi ID, Kim YG, Ryu CH, Shin KH. 2012. Antioxidative activities of pine needles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wheat noodle with pine needle powder. J Agricul Life Sci 46:125-134 

  14. Kim SQ, Shin MK, Auh QS, Lee JY, Hong JP, Chun YH. 2007. Effect of phytoncide on Porphyromonas gingivalis. J Oral Med Pain 32:137-150 

  15. Kim YM, Choi MS, Bae JH, Yu SO, Cho JY, Heo BG. 2009. Physicochemical activity of Bang-A, aster and lettuce greens by the different drying methods. J Bio-Environm Cont 18: 60-66 

  16. Kim YS, Shin DH. 2005. Volatile components and antibacterial effects of pine needle (Pinus densiflora S. et Z.) extracts. Food Microbiol 22:37-45 

  17. Koukos PK, Papadopoulou KI, Patiaka DT, Papagiannopoulos AD. 2000. Chemical composition of essential oils from needles and twigs of balkan pine (Pinus peuce Grisebach) grown in Northern Greece. J Agric Food Chem 48:1266-1268 

  18. Lee BK, Lee HH. 2012. A study on the effects of human physiology after forest phytoncide therapy. J Naturopathy 1:14-20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MFDS). 2017. Korean Food Standards Codex. Available from http://www.mfds.go.kr [cited 30 June 2017] 

  20. Moon GS, Kwon TW, Ryu SH. 2003. 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of soybean components by different assays. Korea Soybean Digest 20:28-36 

  21. Park WM, Ki KBWR, Kim MJ, Kang BK, Bark SW, Kim BR, Ahn NK, Choi YU, Yoon SR, Ahn DH. 2014. Antioxidative effect of extracts from different parts of kohlrabi. J Appl Biol Chem 57:353-358 

  22. Velmurugan P, Park JH, Lee SM, Jang JS, Lee KJ, Han SS, Lee SH, Cho M, Oh BT. 2015.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nanosilver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using Pinus densiflora young cone extract. J Photochem Photobiol 147:63-68 

  23. Yoo JH, Cha JY, Jeong YG, Chung KT, Cho YS. 2004. Antioxidative effects of pine (Pinus denstifora) needle extracts. J Life Sci 14:863-8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