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향 후 패러다임 제안
The Future Paradigm of VoIP Services 원문보기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aritime Information & Communication Sciences, v.13 no.1, 2009년, pp.127 - 133  

김병호 (경성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1999년 최초의 상용 인터넷전화 서비스인 새롬기술의 다이알패드 이후 10년동안 수백여개의 관련 제품 회사와 수십여개의 서비스 회사가 등장하였고, 수많은 논문들과 상용서비스를 통해 기술의 타당성과 안정성을 입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시장 점유율은 2007년도 우리나라 시장의 경우 0.3%로써 기대에 상당히 미흡하다. 이에 대한 원인 분석으로써 기존 유선전화사업자의 소극적인 참여, 뒤늦은 관련 제도의 도입, 또는 여전히 우려되는 통화 품질의 문제 등이 제기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전화 산업 부진의 근본적인 이유가 사회문화적 측면에 있음을 지적하고, 기존 PSTN 사업자들이 유선전화 서비스를 스스로 버리지 않는 한 현재의 인터넷전화가 기존 유선전화를 대체할 수 없음을 보인다. 또한 그 대안으로써 단순한 인터넷전화 서비스 모델을 넘어서 SIP과 상태 정보 서비스에 기반한 새로운 서비스 패러다임으로 전환되어야 할 것임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has been 10 years long since the emergence of Dialpad, the first commercial VoIP service from Saerome Technology launched on 1999. In spite of so many research papers and implementations of the VoIP and commercial services with hundreds of VoIP-related products vendors and tens of VoIP service p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전화 서비스를 접하는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자에게 어떠한 모델이 제시되어 왔는지를 시대적 순서로 고찰한다.
  • 본 논문에서는 10여년의 역사를가진 인터넷전화 서비스의 현황과 부진 원인을 분석하고 미래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였다. 과거 인터넷전화의 역사를 서비스 모델, 망환경의 변화, 인터넷전화프로토콜의 진화, 가입자단말장치의 변천 측면에서 고찰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향후 인터넷전화 발전 전략의 대안으로써 상태정보 서비스에 기 반한 메타프레즌스 모델을 제안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SoIP의 핵심 인 인스턴트 메시징, 상태정보 및 상황인지 서비스와 텔레프레즌스의 원격 존재감을 접목한, 단 이를 위한 설비는 기존 전화기 형태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새로운서비스모델로써 “메타프레즌스(Meta presence)”를 제안한다. 메타프레즌스는 상태정보μ8]와 상태정보 이상의 그 무엇(meta)을 결합한 것이라 할 수 있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 유선전화가 100여년의 역사를 거치면서 사람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도구의 하나로 자리 매 김 한, 소위 전화사용 문화가 존재 하고 있음을 전제하고, 인터넷전화가 이러한 문화에 어떠 한 관계를 형성하여 왔는지를 지난 10년 동안 등장했던 인터넷전화 서비스 모델, 망 환경의 변화, 인터넷전화 프로토콜의 진화, 가입자 단말장치의 변천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전화가 생활의 도구로 정착되기 위하여 어떻게 진화해 야 할지 에 대한 대 안을 제 시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인터넷전화 보급 부진의 원인을 기술이나 제도의 문제가 아니라 사회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이에 근거 하여 그 대 안을 제 시 하고자 한다.
  • 본 장에서는 인터넷전화 산업을 둘러싼 주체를 크게 두 업 계, 즉 PSTN 사업 자와 IP 기반 인터 넷전화 사업 자로 나누고, 각 업계의 향후 전략을 각각두 입장, 즉 수동적 방어와 적극적 참여로 구분하여 각 경우에 대한 미래전망과 그에 따른 인터넷전화 업 계의 발전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 가입자 단말장치의 변천 측면에서 고찰한다. 이를 통해 인터넷전화가 생활의 도구로 정착되기 위하여 어떻게 진화해 야 할지 에 대한 대 안을 제 시 한다.

가설 설정

  • 그 이유는 적어도 인터넷전화 산업만큼은, 시장 규모를 차치하면, 대한민국이 기술적으로나 사업모델에서 나전세계에서 가장 활발하고 변화무쌍한 과정을 거쳤다고 판단되 기 때문이다. 즉, 본 논문의 주제가 인터넷전화의 시 장 규모가아니라 서비스모델과그진화 방향에 대한 것이기 때문에 가장 다양한 역사를 가진 국내 상황에 대한 고찰만으로도 충분히 세계적인 흐름을 판단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정보통신부, ?인터넷전화 서비스 정책시행계획? 정보통신부, 2004 

  2. 송종명, 신승수, 최승권, 조용환, "인터넷전화 서비스 상용화에 따른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 추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2권 제2호, 2004, pp. 421-426 

  3. 서성일, "인터넷전화(VoIP) 제도 및 계획", 한국통신학회지(정보통신) 제21권 제4호, 2004, pp. 13-18 

  4. 박민수, 이종관, 안형택, 임동민, ?유무선 통화 서비스 대체성에 대한 실증분석과 정책적 시사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2007 

  5. Erika Shehan, W. Keith Edwards, "Home Networking and HCI: What hath God Wrought?", CHI 2007, 2007. pp. 547-556 

  6. R. E. Grinter, N. Ducheneaut, W. K. Edwards, M. Newman, "The Work to Make a Home Network Work", ECSCW, 2005 

  7. M. S. Blumenthal, D. D. Clark, "Rethinking the Design of the Internet: The End-to-End Argument vs. the Brave New World", ACM Transaction on Internet Technology 1:1, 2001, pp. 70-109 

  8. T. Anderson, L. Peterson, S. Shenker, Turner, Report of NSF Workshop on Overcoming Barriers to Disruptive Innovation in Networking, NSF, 2005 

  9. 오연주, 백의현, "인터넷전화 서비스 기술 동향", 방송공학회지 제10권 제3호, 2005, pp. 340-349 

  10. IBM, http://www.ibm.com 

  11. Cisco, http://www.cisco.com 

  12. 최경호, 강부중, 노인우, 임을규, "VoIP Firewall/ NAT Traversal 문제 해결을 위한 구조",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4권 제1호(D), 2007. pp. 229-233 

  13. 염창열, 김형순, 강선무, 송주석, "IPv6 기반 인터넷전화 시범사업 결과 및 향후 추진 방향", 대한전자공학회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제30권 제1호, 2007. pp. 51-52 

  14. ITU-T 표준문서 H.323v4, Packet-based Multimedia Communications Systems, 2000 

  15. H. Schulzrinne, ietf-mmusic-scip-00.txt, MMUSIC WG, IETF Internet Draft, 1996 

  16. J. Rosenberg, H. Schulzrinne, G. Camarillo, A. Johnston, Peterson, Sparks, M. Handley, E. Schooler, SIP: Session Initiation Protocol, RFC 3261, 2002 

  17. FMCA (Fixed-Mobile Convergence Alliance), http://www.thefmca.com 

  18. H. Sinnreich, Alan B. Johnston, Internet Communications Using SIP, Wiley, 2006 

  19. Telepresence Forum, What is Telepresence Exactly?, http://telepresenceforum.com, 2008 

  20. http://en.wikipedia.org/wiki/Telepresen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